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과 처칠의 리더십과 인생역정 비교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순신과 처칠의 리더십과 인생역정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쟁을 치르는 영웅이라는 것을 차츰 깨달았고, 그러기에 막중한 책임감을 느끼게 되었다.
그리고 또한 이순신을 진정한 위인으로 만든 것은 혁혁한 무공만이 아니다. 업을 전제로 한 혼의 정신, 섬세한 감성, 정보 및 전략 중시 마인드, 기발한 창의력, 철저한 기록정신, 뛰어난 도덕성(청백리 정신과 숭고한 자기 희생), 남들이 흉내낼 수 없는 위기관리 능력 등이다. 남들은 평생 한 번 경험하기도 힘든 3번의 파면과 2번의 백의종군, 초라한 죄인 시절에 맞이한 어머니의 죽음, 장례도 치르지 못하고 대장정 길을 떠나야 했던 불효의 극치, 10대 1의 수적 열세를 극복한 명량해전의 신화, 왜장에 맞섰던 셋째 아들 면의 전사. 안타까움과 처절한 감동을 자아내게 하는 장렬한 최후 등이 그것을 뒷받침해준다.
처칠과 이순신은 분명 인간으로서 한계를 극복한 위대한 인물이었다. 하지만 그도 우리처럼 피가 흐르는 인간이어다. 그들은 결코 태어날 때부터 영웅이 아니었다. 처칠과 이순신은 수많은 고난을 묵묵히 정면 돌파했다. 시련 속에 자신을 내맡기고 일관된 길을 걸었다. 그들은 스스로를 단련시키며 평범에서 비범으로 나아간 진정한 영웅이었다. 또한 안으로는 자신과, 밖으로는 무능한 정부(조정)과, 대외적으로는 독일(일본)과 싸움을 벌였다. 그러한 싸움은 결코 피할 수 없는 운명이었다. 그들은 전쟁을 통해 평범한 한 인간에서 영웅으로 올라섰다.
이렇듯 예사롭지 않은 처칠과 이순신의 삶은 우리에게 물러서지 않음 이라는 화두를 선사한다. 그들은 외부의 적은 물론이고 내부의 적 앞에서 결코 물러서지 않았다. 심지어 죽음 앞에서도 물러서지 않았다. 그들의 물러서지 않음의 절정은 전투였고 그 전투를 통해 조국을 살렸다.
수많은 좌절과 고난을 딛고 우뚝 선 영웅, 처칠과 이순신. 그들은 고뇌와 결단의 인생을 살아간 지극히 인간적인 영웅이었으며, 하늘이 내려준 영웅이 아니라 그들 스스로 만든 영웅이었다.
※ 연보 : 처칠 VS 이순신
윈스턴 처칠(Winston Leonard Spencer Churchill)
1874년 블렌하임 궁에서 태어남
1888년 해로 고등학교 입학
1893년 샌드허스트 사관학교 입학
1895년 부친 랜돌프 사망 / 장교로 복무 시작
1899년 첫 선거에서 낙선 / 보어전쟁에서 포로로 잡혔다가 탈출함
1900년(27살) 하원의원에 당선
1904년 보수당에서 자유당으로 옮김
1905~08년 식민부 차관
1908년 클레멘타인과 결혼 / 무역위원회 의장
1910~11년 내무부 장관
1910년 토니팬디 사건 발생 / 여성 참정권 운동가에게 채찍으로 맞음
1911~15년 해군부 장관
1915년 다다넬스 패전으로 사임 / 프랑스 전선에 중령으로 참전 / 우울증 시작
1916년 영국으로 돌아옴
1917~18년 탄약부 장관
1919~21년 전쟁부 장관
1921년 모친 제니와 딸 메리골드 사망
1921~22년 식민부 장관
1922년 던디 지역에서 출마했으나 낙선
1922~24년(46살) 2년간 일정한 직업이 없음
1924년 다시 보수당으로 돌아감
1924년 웨스트라이세스터에서 낙선
1924~29년 재무부 장관
1929년 세계 경제 대공황으로 큰 손해를 입음
1930~39년(54살) 10년간 일정한 직업이 없음
1931년 미국 방문 중 교통사고
1939~40년 해군부 장관으로 복귀
1940~45년(64살) 영국 수상
1941년 심장마비와 폐렴으로 고생함
1944년 폐렴으로 입원
1945년 수상에서 물러남
1945~51년 야당 당수
1946년 ‘철의 장막’ 연설
1951~55년(75살) 다시 수상이 됨
1953년 심장마비 일어남 / 《제2차 세계대전 회고록》으로 노벨문학상 받음
1965년 사망
이순신(李舜臣)
1545년 3월 8일 서울의 건천동에서 출생
1565년 결혼함
1566년 무예수련을 시작
1572년 훈련원 별과시험에 낙방
1576년(32살) 식년무과에 합격, 함경도 동구비보의 권관이 됨
1579년 훈련원의 봉사(奉事)가 됨, 충청병사의 군관이 됨
1580년 전라좌수영 발포(鉢浦)의 수군만호가 됨
1582년 발포 수군만호에서 파직됨
1583년 함경도 남병사의 군관, 함경도 건원보의 군관이 됨. 부친이 별세함
1586년 사복시의 주부에 임명되고 함경도 조산보만호가 됨
1587년 녹둔도 둔전관을 겸임함
여진족의 기습을 격퇴하였으나, 파직되어 백의종군함
1588년 시전(時錢) 부락 공격작전에 공을 세워 백의종군에서 풀려남
1589년 전라감사 이광(李洸)의 군관이 되고 전라도 정읍의 현감이 됨
1590년 고사리진, 만포지의 첨사로 임명되었으나 대간들의 반대로 취소됨
1591년(47살) 전라도 진도의 군수가 됨. 같은 달 전라좌수사가 됨
1592년(48살) 거북선을 완성함
(임진) 임진란 발발, 경상도 출전 명령을 받음. 옥포승첩 거둠.
당포승첩 거둠. 한산대첩 거둠. 부산승첩 거둠
1593년(49살) 웅포(熊浦) 지역의 왜적들을 격파함
전라좌도수군절도사 겸 삼도수군통제사에 임명됨
1594년 당항포 해전을 통해 적선 31척을 격파
1596년 전쟁의 소강기를 맞아 더욱 철저한 군진 관리로 일관함
1597년(53살) 한성으로 압송됨. 투옥된 지 28일 만에 출옥해 백의종군함.
삼도수군통제사에 재임명됨. 명량해전에서 대승첩 거둠.
1598년 노량승첩 거두고 순국함.
참고문헌
김덕수(2004). 맨주먹의 CEO 이순신에게 배워라. 밀리언하우스
김명교(2004). CEO 이순신 불멸의 리더십. 은금나라
김종대(2004). 내게는 아직도 배가 열두척이 있습니다. 북포스
김형진(2006). 벼랑 끝에서 만나는 처칠. 기파랑
박천홍(2005). (인간)이순신 평전. 북하우스
실리아 샌디스, 조나단 리트만(2004). 우리는 결코 실패하지 않는다. 한스미디어
스티븐 F. 헤이워드(1998). 지금 왜 처칠인가. 중앙M&B
앤드류 로버츠(2003). CEO 히틀러와 처칠, 리더십의 비밀. 휴먼앤북스
윈스턴 처칠(2003). 폭풍의 한가운데(윈스턴 처칠 수상록). 아침이슬
윤영수(2005). 불패의 리더 이순신, 그는 어떻게 이겼을까. 웅진지식하우스
진주국립박물관(2003). 삶에서 신화까지 충무공 이순신. 예맥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8.10.16
  • 저작시기200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60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