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eriment 실의 꼬임 ․ 번수 및 연축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실험 소개
1) 시료의 특징
2) 이론적 배경

Ⅱ. 실험
1. 실험 기구 및 사용 도구
2. 시료
3. 실험 과정
3.1 실의 굵기
3.2 실의 연축률

Ⅲ. 실험 결과 및 결론
<실험 결과>
1. 실의 굵기
2. 연축률
<결론>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후의 무게
평량병의 무게
시험편의 무게
(단위:g)
번수
(단위:N's)
sample A
49.321
43.877
5.906
1.000
sample B
48.591
43.216
5.831
1.012
1) 면사
2) 양모사
건조 후의 무게
평량병의 무게
시험편의 무게
(단위:g)
번수
(단위:N's)
sample A
55.195
48.194
8.051
2.407
sample B
51.915
44.408
8.633
2.245
건조 후의 무게
평량병의 무게
시험편의 무게
(단위:g)
데니어
(Denier)
sample A
44.136
43.928
0.208
187.2
sample B
42.993
42.788
0.205
184.5
3) 나일론사
2. 연축률
1)면사
1회
2회
3회
평균(cm)
연축률(%)
sample A
27.2
26.8
27.5
26.9
7.063
sample B
26.7
26.6
26.8
2)양모사
1회
2회
3회
평균(cm)
연축률(%)
sample A
26.2
26.4
26.0
25.1
0.398
sample B
26.0
26.2
25.9
3)나일론사
1회
2회
평균(cm)
연축률(%)
sample A
25.1
25.0
25.05
0.199
sample B
25.0
25.1
<결론>
실의 굵기에서는 실험 전 육안으로 보았을 때 나일론사가 가장 얇고 양모사가 가장 두꺼운 것이라 보아졌다. 실험을 하고 번수를 계산한 결과, 실험 전에 예상했던대로 양모사가 가장 두껍고 면사, 나일론사 순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치에서도 알 수 있듯이 실의 굵기는 확연한 차이를 보였지만, 실험 중 건조 오븐에 시료를 넣는 순서에서 평량병의 뚜껑을 같이 넣지 않아서 각 실들의 굵기를 나타내는 수치에는 어느 정도 오차가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연축률 부문에서는 면사가 가장 탁월한 수치를 보였고, 그 다음으로 양모사, 나일론의 순서 였다. 수치를 측정하면서 당겨보았을 때 잘 늘어나는 면에 비해 나일론은 거의 늘어남이 없었다.
실험 과정에서 예상했었던 대로 실험에서 나온 수치를 토대로 연출률을 계산해 보았을 때에도 큰 연축률을 보인 면에 비해 나일론은 1% 미만의 결과를 나타냈다.
이번 실험을 통해, 실의 각각 다른 특성은 실로 구성하는 섬유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었다.
Ⅳ. 참고 문헌
의류소재의 이해와 평가(의류시험법) / 교문사 / 김은애, 박명자, 심혜원, 오경화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10.15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57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