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브랜드 소개
1. about Hazzys
2. 제품 정보
3. 제공 서비스
4. 현 브랜드의 마케팅 및 전략
Ⅱ. 환경 분석
1. 외부 환경
2. 내부 환경
Ⅲ. SWOT 분석
1. SWOT 분석
2. SWOT 분석의 전략적 대안
Ⅳ. STP 전략
1. Segmentation
2. Targeting
3. Positioning
Ⅴ. 4P 마케팅 믹스
1. Product
2. Price
3. Place
4. Promotion
Ⅵ. 비판적 대안 제시
1. 온라인 시장을 겨냥한 독립적 쇼핑몰 운영
2. 혁신적인 홍보 전략
3. 서브 브랜드의 출시
4. 감성 마케팅
1. about Hazzys
2. 제품 정보
3. 제공 서비스
4. 현 브랜드의 마케팅 및 전략
Ⅱ. 환경 분석
1. 외부 환경
2. 내부 환경
Ⅲ. SWOT 분석
1. SWOT 분석
2. SWOT 분석의 전략적 대안
Ⅳ. STP 전략
1. Segmentation
2. Targeting
3. Positioning
Ⅴ. 4P 마케팅 믹스
1. Product
2. Price
3. Place
4. Promotion
Ⅵ. 비판적 대안 제시
1. 온라인 시장을 겨냥한 독립적 쇼핑몰 운영
2. 혁신적인 홍보 전략
3. 서브 브랜드의 출시
4. 감성 마케팅
본문내용
소비자(구매자협상력)표 - www. prosumero. com (프로슈머)
20대 명품소비증가 - 에비뉴엘
기존브랜드의 식상함 표 - www. fashionchannel. co .kr (패션채널)
외모경쟁력에 대한 남성관심증대 - www. fashionchannel. co .kr (패션채널)
고가제품 선호 표 - www. chosun. com (조선일보)
온라인시장 확대 첫 번째표 - www. nso. go. kr (통계청)
온라인시장 확대 두 번째표 - www. fashionbiz. co. kr
QP시장표 - www. fashionchannel. co .kr (패션채널)
매출액성장률 - www. chosun. com (조선일보)
고객만족도 - www. prosumero. com (프로슈머)
※ 해지스 골프 런칭시 자사의 다른 골프브랜드와의 관계 설정 문제
: LG패션의 브랜드 중에서 골프브랜드로는 닥스골프가 있다. 닥스골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지스가 서브브랜드로 해지스 골프를 런칭하게 되면 고객이 중복될 수 있다. 그러나 자사의 경쟁으로 인한 매출 감소보다는 다른 경쟁브랜드와의 경쟁속에서의 고객 유치가 전체적으로는 더 큰 매출 향상을 가져올 것이라고 생각한다.
닥스라는 브랜드는 전통적인 남성복 브랜드로써 남성의 전유물이라는 인식이 강한 브랜드이다. 또한 해지스에 비하여 닥스라는 브랜드의 이미테이션 시장이 크게 활성화 되어있어서 닥스라는 이미지가 훼손되어진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의 닥스란 브랜드에서 파생된 닥스골프라는 한 가지의 브랜드만 고집하기 보다는 해지스라는 브랜드에서 런칭한 해지스 골프는 유니섹스 브랜드이면서 캐쥬얼 브랜드라는 이미지가 있기 때문에 남,녀 성별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방향에서의 전략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 경쟁자 분석
1. Bean Pole vs Polo
(1) 타겟층
Bean Pole
Polo
기본적으로는 “Non Age"중심, 20~30대 남녀.
Academic한 Image를 선호하는 20대의 학생 및 신분적 차별화를 추구하는 30대 자영업을 하는 중상류층 남녀. 역시 여러라인을 두어 패밀리 브랜드로 도약.
의사결정권이 있는 18~49세의 젊은 남성들이 주 고객층. 그러나 여기라인을 두어 kids부터 중년의 고객까지 노리고 있는 셈.
(2) 브랜드 익스텐션(Brand Extension)
Bean Pole
Polo
빈폴 레이디스, 빈폴 옴므, 빈폴 골프,빈폴진 등 7개의 서브브랜드로 ‘브랜드 익스텐션 전략
2003년 명동에 플래그십 스토어 오픈
플래그십 스토어를 통해 명품 패밀리 브랜드로서 하나의 통합된 이미지를 보여줄 수 있는 유통망 획득.
문화마케팅 실시: 런칭당시부터 고급스러운 소재감을 위해 철저히 자연 친화적인 소재 사용.
‘자연사랑캠페인’은 소비자들의 공감대 형성, 브랜드 확장 뒷받침
미국의 유명디자이너 ‘랄프로렌’의 성공이후 내놓은 트래디셔널 캐주얼 브랜드
이후93년 처음 선보인 서브 브랜드는 폴로 스포츠.
더불어 폴로칠드런,폴로보이스,걸스,인펀드,토들러(Infant/Toddler)로 구성돼 실용성을 바탕, 랄프로렌의 전통을 지향하면서 부모와 아이들이 함께 즐기는 의상생산
폴로진스, 폴로 골프등의 서브라인을 앞세워 40여개가 넘는 독립매장, 75개가넘는 해외 매장.
(3) 명품이미지
Bean Pole
Polo
고전적이로 전통적인 이미지를 추구하는
유니섹스풍의 European Neo Traditional의
성향
매스티지 브랜드: 경제적으로 여유롭지 못하나 명품을 사고싶어하는 이들을 자극, 명품과 타 브랜드와의 적절한 가격정책을 통해 사치스럽지 않은 고급스러움 획득
패밀리 브랜드-> 폭넓은 고객확보
컬렉션라인(Collection Line): 해외시장공략을 위함. 기존 빈폴 제품보다 업그레이드된 프리미엄 캐주얼.
패션에 민감한 20대 엘리트를 주 타겟.
폴로를 의식, 2005년부터 현재를 비롯해 세계화 전략의 적절한 조화를 꾀하기 위해
이국적인 외모의 다니엘 헤니와 세계적인 여배우 기네스 펠트로를 모델로 기용, 고급명품의 이미지를 굳히고 있음.
미국상류층의 한가로운 분위기가 물씬풍기는 가장 미국적인 브랜드
영국의 귀족주의+미국의 합리주의정신
->옷을 통해 상류사회모방, 상류 사회지향의 욕구를 충족.
패션브랜드->나이와 소득수준에 따라 폴로랄프로렌의 제품을 선택할 수 있어 명품의 이미지로 자신이 원하는 라인의 제품을 적합한 가격에 구매 가능
(4) 광고와 마케팅
Bean Pole
Polo
요트경기를 후원, 폴로와 차별되는 고급 문화 브랜드의 이미지를 구축
노세일결정
-> 소비자에게 신뢰감, 매출40%성장
애프터서비스
뉴욕, 밀라노, 도쿄 등 패션 선진국에 디자인 센터를 두어 세계 패션경향을 신속히 파악, 매년 선진제품과의 비교 전시화함으로서 유명브랜드의 장점을 벤치마킹함
미국이나 유럽의 귀족스포츠인 ‘폴로’를 후원-> 고급문화 브랜드의 이미지 구축
디자이너의 유명세 -> 할리우드 스타들의 착용만으로도 큰 광고효과
디자인은 곧 전략, 전략은 곧 상품
2. 소비자 선호도
빈폴 : 트래디셔널캐주얼 부문에서는 제일모직의 ‘빈폴’이 베스트 브랜드로 선정되었을만큼 빈폴은 39%의 지지율로 다른 브랜드와는 큰 격차를 보이며 소비자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폴로를 모방했다는 의식이 강하지만 반면 폴로와 동급 이미지로 쉽게 자리매김했다.
국내의 제일모직이라는 신뢰있는 기업의 고품질 제품임을 각인시켜 소비자들이 보다 안정적으로 제품을 구매하는 성향이 있다. 빈폴 고유의 체크는 캐쥬얼하면서도 격식있는 자리에서도 자연스러워 상황에 따를 실용성이 높이 평가되고 있다.
폴로 : 강남권에서는 빈폴의 매출을 앞지르며 명품 랄프로렌의 효과로 폴로의 고급 이미지에 손을 들어주었다. 광고가 아닌경우에도 연예인들의 폴로를 착용하는 모습을 통해 모방심리가 광고에 큰 몫을 해냈다. 또한 빈폴보다 세계적인 브랜드라는 점에서 안정적으로 브랜드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았다. 의류의 경우 국산보다 외국 제품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아 그 점에서도 한 몫 한 듯 싶다. 오랜 역사를 자랑하지만 반면 지나친 이미테이션의 증가로 진품조차도 사기가 꺼려지는 부분이 있다.
20대 명품소비증가 - 에비뉴엘
기존브랜드의 식상함 표 - www. fashionchannel. co .kr (패션채널)
외모경쟁력에 대한 남성관심증대 - www. fashionchannel. co .kr (패션채널)
고가제품 선호 표 - www. chosun. com (조선일보)
온라인시장 확대 첫 번째표 - www. nso. go. kr (통계청)
온라인시장 확대 두 번째표 - www. fashionbiz. co. kr
QP시장표 - www. fashionchannel. co .kr (패션채널)
매출액성장률 - www. chosun. com (조선일보)
고객만족도 - www. prosumero. com (프로슈머)
※ 해지스 골프 런칭시 자사의 다른 골프브랜드와의 관계 설정 문제
: LG패션의 브랜드 중에서 골프브랜드로는 닥스골프가 있다. 닥스골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지스가 서브브랜드로 해지스 골프를 런칭하게 되면 고객이 중복될 수 있다. 그러나 자사의 경쟁으로 인한 매출 감소보다는 다른 경쟁브랜드와의 경쟁속에서의 고객 유치가 전체적으로는 더 큰 매출 향상을 가져올 것이라고 생각한다.
닥스라는 브랜드는 전통적인 남성복 브랜드로써 남성의 전유물이라는 인식이 강한 브랜드이다. 또한 해지스에 비하여 닥스라는 브랜드의 이미테이션 시장이 크게 활성화 되어있어서 닥스라는 이미지가 훼손되어진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의 닥스란 브랜드에서 파생된 닥스골프라는 한 가지의 브랜드만 고집하기 보다는 해지스라는 브랜드에서 런칭한 해지스 골프는 유니섹스 브랜드이면서 캐쥬얼 브랜드라는 이미지가 있기 때문에 남,녀 성별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방향에서의 전략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 경쟁자 분석
1. Bean Pole vs Polo
(1) 타겟층
Bean Pole
Polo
기본적으로는 “Non Age"중심, 20~30대 남녀.
Academic한 Image를 선호하는 20대의 학생 및 신분적 차별화를 추구하는 30대 자영업을 하는 중상류층 남녀. 역시 여러라인을 두어 패밀리 브랜드로 도약.
의사결정권이 있는 18~49세의 젊은 남성들이 주 고객층. 그러나 여기라인을 두어 kids부터 중년의 고객까지 노리고 있는 셈.
(2) 브랜드 익스텐션(Brand Extension)
Bean Pole
Polo
빈폴 레이디스, 빈폴 옴므, 빈폴 골프,빈폴진 등 7개의 서브브랜드로 ‘브랜드 익스텐션 전략
2003년 명동에 플래그십 스토어 오픈
플래그십 스토어를 통해 명품 패밀리 브랜드로서 하나의 통합된 이미지를 보여줄 수 있는 유통망 획득.
문화마케팅 실시: 런칭당시부터 고급스러운 소재감을 위해 철저히 자연 친화적인 소재 사용.
‘자연사랑캠페인’은 소비자들의 공감대 형성, 브랜드 확장 뒷받침
미국의 유명디자이너 ‘랄프로렌’의 성공이후 내놓은 트래디셔널 캐주얼 브랜드
이후93년 처음 선보인 서브 브랜드는 폴로 스포츠.
더불어 폴로칠드런,폴로보이스,걸스,인펀드,토들러(Infant/Toddler)로 구성돼 실용성을 바탕, 랄프로렌의 전통을 지향하면서 부모와 아이들이 함께 즐기는 의상생산
폴로진스, 폴로 골프등의 서브라인을 앞세워 40여개가 넘는 독립매장, 75개가넘는 해외 매장.
(3) 명품이미지
Bean Pole
Polo
고전적이로 전통적인 이미지를 추구하는
유니섹스풍의 European Neo Traditional의
성향
매스티지 브랜드: 경제적으로 여유롭지 못하나 명품을 사고싶어하는 이들을 자극, 명품과 타 브랜드와의 적절한 가격정책을 통해 사치스럽지 않은 고급스러움 획득
패밀리 브랜드-> 폭넓은 고객확보
컬렉션라인(Collection Line): 해외시장공략을 위함. 기존 빈폴 제품보다 업그레이드된 프리미엄 캐주얼.
패션에 민감한 20대 엘리트를 주 타겟.
폴로를 의식, 2005년부터 현재를 비롯해 세계화 전략의 적절한 조화를 꾀하기 위해
이국적인 외모의 다니엘 헤니와 세계적인 여배우 기네스 펠트로를 모델로 기용, 고급명품의 이미지를 굳히고 있음.
미국상류층의 한가로운 분위기가 물씬풍기는 가장 미국적인 브랜드
영국의 귀족주의+미국의 합리주의정신
->옷을 통해 상류사회모방, 상류 사회지향의 욕구를 충족.
패션브랜드->나이와 소득수준에 따라 폴로랄프로렌의 제품을 선택할 수 있어 명품의 이미지로 자신이 원하는 라인의 제품을 적합한 가격에 구매 가능
(4) 광고와 마케팅
Bean Pole
Polo
요트경기를 후원, 폴로와 차별되는 고급 문화 브랜드의 이미지를 구축
노세일결정
-> 소비자에게 신뢰감, 매출40%성장
애프터서비스
뉴욕, 밀라노, 도쿄 등 패션 선진국에 디자인 센터를 두어 세계 패션경향을 신속히 파악, 매년 선진제품과의 비교 전시화함으로서 유명브랜드의 장점을 벤치마킹함
미국이나 유럽의 귀족스포츠인 ‘폴로’를 후원-> 고급문화 브랜드의 이미지 구축
디자이너의 유명세 -> 할리우드 스타들의 착용만으로도 큰 광고효과
디자인은 곧 전략, 전략은 곧 상품
2. 소비자 선호도
빈폴 : 트래디셔널캐주얼 부문에서는 제일모직의 ‘빈폴’이 베스트 브랜드로 선정되었을만큼 빈폴은 39%의 지지율로 다른 브랜드와는 큰 격차를 보이며 소비자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폴로를 모방했다는 의식이 강하지만 반면 폴로와 동급 이미지로 쉽게 자리매김했다.
국내의 제일모직이라는 신뢰있는 기업의 고품질 제품임을 각인시켜 소비자들이 보다 안정적으로 제품을 구매하는 성향이 있다. 빈폴 고유의 체크는 캐쥬얼하면서도 격식있는 자리에서도 자연스러워 상황에 따를 실용성이 높이 평가되고 있다.
폴로 : 강남권에서는 빈폴의 매출을 앞지르며 명품 랄프로렌의 효과로 폴로의 고급 이미지에 손을 들어주었다. 광고가 아닌경우에도 연예인들의 폴로를 착용하는 모습을 통해 모방심리가 광고에 큰 몫을 해냈다. 또한 빈폴보다 세계적인 브랜드라는 점에서 안정적으로 브랜드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았다. 의류의 경우 국산보다 외국 제품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아 그 점에서도 한 몫 한 듯 싶다. 오랜 역사를 자랑하지만 반면 지나친 이미테이션의 증가로 진품조차도 사기가 꺼려지는 부분이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