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꽃잎과 원작소설 “ 저기 소리 없이 한 점 꽃잎이 지고 ”의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 꽃잎과 원작소설 “ 저기 소리 없이 한 점 꽃잎이 지고 ”의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을 때, 소녀 혼자 사람들 사이를 지나쳐 가는 장면을 그리고 있다. 이 장면은 소설 속에는 없는 장면으로 영화를 관통하고 있는 다큐멘터리적 영상과 묘한 연관성을 갖는다. 그 영상에서 군부의 학살은 애국가를 신호로 시작되었다. 여기서 드러난 국가 권력은 상당히 모순적이다. 애국가를 신호로 자기 나라 국민들을 학살하는 것이 얼마나 모순적인가. 즉 이 장면은 광주 민주화운동에서 나타난 국가 권력의 부당함과 모순을 드러내는 것이다. 시장에서의 장면에서 소녀는 애국가가 시작되자, 자리에서 일어나 사람들 사이를 지나쳐 사라진다. 이것은 광주 민주화운동에서 나타난 국가 권력의 부당함과 모순에 대한 체념적인 저항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겠다.
2)작가의 독백
소설에서 도입부에 있었던 작가의 독백이 영화에서는 제일 끝부분으로 옮겨진 것이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이 독백은 소설과 영화에서 각각 다른 역할을 제공한다. 다소 관조적이고 담담한 문체로 쓰여진 독백 부분은 소설에서 도입부에 제시됨으로써, 이 후에 작가가 어떻게 문제를 바라보고, 주제에 접근할 것인가에 대한 길을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작가는 이 독백을 전제로 문제에 대한 실존적 접근을 시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영화에서는 이 독백을 뒤로 옮길 뿐만 아니라 필요한 부분만 인용함으로써, 감독이 말하고자 했던 것이 흐려지는 것을 막고, 더 나아가 감독이 영화를 통해 우리에게 하고자 했던 말을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감독은 그저 잠시 관심 있게 보아줄 것을 당부하고자 했던 것이다.
이처럼 소설에서 영화로 옮겨지면서 주제 의식은 보다 선명하고 구체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위에서 언급한 것을 제외하고도 몇 가지 장치들이 영화에서 나타나고 있다. 예컨대, 소설에서는 모년 모월 모시라고 하여 사건이 일어난 시간을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음으로 폭력의 보편성과 역사성을 드러내었다면, 영화에서는 전두환 대통령의 제5공화국 수립을 선포하는 TV장면을 통해 영화의 사건 전체를 광주 민주화운동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하도록 하여 바로 그날의 폭력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또한 소설 속에서의 건장한 남자 장이 영화 속에서 절름발이 되면서 당시에 있었던 군부의 또 다른 폭력을 단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즉, 다리를 저는 장은 군부의 조작에 의해 왜곡되고 폭력적인 시각을 갖게 된, 당시에 광주 민주화운동을 빨갱이의 짓이라 믿고 거부감을 가졌던 소시민을 상징한다. 이는 당시에 있었던 폭력의 또 다른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3) 소녀의 내면세계
영화에서는 소녀의 내면세계를 선명하게 표현하기 위해서 애니메이션을 삽입하였다. 삽입된 2편의 애니메이션을 통해 영화는 그날 이 후, 돌아갈 수 없었던 집에 대한 그리움과 군부 세력의 악함을 잘 그려내고 있다. 그리고 영상을 흑백으로 구분하여 처리함으로써, 관객으로 하여금 소녀의 의식을 이해하는 것에 도움을 주고 있다. 또한 영화는 국악을 통해 그날의 불안감과 비극을 증폭시키고 있다. 그리고 주제가로 사용된 김추자의 「꽃잎」을 통해 군부에 의해 짓밟혀진 일상의 낭만을 나타내고 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10.16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60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