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 공화정의 발달과 몰락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로마 공화정의 발달과 몰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目 次 -
Ⅰ. 서언

Ⅱ. 초기 로마사회: 왕정기

Ⅲ. 공화정의 발달
(1) 공화정의 구조
(2) 신분투쟁

Ⅳ. 영토팽창과 그 영향
(1) 이탈리아의 통일과 조직
(2) 해외로의 팽창과 그 영향

Ⅴ. 공화정의 위기와 몰락
(1) 그라쿠스 형제의 개혁
(2) 내란과 몰락

Ⅵ. 결어

본문내용

고 전쟁지휘권을 잡았다. 술라가 소아시아로 출정간 사이 로마에 다시 마리우사파가 복귀하였다가 전쟁에서 승리한 술라가 군대를 이끌고 또다시 로마로 진격하여 승리하면서 그는 종신 독재관이 되었다. 술라는 마리우스보다 훨씬 심하게 정적들을 제거하였다. 그는 90명의 원로원 의원과 2,600명의 기사신분에 속한 자들을 포함하여 수천 명의 시민을 살해하고 그들의 재산을 몰수하였다.
B.C. 73~71년에는 스파르타쿠스의 노예봉기가 있었고 상당한 기간 동안 지속되면서 이를 진압하기 위해 10개 군단이 투입되기도 하였다. 기원전 63년에 발생한 카틸리나 음모사건에는 에트루리아 지역의 농민들과 척박한 할당지에 불만을 가진 술라의 퇴역병들이 가담하기도 하였다.
로마의 지배계층은 공화정 사회체제에 대한 아래로부터 이런 위협들에 직면하여 한동안 협력하여 대처하였으나 대내외적 위기가 종식되자 다시 분열되었다.
이베리아반도의 세르토리우스 반란과 스파르타쿠스의 노예봉기를 진압하는 데 각각 공을 세워 명성을 얻게 된 폼페이우스와 크라수스 두 사람은 콘술이 되자 보수적인 원로원 귀족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술라체제를 파괴하였고 후에 동방을 정벌하고 온 폼페이우스로 하여금 옵티마테스(원로원 의원들)는 당시 대중적 정치지도자들이던 카이사르와 크라수스를 끌어들여 소위 제1차 삼두정치, 즉 삼두의 맹약을 체결하였다.
하지만 국내의 끊임없는 내란과 이들 간의 견제로 인하여 혼란한 상황은 계속되었고, 결국 기원전 49년 카이사르가 군단을 이끌고 로마로 진격하여 로마 공화정의 유일한 지배자가 되었다. 하지만 카이사르도 결국 기원전 44년 브루투스와 카시우스 등이 주도한 일단의 원로원 의원들에 의해 암살당하게 된다. 또 그 이후에 카이사르의 암살자들이 제거되고 카이사르파간에 다시 정치권력의 장악을 위한 공공연한 투쟁이 전개되었다. 이 내란에서 최종 승리한 옥타비아누스에 의해 로마는 평화와 질서를 되찾게 되며, 그가 서서히 확립한 새로운 체제는 공화정과 근본적으로 다른 제정의 모습을 띤다.
Ⅵ. 결어
로마인들이 왕정을 폐지하고 수립한 로마 공화정은 무엇보다도 유력한 귀족들 간에 권력이 적절히 분산된 폴리스적 정체였다. 켄투리아회의 구성이나 투표방식이 보여주듯이 로마 공화정의 민주정적 요소는 처음부터 매우 제한되어 있어서 귀족들은 평민들의 요구를 충분히 통제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가지고 있었다. 이런 바탕에서 콘술들과 원로원의 귀족들의 현실적인 통치감각이 신분투쟁을 전개하는 평민들의 요구를 단계적으로 수용하면서 대외적으로 이탈리아를 정복할 수 있었다.
로마가 신분투쟁을 종결하고 동맹국 시미들에게 점차 시민권을 개방하면서 일종의 이탈리아 동맹체를 결성한 것은 지중해 세계를 정복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었다. 그러나 제국건설의 성공 자체가 로마사회에 근본적인 변화와 문제를 야기했다. 하지만 지도력과 결단력이 절실히 요구되던 시기에 원로원이 현실에 맞는 정치개혁을 하지 못하고 오히려 정파간의 경쟁과 개인적 이익추구에 몰두한 것은 공화정 몰락의 궁극적 원이이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10.13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50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