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들어가는 말
II. LG패션 소개
2-1. 대한민국 패션의 역사 LG패션
2-2. 런칭 브랜드
III. LG패션의 세분화, 표적시장, 포지셔닝 전략
3-1. Segmentation (시장세분화)
3-2. Targeting (표적시장)
3-3. Positioning (포지셔닝)
3-4. 그 밖의 마케팅 전략
IV. 실행 및 실패사례, LG패션의 발전방향
4-1. LG패션, 과감한 투자와 마케팅으로 불황 파도 극복
4-2. 실패사례
V. 맺는말
II. LG패션 소개
2-1. 대한민국 패션의 역사 LG패션
2-2. 런칭 브랜드
III. LG패션의 세분화, 표적시장, 포지셔닝 전략
3-1. Segmentation (시장세분화)
3-2. Targeting (표적시장)
3-3. Positioning (포지셔닝)
3-4. 그 밖의 마케팅 전략
IV. 실행 및 실패사례, LG패션의 발전방향
4-1. LG패션, 과감한 투자와 마케팅으로 불황 파도 극복
4-2. 실패사례
V. 맺는말
본문내용
(2) ‘Goodbye Pole’ Hazzys의 경쟁자 포지셔닝 전략
‘굿바이, 폴...’ 자전거와 말은 이제 그만!
헤지스, ‘굿바이, 폴...’ 자전거와 말은 이제 그만! 비교 연상 광고로 LG패션의 「헤지스(Hazzys)」가 「폴로」와「빈폴」을 겨냥한 ‘굿바이, 폴’이라는 새로운 CF를 제작, 방영을 시작해 업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낡은 자전거를 탄 청순한 여자가 보도 위를 달린다. 불현듯 그녀는 「헤지스」 매장의 쇼윈도에 시선을 사로잡힌다. 그녀가 입고 있는 연미복과 모자는 쇼윈도의 옷에 비하면 구시대적. 홀린 듯 자기도 모르게 매장 안으로 들어서는 그녀, 잠시 후 매장을 나서는 그녀는 더 없이 상쾌하고 행복한 미소를 짓고 있다. 세워놓았던 자전거는 그녀에게 외면당해 힘없이 넘어진다. 헛도는 바퀴 소리가 처량하다. 마지막 그녀의 한마디는 ‘굿바이 폴’.
이번에는 매장 앞에 말을 탄 폴로 선수가 등장한다. 그 역시 쇼윈도에 시선을 뺏긴 상태. 한참을 멍하니 바라만 보던 그도 결국 매장으로 들어서고, 잠시 후 폴로 복장은 온데간데 없고 댄디한 귀공자가 되어 매장을 나온다. 여자가 자전거를 외면했듯 남자는 타고 온 말을 외면하고 화면 밖으로 사라진다. 그가 가지고 있던 폴로채와 폴로캡은 어딘지도 모를 벤치위에 버려져 비를 맞고 있다. 마지막 그의 한 마디 역시 ‘굿바이 폴’ 이다.
이번에 「헤지스」에서 새롭게 선보인 CF는 ‘굿바이, 폴’을 컨셉으로 해 기존 트래디셔널 브랜드와의 이별을 위트 있게 보여준다. CF속의 주인공은 입고 있던 옷은 물론, 자신이 타고 온 자전거와 말을 버리고 사라진다. 기존의 트래디셔널 브랜드「빈폴(BEAN POLE)」과 「폴로(Polo)」와 이별하라는 의미를 재미있게 풀어냈다.
이와관련 LG패션 광고팀의 강동민 과장은 "소비자들이 국내 트래디셔널 시장의 1, 2위인 「빈폴」, 「폴로」와 함께 자연스럽게 헤지스를 떠올리고, 기존의 트래디셔널 브랜드와는 다른 모던하고 세련된 감성이 느껴지는 헤지스를 느껴보라는 의미에서 이런 비교 광고를 실시하게 됐다."고 기획 의도를 설명했다.
2001년 공정거래위원회가 자사 제품에 유리한 속성을 갖고 비교광고를 할 수 있다고 규제를 완화하면서 여러 산업 분야에서 비교 광고를 시작했다.
이런 비교 광고는 소비자에게 기존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참조점, Reference)를 제공해 새 브랜드의 인지도를 높이고 경쟁사와 차별화 포인트를 제공하기 위해 많이 사용된다. 이번 「헤지스」의 CF는 패션 업계 최초의 비교 연상 광고로, TV CF를 시작으로 트래디셔널 빅(Big) 3 브랜드 이미지를 굳히기 위해 버스, 잡지, 지하철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굿바이, 폴!’ 캠페인을 공격적으로 전개할 계획이다.
<중략>
‘굿바이, 폴...’ 자전거와 말은 이제 그만!
헤지스, ‘굿바이, 폴...’ 자전거와 말은 이제 그만! 비교 연상 광고로 LG패션의 「헤지스(Hazzys)」가 「폴로」와「빈폴」을 겨냥한 ‘굿바이, 폴’이라는 새로운 CF를 제작, 방영을 시작해 업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낡은 자전거를 탄 청순한 여자가 보도 위를 달린다. 불현듯 그녀는 「헤지스」 매장의 쇼윈도에 시선을 사로잡힌다. 그녀가 입고 있는 연미복과 모자는 쇼윈도의 옷에 비하면 구시대적. 홀린 듯 자기도 모르게 매장 안으로 들어서는 그녀, 잠시 후 매장을 나서는 그녀는 더 없이 상쾌하고 행복한 미소를 짓고 있다. 세워놓았던 자전거는 그녀에게 외면당해 힘없이 넘어진다. 헛도는 바퀴 소리가 처량하다. 마지막 그녀의 한마디는 ‘굿바이 폴’.
이번에는 매장 앞에 말을 탄 폴로 선수가 등장한다. 그 역시 쇼윈도에 시선을 뺏긴 상태. 한참을 멍하니 바라만 보던 그도 결국 매장으로 들어서고, 잠시 후 폴로 복장은 온데간데 없고 댄디한 귀공자가 되어 매장을 나온다. 여자가 자전거를 외면했듯 남자는 타고 온 말을 외면하고 화면 밖으로 사라진다. 그가 가지고 있던 폴로채와 폴로캡은 어딘지도 모를 벤치위에 버려져 비를 맞고 있다. 마지막 그의 한 마디 역시 ‘굿바이 폴’ 이다.
이번에 「헤지스」에서 새롭게 선보인 CF는 ‘굿바이, 폴’을 컨셉으로 해 기존 트래디셔널 브랜드와의 이별을 위트 있게 보여준다. CF속의 주인공은 입고 있던 옷은 물론, 자신이 타고 온 자전거와 말을 버리고 사라진다. 기존의 트래디셔널 브랜드「빈폴(BEAN POLE)」과 「폴로(Polo)」와 이별하라는 의미를 재미있게 풀어냈다.
이와관련 LG패션 광고팀의 강동민 과장은 "소비자들이 국내 트래디셔널 시장의 1, 2위인 「빈폴」, 「폴로」와 함께 자연스럽게 헤지스를 떠올리고, 기존의 트래디셔널 브랜드와는 다른 모던하고 세련된 감성이 느껴지는 헤지스를 느껴보라는 의미에서 이런 비교 광고를 실시하게 됐다."고 기획 의도를 설명했다.
2001년 공정거래위원회가 자사 제품에 유리한 속성을 갖고 비교광고를 할 수 있다고 규제를 완화하면서 여러 산업 분야에서 비교 광고를 시작했다.
이런 비교 광고는 소비자에게 기존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참조점, Reference)를 제공해 새 브랜드의 인지도를 높이고 경쟁사와 차별화 포인트를 제공하기 위해 많이 사용된다. 이번 「헤지스」의 CF는 패션 업계 최초의 비교 연상 광고로, TV CF를 시작으로 트래디셔널 빅(Big) 3 브랜드 이미지를 굳히기 위해 버스, 잡지, 지하철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굿바이, 폴!’ 캠페인을 공격적으로 전개할 계획이다.
<중략>
키워드
추천자료
아르떼 포베라(Arte Povera)가 현대패션에....
[의류] 2000년대 사회문화현상과 패션과의 관계
코디네이션의 정의를 내리고, 의상과 패션코디네이션의 연출방법 중 5가지를 선택하여 그 특...
Fashion Marketing Strategy(패션 마케팅 전략)
[의상디자인]2009 패션유행 트랜드 전망 (A+리포트)
(기독교와 영화) 패션오브크라이스트, 몬트리올예수, 그리스도 최후의 유혹 세가지 비교 감상문
2008년 F/W(가을.겨울)패션 트랜드
유니클로(UNIQLO)로 살펴본 한국패션비즈니스모델 개발
[마케팅] 떠오르는 남성 패션의류시장 시장분석과 변화요인 및 향후 시장전망 제시
일본의 전통 의복과 현대 패션
방통대학교 가정학과 2학년 1학기 - 패션디자인 과제.pptx
[동서 문화의 이해] 전쟁이 패션에 미치는 영향 (제1·2차 세계대전, 미국과 베트남의 월남전,...
1980년대 사회社會 문화적 배경 및 패션 메이크업 경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