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암요인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발암요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세포분열
1-1. 세포주기
1-2. 세포주기 조절
1-3. 세포자살(apoptosis)

2. 암세포의 특징
2-1. 비정상적인 염색체 수
2-2. 분화된 조직 세포의 기능 수행하지 않음
2-3. 비정상적인 세포 수 증식
2-4. 혈관형성 유도
2-5. 종양을 형성
2-6. 전이

3. 암의 원인
3-1. 유전학적 요인- 돌연변이
3-2. 화학적 요인 - 발암물질

4. 발암기전
4-1.다단계 발암기전
4-2. 발암기전의 두 가지 측면

6. 암의 종류

7. 암에 관한 통계
7-1. 암으로 인한 사망 통계
7-2. 암발생 통계

8. 위암
8-1. 위암의 발생원인
8-2. 증상
8-3. 진단방법
8-4. 위암의 발생과 진
8-5. 치료
8-6. 예방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상부위장관촬영술이나 위내시경검사로 위암을 진단할 수 있다. 위내시경검사를 할 때 조직검사를 하여 암세포를 발견하면 확진할 수 있다. 전산화단층촬영술이나 초음파검사를 시행하여 암이 주변 장기를 침범하였는지, 림프절 혹은 다른 장기로 전이되었는지 확인한다.
② 전산화단층촬영(CT)
전산화단층촬영(CT)은 인체에 X선을 여러 각도로 투과시켜 복부의 단면 모습을 볼 수 있는 검사이다. 위암의주위 조직 침범과 림프절 전이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간과 복막 등에 원격 전이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어 수술 전 위암의 진행 상태를 파악하는데 필요한 검사이다.
③ 상부위장조영술(UGI)
상부위장조영술(UGI)은 조영제를 경구 투여한 후에 X선 촬영을 하여 위점막v표면의 변화를 관찰한다. 위암의 모양, 크기 및 위치를 평가할 수 있어서, 위암의 진단과 수술시 절제 범위를 결정하는데 유용한 검사이다.
④ 자기공명촬영(MRI)
일반적으로 잘 시행하지는 않으나 CT촬영에서 간에 혹이 보일 때 간으로 암이 전이된 것인지, 다른 문제가 없는양성 혹인지를 구별하기 위해 시행하는 경우가 있다.

⑤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현재 나온 암 검사방법 중 가장 민감도가 높다고 알려진 검사방법이다. 그러나 위암은 내시경검사 등으로 진단이 쉽게 되는 병이며, 위암에서 양전자방출단층촬영은 진행이 많이 된 환자에서 암 주변으로의 국소 전이나 간, 폐, 복막 등으로의 전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할 수 있다. 아직 위암에서 명확한 역할이 확립이 되어있지 않은 검사방법이며, 보험 적용이 되지 않고 고가의 검사비가 들어 담당 의사와 충분한 상의 후에 시행하게 된다.
8-4. 위암의 발생과 진행
위암은 정상 위점막세포가 증식조절이 되지 않는 암세포로 변하여 발생한다. 발암물질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경우에 억제되어 있던 암유전자가 활성화되거나 암억제유전자가 불활성화되어 정상 위점막세포가 암세포로 변하게 된다.
암의 진행정도를 병기라고 하는데, 위벽 침윤정도(T), 주위 림프절 전이정도(N), 그리고 간, 복막, 폐 등 타 장기 전이여부(M)를 종합하여 결정된다(http://www.cancer.go.kr/). 병기는 1기에서 4기로 분류되고, 숫자가 높을수록 진행된 위암이다.
① 1기
점막이나 점막하층에 암이 국한되고 주위 림프절에 전이가 없는 경우로 수술로 완치될 수 있는 단계이다.

② 2기나 3기
근육층이나 장막층에 침습이 있거나 주위 림프절에 암세포가 퍼졌지만, 먼 곳까지 암이 퍼지지는 않은 단계로 수술을 기본적인 치료로 하게 되지만, 재발 확률이 높아 수술 후 보조적인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는 단계이다. 보조적 항암화학요법의 경우 아직 명백한 생존율 향상의 증거가 없기 때문에 여러 임상시험이 이루어지고 있다.

③ 4기
암이 수술로 모두 제거되기 힘들 정도로 퍼진 상태로 수술을 하는 것이 의미가 없는 경우가 많고 전신적인 치료 즉, 항암화학요법을 하게 되는 단계이다. 때로 항암화학요법도 힘든 경우가 있다.
(http://www.cancer.go.kr)
8-5. 치료
암의 파급정도에 따라 조기위암이란 암의 침윤정도가 위의 점막층 내지는 점막하층에 국한되어 있는 경우이고 점막하층을 지나 근육층 이상 혹은 주위 림프절로 침범하였을 때 진행위암이라고 부르며 간, 췌장, 대장, 복막내로 퍼질 수 있다.
위암의 가장 이상적인 치료는 수술로서 조기 위암의 경우 합리적인 근치절제술을 시행하고 진행 암인 경우에는 근치수술 후에 항암 화학요법과 면역요법 등을 함께 시행한다. 수술방법으로는 암의 침범정도와 발생부위에 따라 위 전체를 절제하는 위전절제술과 75%에서 80%를 절제하는 위아전절제술을 시행하며 동시에 림프절 절제술을 함께 시행한다(박재갑 등, 2003)
수술의 치료성적은 위암의 진행정도 즉 위벽의 침윤깊이, 위 주위 림프절의 전이유무에 따라 다르다. 이런 진행의 정도를 병리적으로 4기로 구분하여 치료방침과 치료효과 예측의 기준으로 삼기도 한다. 전체적으로 볼 때 일단 근치적 위절제술을 시행하면 65%이상이 치유율을 보이고 있으며 조기위암의 경우 90%이상의 치유율을 보이고 있다. 최근 조기위암의 완치율이 높아짐에 따라 조기위암 치료에 있어서 기능의 보존과 생활의 질 향상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기능보존을 위한 축소술식이 시행되고 있는데 내시경적 점막절제술, 복강경을 이용한 수술, 유문보존 위절레술, 미주신경보존 위절제술, 근위부 위절제술 등이 연구되고 있다.
8-6. 예방
위암의 발병을 막이 위해서는 신선한 야채, 과일, 단백질이 풍부한 식품(두부, 육류), 그리고 비타민 A, C, E 의 지속적인 섭취, 심심한 된장국, 우유와 인삼 등을 섭취하는 일이다. 녹황색 야채나 과일 속의 비타민 A와 C가 암 예방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올바른 건강한 식습관을 어릴 때부터 갖는 것이 중요하다.
9. 참고 문헌
강빈구, 강성구, 김명옥, 김완종, 김정상, 김 준, 김찬길, 남궁옥, 등영건, 배동규, 서경연,
송승달, 여성문, 유관희, 유 인, 이근섭, 이종욱, 이주하, 이호자, 이화자, 정상렬, 정 국현, 정규용, 조유정, 지희윤, 추상국, 현성희(2003). 인체생물학. 정문각. 733pp.
강성구, 강신성, 백상기, 오문유, 이광호, 이정주, 정현택, 현상진(2004) 인체 생물학. 아카데미서적. 418pp.
김명원(2002) 생명과학 제 3판. 라이프사이언스. 646pp.
박재갑, 박찬일, 김노경(2003). 종양학의 원리. 일문각. 1052pp
안태인(2003) 인체생명과학. 아카데미서적. 349pp.
황혜진, 서동상, 진동규(2005). Essentials of 유전학. 월드사이언스. 627pp.
국가암정보센터. http://www.cancer.go.kr(060725)
오늘의 과학소식 한국과학재단 http://www.kosef.re.kr(021129)
사이언스올. http://www.scienceall.com/sa0news/04/08e/view_232270.jsp?selMenu=ab (051026)
사이언스올. http://www.scienceall.com(030521)

키워드

세포,   분열,   조직,   위암,   ,   간암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8.10.18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63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