목차
1. 사업명
2. 사업개요
3. 사업의 필요성
1) 저소득 독거노인의 문제와 관련된 통계와 보도자료
4. 사업 목적과 목표
5. 서비스 대상 및 인원
6. 사업내용
1) 세부사업 내용
2) Gantt Chart
3) 담당인력 구성
7. 평가
8. 예산
2. 사업개요
3. 사업의 필요성
1) 저소득 독거노인의 문제와 관련된 통계와 보도자료
4. 사업 목적과 목표
5. 서비스 대상 및 인원
6. 사업내용
1) 세부사업 내용
2) Gantt Chart
3) 담당인력 구성
7. 평가
8. 예산
본문내용
발한다.
개발상담을 통해 정서적 소외감을 경감하여 심리적 안정감은 얻는다.
기관 내 상담실
매주 1회
사회복지사
전지은
3시간/24회
② 선발된 독거노인에게 전화나 직접 만남을 통해 참여 의사를 묻는다.
③ 주 1회 참여의사를 밝힌 10%(3명)의 독거노인과의 개별상담을 진행한다.
3 - 3
1회기: 자기소개
2회기:브레인스토밍(자기노출)
집단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공감대를 형성하여 서로의 지지자가 될 수 있도록 한다.
복지관 내
소강당
매월 2회
사회복지사
전지은
1시간/12회
3회기: 9분할법(문제인식)
4회기: 인생여정선(자기인식1)
5회기: 욕구강도(자기인식2)
6회기 : 동물가족화(가족지각)
7회기: 보물 상자(자원탐색)
8회기 : 이면지 높이 쌓기
(협동 활동)
9회기: 강점 칭찬하기
10회기 : 현실수용하기
11회기: 상황 대처법 나누기
(위기조절)
12회기 : 종결 및 평가
2) Gantt Chart
목표
하위목표
프로그램내용
월별진행표
12
1
2
3
4
5
6
7
준 비
홍보 및 사전준비
지역사회 업체 발굴 및 자원봉사자 모집
자원봉사자 및 말벗도우미 교육
대상자 intake 및 사정
실 행
프로그램에 참여한 저소득 독거노인의 경제적 어려움을 감소시키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1 - 1
도시락 배달
1 - 2
노인취업알선센터 등록 및 구직상담
상 시
재취업 훈련(주3회)
프로그램에 참여한 저소득 독거노인의 신체적 건강을 예방하고 개선하는 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2 - 1
의약품전달
2 - 2
건강체크 서비스 및 말벗서비스
2 - 3
건강검진
상 시 (사업기간 내 대상자별로 1회)
질병치료
상 시 (질병 발생 시)
프로그램에 참여한 저소득 독거노인의 정서적 안정감을 지지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3 - 1
50대 자원봉사자의 말벗도우서비스
3 - 2
개별상담
집단활동
평 가
3) 담당인력 구성
이름
담당부서 및 직위
경력(년)
역할
투입시간
(단위: 1개월)
자격증
김령정
종합사회복지관/기관장
30년
운영 슈퍼바이저
사회복지사 1급
한복희
종합사회복지관
/부장
20년
프로그램 총괄 담당자/집단상담 책임자
2회/2시간
사회복지사 1급 /상담심리사 2급
전지은
종합사회복지관
/과장
15년
개인집단상담, 집단프로그램 담당
16회/16시간
사회복지사 1급 / 웃음치료사
여구환
종합사회복지관
/ 사회복지사
7년
재가복지담당
3회/6시간
사회복지사 1급
김혜실
종합사회복지관
/ 사회복지사
5년
노인취업알선센터 담당
3회/3시간
사회복지사 1급
백선화
종합사회복지관
/ 사회복지사
3년
노인 취업훈련 담당
12회/12시간
사회복지사 1급
유재석
취업교육강사
(서비스 교육)
3년
노인 취업훈련
3회/3시간
김희선
취업교육강사
(간병 교육)
10년
노인 취업훈련
3회/3시간
간병사
손예진
취업교육강사
(보육 교육)
10년
노인 취업훈련
3회/3시간
보육교사 1급
김하늘 외 11명
자원봉사
건강보조식품 및 영양제 배달
자원봉사교육 수료자
한가인 외 4명
간호봉사단
20년(평균)
건강 체크
4회/3시간
간호사
지진희 외 29명
자원봉사
50대 말벗도우미
4회/4시간
자원봉사교육 수료자
조인성
의사 (정형외과)
4년
건강검진 및 질병치료
의사
장동건
의사 (내과)
10년
건강검진 및 질병치료
의사
원빈
의사 (치과)
7년
건강검진 및 질병치료
의사
이정재
한의사
10년
건강검진 및 질병치료
한의사
7. 평가
목표 1
목표 2
목표 3
평가지표
자기 만족 상태
취업 현황
우울증 측정 점수
자기 만족 상태
객관적 서비스 이용 현황
스트레스 측정 점수
자기 만족 상태
관찰자의 주관적 평가
평가도구
자기 만족도 검사지
취업 현황 기록
우울증 척도
자기 만족도 검사지
건강 체크 기록지
의료 서비스 이용현황
스트레스 척도
자기 만족도 검사지
프로그램 과정 기록지(관찰)
목표 1
목표 2
목표 3
평가방법
① 식생활에 따른 어려움의 감소에 대한 자기 만족도를 사전, 사후 검사결과를 통해 비교 분석한다.
② 노인취업알선센터를 통한 취업 현황 기록을 분석한다.
① 건강 체크 기록과 의료기관 이용 기록을 통해 예방적 의료 서비스의 정기적 제공 여부를 확인한다.
② 의료 서비스 이용에 대한 참가자의 자기 만족도 검사결과를 사전, 사후 비교 분석한다.
③ 우울증 척도 검사결과를 사전, 사후 비교 분석한다.
① 자조모임과 말벗도우미와의 만남을 통한 관계형성에 대해 만족도 검사지를 분석한다.
② 스트레스 척도를 통해 사전, 사후 검사결과를 비교 분석한다.
③ 집단 상담 담당 사회복지사의 관찰 평가서를 분석한다.
평가시기
① 프로그램 사전, 사후
② 프로그램 종료 시
① 프로그램 종료 시
②, ③ 프로그램 사전, 사후
① 프로그램 종료 시
② 프로그램 사전, 사후
③ 집단 상담 매회 종료 시
8. 예산
(단위: 원)
항목
산출근거
예산조달계획
신청금액(원)
비율
(%)
자부담
비율
(%)
인건비
취업훈련강사
3명*1일1시간*월12회*6개월
*5.000
1,080,000
28.9
소계
1,080,000
28.9
사업비
홍보비(현수막 및 리플렛)
현수막 30,000 * 2개 +
리플렛 570 * 200
174,000
4.7
자원봉사자 교통비 지원
(50대 말벗도우미)
30명 * 월 4회* 6개월 * 2,000
1,440,000
38.6
다과
월 4회*6개월*30,000
720,000
19.3
문구류
A4용지 18,000*1box
18,000
0.5
소계
2,352,000
63.1
관리비
난방비
(겨울2달)
1달*20,000*2달
40,000
차량유지비
5000원* 24회
120,000
3.2
전기료
월평균 20,000*6개월
120,000
3.2
전화세
월평균 10,000*6개월
60,000
1.6
소계
300,000
8.0
40.000
총계
3,732,000
100
저소득 독거노인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서비스 지원 프로그램
1. 사업명
2. 사업개요
3. 사업의 필요성
1) 저소득 독거노인의 문제와 관련된 통계와 보도자료
4. 사업 목적과 목표
5. 서비스 대상 및 인원
6. 사업내용
1) 세부사업 내용
2) Gantt Chart
3) 담당인력 구성
7. 평가
8. 예산
개발상담을 통해 정서적 소외감을 경감하여 심리적 안정감은 얻는다.
기관 내 상담실
매주 1회
사회복지사
전지은
3시간/24회
② 선발된 독거노인에게 전화나 직접 만남을 통해 참여 의사를 묻는다.
③ 주 1회 참여의사를 밝힌 10%(3명)의 독거노인과의 개별상담을 진행한다.
3 - 3
1회기: 자기소개
2회기:브레인스토밍(자기노출)
집단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공감대를 형성하여 서로의 지지자가 될 수 있도록 한다.
복지관 내
소강당
매월 2회
사회복지사
전지은
1시간/12회
3회기: 9분할법(문제인식)
4회기: 인생여정선(자기인식1)
5회기: 욕구강도(자기인식2)
6회기 : 동물가족화(가족지각)
7회기: 보물 상자(자원탐색)
8회기 : 이면지 높이 쌓기
(협동 활동)
9회기: 강점 칭찬하기
10회기 : 현실수용하기
11회기: 상황 대처법 나누기
(위기조절)
12회기 : 종결 및 평가
2) Gantt Chart
목표
하위목표
프로그램내용
월별진행표
12
1
2
3
4
5
6
7
준 비
홍보 및 사전준비
지역사회 업체 발굴 및 자원봉사자 모집
자원봉사자 및 말벗도우미 교육
대상자 intake 및 사정
실 행
프로그램에 참여한 저소득 독거노인의 경제적 어려움을 감소시키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1 - 1
도시락 배달
1 - 2
노인취업알선센터 등록 및 구직상담
상 시
재취업 훈련(주3회)
프로그램에 참여한 저소득 독거노인의 신체적 건강을 예방하고 개선하는 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2 - 1
의약품전달
2 - 2
건강체크 서비스 및 말벗서비스
2 - 3
건강검진
상 시 (사업기간 내 대상자별로 1회)
질병치료
상 시 (질병 발생 시)
프로그램에 참여한 저소득 독거노인의 정서적 안정감을 지지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3 - 1
50대 자원봉사자의 말벗도우서비스
3 - 2
개별상담
집단활동
평 가
3) 담당인력 구성
이름
담당부서 및 직위
경력(년)
역할
투입시간
(단위: 1개월)
자격증
김령정
종합사회복지관/기관장
30년
운영 슈퍼바이저
사회복지사 1급
한복희
종합사회복지관
/부장
20년
프로그램 총괄 담당자/집단상담 책임자
2회/2시간
사회복지사 1급 /상담심리사 2급
전지은
종합사회복지관
/과장
15년
개인집단상담, 집단프로그램 담당
16회/16시간
사회복지사 1급 / 웃음치료사
여구환
종합사회복지관
/ 사회복지사
7년
재가복지담당
3회/6시간
사회복지사 1급
김혜실
종합사회복지관
/ 사회복지사
5년
노인취업알선센터 담당
3회/3시간
사회복지사 1급
백선화
종합사회복지관
/ 사회복지사
3년
노인 취업훈련 담당
12회/12시간
사회복지사 1급
유재석
취업교육강사
(서비스 교육)
3년
노인 취업훈련
3회/3시간
김희선
취업교육강사
(간병 교육)
10년
노인 취업훈련
3회/3시간
간병사
손예진
취업교육강사
(보육 교육)
10년
노인 취업훈련
3회/3시간
보육교사 1급
김하늘 외 11명
자원봉사
건강보조식품 및 영양제 배달
자원봉사교육 수료자
한가인 외 4명
간호봉사단
20년(평균)
건강 체크
4회/3시간
간호사
지진희 외 29명
자원봉사
50대 말벗도우미
4회/4시간
자원봉사교육 수료자
조인성
의사 (정형외과)
4년
건강검진 및 질병치료
의사
장동건
의사 (내과)
10년
건강검진 및 질병치료
의사
원빈
의사 (치과)
7년
건강검진 및 질병치료
의사
이정재
한의사
10년
건강검진 및 질병치료
한의사
7. 평가
목표 1
목표 2
목표 3
평가지표
자기 만족 상태
취업 현황
우울증 측정 점수
자기 만족 상태
객관적 서비스 이용 현황
스트레스 측정 점수
자기 만족 상태
관찰자의 주관적 평가
평가도구
자기 만족도 검사지
취업 현황 기록
우울증 척도
자기 만족도 검사지
건강 체크 기록지
의료 서비스 이용현황
스트레스 척도
자기 만족도 검사지
프로그램 과정 기록지(관찰)
목표 1
목표 2
목표 3
평가방법
① 식생활에 따른 어려움의 감소에 대한 자기 만족도를 사전, 사후 검사결과를 통해 비교 분석한다.
② 노인취업알선센터를 통한 취업 현황 기록을 분석한다.
① 건강 체크 기록과 의료기관 이용 기록을 통해 예방적 의료 서비스의 정기적 제공 여부를 확인한다.
② 의료 서비스 이용에 대한 참가자의 자기 만족도 검사결과를 사전, 사후 비교 분석한다.
③ 우울증 척도 검사결과를 사전, 사후 비교 분석한다.
① 자조모임과 말벗도우미와의 만남을 통한 관계형성에 대해 만족도 검사지를 분석한다.
② 스트레스 척도를 통해 사전, 사후 검사결과를 비교 분석한다.
③ 집단 상담 담당 사회복지사의 관찰 평가서를 분석한다.
평가시기
① 프로그램 사전, 사후
② 프로그램 종료 시
① 프로그램 종료 시
②, ③ 프로그램 사전, 사후
① 프로그램 종료 시
② 프로그램 사전, 사후
③ 집단 상담 매회 종료 시
8. 예산
(단위: 원)
항목
산출근거
예산조달계획
신청금액(원)
비율
(%)
자부담
비율
(%)
인건비
취업훈련강사
3명*1일1시간*월12회*6개월
*5.000
1,080,000
28.9
소계
1,080,000
28.9
사업비
홍보비(현수막 및 리플렛)
현수막 30,000 * 2개 +
리플렛 570 * 200
174,000
4.7
자원봉사자 교통비 지원
(50대 말벗도우미)
30명 * 월 4회* 6개월 * 2,000
1,440,000
38.6
다과
월 4회*6개월*30,000
720,000
19.3
문구류
A4용지 18,000*1box
18,000
0.5
소계
2,352,000
63.1
관리비
난방비
(겨울2달)
1달*20,000*2달
40,000
차량유지비
5000원* 24회
120,000
3.2
전기료
월평균 20,000*6개월
120,000
3.2
전화세
월평균 10,000*6개월
60,000
1.6
소계
300,000
8.0
40.000
총계
3,732,000
100
저소득 독거노인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서비스 지원 프로그램
1. 사업명
2. 사업개요
3. 사업의 필요성
1) 저소득 독거노인의 문제와 관련된 통계와 보도자료
4. 사업 목적과 목표
5. 서비스 대상 및 인원
6. 사업내용
1) 세부사업 내용
2) Gantt Chart
3) 담당인력 구성
7. 평가
8. 예산
키워드
추천자료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고찰
노인복지 문제점과 현황 해결책- 노인간호학
재가노인복지사업의 목적, 재가복지서비스의 발전과정, 재가노인복지사업의 3대 핵심사업, 재...
주민생활서비스의 실태분석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
사회복지과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과제 - 저소득층 방임아동의 보호․학습지원을 위...
2001년(2000년대)의 농업정보화와 행정정보화, 2001년(2000년대)의 중소기업지원, 2001년(200...
외국과 우리나라의 노인복지 비교
사회복지 프로그램) 인터넷, 게임 중독 예방을 위한 저소득층 청소년의 건전 여가 지원 프로그램
사회복지 프로그램) 저소득 가정 아동, 청소년의 성적 향상을 위한 자기주도 학습 지원 프로그램
사회복지 프로그램) 저소득 취약계층 청소년의 체질 개선 및 체력 강화를 위한 청소년 건강 ...
사회복지 프로그램) 저소득 취약가정 아동 게임중독 예방을 위한 취미, 여가 지원 프로그램
사회복지 프로그램) 저소득층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학교 적응을 위한 학습, 정서지원 프...
사회복지 프로그램) 저소득층 아동의 학교, 사회 적응을 위한 역량강화와 스트레스 관리 능력...
사회복지 프로그램) 저소득층 취약가정 아동의 건전 발달과 역량강화를 위한 통합지원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