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국토불균형과 대응정책
II. 수도권과 국토균형정책의 쟁점
III. 국토균형발전을 의한 정책대안
IV. 맺음말
II. 수도권과 국토균형정책의 쟁점
III. 국토균형발전을 의한 정책대안
IV. 맺음말
본문내용
I. 국토불균형과 대응정책
1. 국토불균형의 실태
1) 수도권 과밀과 폐해
㉠ 수도권 인구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비중 또한 증가 - 초과밀도 상태
㉡ 우리 나라의 수도권은 다른 선진국의 대도시권에 비해 집중도가 매우 높음 - 과도한 집중
㉢ 정부․민간의 중추기능의 수도권 집중으로 인력 및 하위 관리기능이 수도권에 집결함 - 집중의 쏠림 현상
㉣ 수도권에 인구와 산업, 중추관리기능이 집중되면서 교통혼잡, 환경오염, 물류비용의 증가, 주택난 및 토지가격의 상승, 도시주변지역의 난개발의 발생 - 과밀의 부작용
2) 非수도권의 낙후
㉠ 전국의 총량경제력(2000년)을 1로 잡았을 때 수도권과 非수도권은 각기 1.14 : 0.88로 나타남
- 수도권의 과도한 경제력 집중
㉡ IMF가 일어난 1998년 이후 총량경제력의 권역간격차를 보면 수도권이 52.6%, 영남권이 27.2%, 충청권이 9.1%, 호남권이 8.3%, 강원․제주권이 2.7%로 집계됨 - 수도권과 非수도권과의 급격한 격차
1. 국토불균형의 실태
1) 수도권 과밀과 폐해
㉠ 수도권 인구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비중 또한 증가 - 초과밀도 상태
㉡ 우리 나라의 수도권은 다른 선진국의 대도시권에 비해 집중도가 매우 높음 - 과도한 집중
㉢ 정부․민간의 중추기능의 수도권 집중으로 인력 및 하위 관리기능이 수도권에 집결함 - 집중의 쏠림 현상
㉣ 수도권에 인구와 산업, 중추관리기능이 집중되면서 교통혼잡, 환경오염, 물류비용의 증가, 주택난 및 토지가격의 상승, 도시주변지역의 난개발의 발생 - 과밀의 부작용
2) 非수도권의 낙후
㉠ 전국의 총량경제력(2000년)을 1로 잡았을 때 수도권과 非수도권은 각기 1.14 : 0.88로 나타남
- 수도권의 과도한 경제력 집중
㉡ IMF가 일어난 1998년 이후 총량경제력의 권역간격차를 보면 수도권이 52.6%, 영남권이 27.2%, 충청권이 9.1%, 호남권이 8.3%, 강원․제주권이 2.7%로 집계됨 - 수도권과 非수도권과의 급격한 격차
추천자료
신행정수도 건설 해외사례 분석 및 시사점
인천국제공항 주변지역 사업개발 및 효율적인 개발방안
정부의 부동산 정책과 문제점에 대해
국토균형발전 전략
[마케팅전략]신세대 독자 개발방안- 신문구독의 동기중심으로
[한국사회문제] 지역간 불균형 발전의 원인과 현황 분석 및 해결책 제시
지역불균형 발전의 원인 및 현황 분석, 해결책
수도권 집중화 현상
재건축조합의 법률관계에 대한 연구.
[A+] 유비쿼터스와 Travel(유트레블) 사례연구 관광정보서비스관련 유비쿼터스 기술 전망 이...
제3차 수도권 정비계획(안) 2006 ~ 2020년
[산업기술, 산업기술 추진, 산업기술 협력사업, 산업기술 현황, 산업기술 사례]산업기술의 추...
정부의 대학구조개혁,효과가 있을 것인가 [지방 대학 위기]
[공모전] 부산사상지구 개발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