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이웃 주제망
이웃 활동망
이웃【주제의 가치 및 목적】
이웃은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구성되었다
이웃【제시할 개념이나 사실】
이웃 관련 속담
나의 직업을 찾아주세요
몸이 불편한 친구를 도와주어요
이웃 활동망
이웃【주제의 가치 및 목적】
이웃은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구성되었다
이웃【제시할 개념이나 사실】
이웃 관련 속담
나의 직업을 찾아주세요
몸이 불편한 친구를 도와주어요
본문내용
일수록 상대편의 결점이 눈에 더 많이 띈다는 말. ≒가까운 집 며느리일수록 흉이 많다.
[속담] 이웃집 무당 영하지 않다
가까이 살아 그 단점을 많이 알고 있어 훌륭하다고 생각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동네 무당 영하지 않다·동네 의원 용한 줄 모른다.
[속담] 이웃집 장단에 덩달아 춤춘다
남의 것을 이용하여 자기의 이익을 꾀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 이웃집 처녀는 처녀가 아니냐
[북한어]자신이 필요로 하는 물건이나 사람이 가까이 있음에도 괜히 먼 데서 무언가를 구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 이웃집 색시 믿고 장가 못 든다
=옆집 처녀 믿다가 장가 못 간다.
[속담] 이웃집 나그네도 손 볼 날이 있다
아무리 가까운 사이일지라도 손님으로서 깍듯이 대접해야 할 때가 있음을 이르는 말.
[속담] 이웃집 개가 짖어서 도적을 면했다
=옆집 개가 짖어서 도적 면했다.
[속담] 이웃집 새 처녀도 내 정지에 들여 세워 보아야 한다 이웃집
1 사람의 됨됨이는 겪어 보지 않고는 알 수 없음을 이르는 말. 2 사람 고르기가 쉽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나의 직업을 찾아주세요
목 표
우리 이웃의 직업의 종류에 대해 안다.
준비물
바늘, 실, 천, 인형 머리카락, 고무 밴드, 후크, 글루건, 찍찍이, 솜, 두꺼운 도화지, 가위, 풀, 피그마팬, 면봉, 구슬, 볼터치
제작방법
▶ 인형
① 살구 무지 천 위에 바디 본을 놓고 시접 남기고 재단한다(0.5~0.7cm).
② 창구멍을 남기고 바디를 홈질한다.
③ 둥근 부분이나 움푹 패인 부분들은 가위집을 준다.
④ 창구멍으로 뒤집어 솜을 빵빵하게 넣어서 마무리하고 얼굴을 약간 갸우뚱하게 연결한다.
⑤ 눈은 피그마팬으로 오래 머물면 번지므로 살짝 터치하듯 그린다.
⑥ 면봉으로 살짝 볼터치한다.
▶ 의상
① 안 입는 옷이나, 천으로 인형 사이즈에 맞게 재단한다.
② 가위로 자르고 홈질한다.
③ 가위집을 많이 준다.
④ 뒤집고 까슬이보슬이나 후크를 붙인다.
▶ 머리
① 꼬여진 머리를 모두 풀어서 가운데 머리카락 몇 가닥을 빼내 가운데를 묶는다.
② 글루건으로 이마에 먼저 고정하고 양옆과 뒤도 꼼꼼히 붙인다.
③ 머리에 장식을 한다.
▶ 사진첩
① 완성된 인형 직업복을 각각 여자 남자 인형에게 입히고 사진을 찍는다.
② 그 사진을 인쇄한 뒤 코팅해서 예쁘게 자른다.
③ 펀치로 구멍을 뚫어 고리로 연결한다.
활동방법
① 우리 이웃의 직업에는 무엇이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② 실제 인형에게 옷 입히기 놀이를 한다.
몸이 불편한 친구를 도와주어요
목 표
장애를 안고 있는 이웃을 도울 수 있다.
준비물
하드보드지, 까슬이 보슬이, 펠트지, 목공용풀, 테이프, 칼, 자, 가위, 풀, 단추, 장애 그림자료
제작방법
▶ 기본판
① 하드보드지를 4등분하여 펠트지로 꾸민다(총 6개의 판을 만든다).
② 코팅한 장애(시각장애, 청각장애, 수면장애, 호흡기 장애, 지체장애, 성장장애)의 그림과 글자를 붙인다.
③ 까슬이를 붙인다.
▶ 그림 주사위
① 하드보드지로 정육면체를 만든다.
② 주사위의 형태를 완성하기 전에 단추를 넣고 펠트지로 꾸민다.
③ 코팅한 장애의 글자 6가지를 붙인다.
▶ 숫자 주사위
① 하드보드지로 삼각뿔 모양을 만든다.
② 주사위의 형태를 완성하기 전에 단추를 넣고 펠트지로 꾸민다.
③ 펠트지로 만든 숫자(1, 2, 3, 꽝)를 붙인다.
▶ 그림 카드
① 시각장애, 청각장애, 수면장애, 호흡기 장애, 지체장애, 성장장애를 도와 줄 수 있는 그림을 각각 5개씩 만들어 코팅한다.
② 뒷면에 보슬이를 붙이고 상자를 만들어 장애를 도와줄 수 있는 그림 카드(30개)를 넣는다.
▶ 보관 상자
① 하드보드지로 상자를 만든다.
② 열기 쉽게 오른쪽 가운데 쪽을 반구모양으로 뚫는다.
③ 펠트지로 상자를 싸고 글자 모양으로 제목(몸이 불편한 친구를 도와주어요)를 잘라서 붙인다.
④ 제목 밑에 부분에 두 가지 주사위 모양을 만들어 장식한다.
▶ 도움 책자
① 그림 카드 만들 때 찾은 그림을 이용해 장애별로 그림을 나열한다.
② 유아들에게 어려운 것들은 설명을 넣어준다
③ 코팅해서 자른다.
④ 오른쪽 끝을 펀치로 뚫어서 고리를 연결한다.
활동방법
① 게임의 순서(또는 팀)를 정하고 원하는 장애 종류의 판을 나눠 갖는다.
② 주사위 2개를 던져 주사위에서 나오는 대로 물건을 가져간다.
③ ‘꽝’이 나오면 물건을 가져갈 수 없다.
④ 자기가 가지고 있는 장애 판을 다 채우는 유아(팀)가 이긴다.
[속담] 이웃집 무당 영하지 않다
가까이 살아 그 단점을 많이 알고 있어 훌륭하다고 생각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동네 무당 영하지 않다·동네 의원 용한 줄 모른다.
[속담] 이웃집 장단에 덩달아 춤춘다
남의 것을 이용하여 자기의 이익을 꾀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 이웃집 처녀는 처녀가 아니냐
[북한어]자신이 필요로 하는 물건이나 사람이 가까이 있음에도 괜히 먼 데서 무언가를 구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 이웃집 색시 믿고 장가 못 든다
=옆집 처녀 믿다가 장가 못 간다.
[속담] 이웃집 나그네도 손 볼 날이 있다
아무리 가까운 사이일지라도 손님으로서 깍듯이 대접해야 할 때가 있음을 이르는 말.
[속담] 이웃집 개가 짖어서 도적을 면했다
=옆집 개가 짖어서 도적 면했다.
[속담] 이웃집 새 처녀도 내 정지에 들여 세워 보아야 한다 이웃집
1 사람의 됨됨이는 겪어 보지 않고는 알 수 없음을 이르는 말. 2 사람 고르기가 쉽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나의 직업을 찾아주세요
목 표
우리 이웃의 직업의 종류에 대해 안다.
준비물
바늘, 실, 천, 인형 머리카락, 고무 밴드, 후크, 글루건, 찍찍이, 솜, 두꺼운 도화지, 가위, 풀, 피그마팬, 면봉, 구슬, 볼터치
제작방법
▶ 인형
① 살구 무지 천 위에 바디 본을 놓고 시접 남기고 재단한다(0.5~0.7cm).
② 창구멍을 남기고 바디를 홈질한다.
③ 둥근 부분이나 움푹 패인 부분들은 가위집을 준다.
④ 창구멍으로 뒤집어 솜을 빵빵하게 넣어서 마무리하고 얼굴을 약간 갸우뚱하게 연결한다.
⑤ 눈은 피그마팬으로 오래 머물면 번지므로 살짝 터치하듯 그린다.
⑥ 면봉으로 살짝 볼터치한다.
▶ 의상
① 안 입는 옷이나, 천으로 인형 사이즈에 맞게 재단한다.
② 가위로 자르고 홈질한다.
③ 가위집을 많이 준다.
④ 뒤집고 까슬이보슬이나 후크를 붙인다.
▶ 머리
① 꼬여진 머리를 모두 풀어서 가운데 머리카락 몇 가닥을 빼내 가운데를 묶는다.
② 글루건으로 이마에 먼저 고정하고 양옆과 뒤도 꼼꼼히 붙인다.
③ 머리에 장식을 한다.
▶ 사진첩
① 완성된 인형 직업복을 각각 여자 남자 인형에게 입히고 사진을 찍는다.
② 그 사진을 인쇄한 뒤 코팅해서 예쁘게 자른다.
③ 펀치로 구멍을 뚫어 고리로 연결한다.
활동방법
① 우리 이웃의 직업에는 무엇이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② 실제 인형에게 옷 입히기 놀이를 한다.
몸이 불편한 친구를 도와주어요
목 표
장애를 안고 있는 이웃을 도울 수 있다.
준비물
하드보드지, 까슬이 보슬이, 펠트지, 목공용풀, 테이프, 칼, 자, 가위, 풀, 단추, 장애 그림자료
제작방법
▶ 기본판
① 하드보드지를 4등분하여 펠트지로 꾸민다(총 6개의 판을 만든다).
② 코팅한 장애(시각장애, 청각장애, 수면장애, 호흡기 장애, 지체장애, 성장장애)의 그림과 글자를 붙인다.
③ 까슬이를 붙인다.
▶ 그림 주사위
① 하드보드지로 정육면체를 만든다.
② 주사위의 형태를 완성하기 전에 단추를 넣고 펠트지로 꾸민다.
③ 코팅한 장애의 글자 6가지를 붙인다.
▶ 숫자 주사위
① 하드보드지로 삼각뿔 모양을 만든다.
② 주사위의 형태를 완성하기 전에 단추를 넣고 펠트지로 꾸민다.
③ 펠트지로 만든 숫자(1, 2, 3, 꽝)를 붙인다.
▶ 그림 카드
① 시각장애, 청각장애, 수면장애, 호흡기 장애, 지체장애, 성장장애를 도와 줄 수 있는 그림을 각각 5개씩 만들어 코팅한다.
② 뒷면에 보슬이를 붙이고 상자를 만들어 장애를 도와줄 수 있는 그림 카드(30개)를 넣는다.
▶ 보관 상자
① 하드보드지로 상자를 만든다.
② 열기 쉽게 오른쪽 가운데 쪽을 반구모양으로 뚫는다.
③ 펠트지로 상자를 싸고 글자 모양으로 제목(몸이 불편한 친구를 도와주어요)를 잘라서 붙인다.
④ 제목 밑에 부분에 두 가지 주사위 모양을 만들어 장식한다.
▶ 도움 책자
① 그림 카드 만들 때 찾은 그림을 이용해 장애별로 그림을 나열한다.
② 유아들에게 어려운 것들은 설명을 넣어준다
③ 코팅해서 자른다.
④ 오른쪽 끝을 펀치로 뚫어서 고리를 연결한다.
활동방법
① 게임의 순서(또는 팀)를 정하고 원하는 장애 종류의 판을 나눠 갖는다.
② 주사위 2개를 던져 주사위에서 나오는 대로 물건을 가져간다.
③ ‘꽝’이 나오면 물건을 가져갈 수 없다.
④ 자기가 가지고 있는 장애 판을 다 채우는 유아(팀)가 이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