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작용을 위해 산성조건이 필요한데, 세포질로부터 자기내부로 양성자를 펌프해 들여옴으로써 산성조건을 만듬(세포가 터지더러도 세포질에 대한 손상이 방지됨)
-자기소화작용(autophagy) : 세포내의 손상되었거나 노화된 세포기관들이 분해 액포로 흡수되어 리소좀의 효소에 의해 가수분해
-타가소화작용(heterophagy) : 리소좀의 작용 후에 식세포인 백혈구가 남은 것을 분해함
-고체로된 물질을 섭취해 분해 액포를 형성하고, 분해 액포와 융합하여 포획 된 물질을 자신의 효소를 사용해 분해
-저장병(storage disease) : 리소좀 효소가 바뀌거나 없어서 발생하는 유전병
ex) 테이-삭(Tay-Sachs)병 : 리소좀 효소(N-acetylhexosaminidase)의 결핍은 뇌세포 내에 갱글리오시드(ganglioside)라는 지질을 축적시켜 정신박약, 시력상실, 죽음까지도 유발
(5) 미소체
① 퍼옥시좀(peroxisome) : 미소체(microbody)라는 세포소기관의 한 부류
미토콘드리아나 엽록체 가까이에 위치해 있음
간과 신장세포에서 가장 흔함 - 활면소포체의 바깥쪽 시스터나로부터 기원 추측
퍼옥시좀의 주요 효소 → 카탈라제(catalase ; 과산화수소 분해효소)
: 과산화 수소를 물과 산소로 분해 (2 H2O → 2 H2O + O2 )
과산화수소는 위험하고 반응성이 큰 산화제로 퍼옥시좀 효소의 역할은 세포 보호
② 글리옥시좀(glyoxysome) : 종자의 지질저장 부위에서 흔하게 나타나는 미소체
종자가 발아하는 동안 저장된 지질을 당으로 전화시켜 유식물이 광합성을 통해 양분을 합성하기 시작할 때까지 유식물의 유지를 돕는다.
③ 액포(vacuole) : 대사노폐물과 기타 독성 물질이 액포 안에서 결정을 형성하여 격리 (어떤 식물은 많은 양의 폐기 독성물질을 액포에 저장 → 초식동물에 대한 방어장치) 지지작용
(6) 에너지 생성 세포소기관 - 엽록체(chloroplast),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
① 엽록체(chloroplast) : 복합체라고 불리는 구조체에서 합성된다
식물과 조류에서 발견 - 동식물을 구별짓는 특징
이중막, 리보솜과 환상의 DNA 함유 → 스스로 복제 가능
(분열은 DNA 복제가 선행되며 항상 기존의 엽록체로부터 복제)
광합성 과정 수행 → 빛에너지로 CO2, H2O와 포도당, 기타 분자들로 전환
스트로마(stroma) : 엽록체의 이중막 안에 있는 투명하고 물로 찬 영역
틸라코이드 : * 그라나 틸리코이드(grana thylakoid) - 주머니 형태의 소낭을 형성하여 층을 이루는 각각의 소낭
* 스트로마 틸라코이드(stroma thylakoid) - 그라나 사이에서 상호 연결하며 스트로마를 가로질러 노출되어 있음
* CF0 CF1복합체 : 틸라코이드 막을 따라 배열된 입자로 CF0부위는 전체 조합체를 틸라코이드 막에 고정시켜 내강 안쪽으로 채널 형성 (4개의 폴리펩티드로 구성)
② 기타 색소체 : 색소체(plastid)의 종류는 세포 환경으로부터의 요건에 좌우 이중막 혹은 외피막에 의해 둘러싸여 있음 - 대부분의 세포소기관과의 특이한 차이점
백색체(leucoplast) : 전분 저장 구조체로 대부분의 식물 세포에 존재
유색체(chromoplast) : 오랜지색의 카로틴, 노란색의 크산토필, 붉은색의 여러 색소 포함
③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
이중막 구조, 환상 DNA와 리보솜을 가져 단백질 합성
기존의 미토콘드리아에서 DNA복제와 세포소기관의 분열을 통해 생겨남
내막 : 크리스타(cristae)로 알려진 주름으로 형성, 내막의 주름은 표면적을 크게하게 위 함이다.
외부구획(outer compartment) : 두 막 사이의 공간 내막과 내부구획 사이에 채널 형성 (소단위는 ATP 합성효소 포함)
※ 엽록체는 탄수호물과 산소를 생성하기 위해 에너지와 원료물질을 사용하는 반면,
미토콘드리아는 이용할 수 있는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 탄수화물과 산소 이용
[미도콘드리아의 구조]
(7) 운동 담당 세포소기관
① 중심립과 기저체
-중심립(centriole) : 9개의 3중체 미세소관 그룹 하나의 원 안에 배열되어
형성
-동물과 원생생물 세포에 존재(곰팡이나 대부분 식물에 없다)
-섬모와 편모를 발달시키는 진핵생물에서만 나타남
-중심립의 기능 : 기저체(basal body)를 기원시키고, 이 기저체가 섬모와 편모를 생성
-동물세포 분열시 형성되는 함몰부(furrow)의 위치 결정
(함몰부는 액틴 미세섬유의 수축에 의해 형성)
② 섬모와 편모 : 세포막이 각 섬모 혹은 편모를 덮기 위해 돌출되어 있음
-구조적으로 동일하나 길이나 세포당 수, 운동 형태 등에서 차이를 보임
-섬모(cilium) : 짧고 수가 많으며, 노젓기 운동
-편모(flagellum) : 길고 수가 적으며 파동에 의해 움직임
③ 편모와 섬모의 미세구조와 운동
- 9개의 2중체 미세소관과 중앙에 2개의 단일 미세소관을 가지는 9+2구조
- 디네인 팔(dynein arm) : 디네인 단백질로 구성되어 미세소관에서 돌출된
구조
-넥신(nexin) 단백질 : 2중체 미세소관 사이의 연결 구조 형성
-방사상 스포크(radial spoke) : 2중체 미세소관에서 중앙쪽으로 확장된것
-악소임(axoneme) : 섬모와 편모의중심으로 미세소관, 디네인 팔, 부속 단백질
[진핵세포의 핵의 구조]
※ 원핵생물, 식물, 동물 세포의 주요 차이점
형태
원핵세포
식물세포
동물세포
세포막
원형질막
원형질막과 함께 막에 부착된 세포내 소기관
원형질막과 함께 막에 부착된 세포내 소기관
세포골격
X
O
O
핵막
X
O
O
염색체
단일, 환상 DNA
다수이며 길쭉하고
단백질과 결합
다수이며 길쭉하고
단백질과 결합
막에 부착된
세포소기관
X
O
O
리보솜
작음, 독립
크고, ER에
약간접착
크고, ER에
약간 접착
세포벽
펩티도글리칸 또는 단백질
섬유소
없음
편모 또는 섬모
(존재할때
고형, 회전
드물게 있음
미세소관
고형체를 빨아
들이는 능력
X
X
O
중심체
X
X
O
-자기소화작용(autophagy) : 세포내의 손상되었거나 노화된 세포기관들이 분해 액포로 흡수되어 리소좀의 효소에 의해 가수분해
-타가소화작용(heterophagy) : 리소좀의 작용 후에 식세포인 백혈구가 남은 것을 분해함
-고체로된 물질을 섭취해 분해 액포를 형성하고, 분해 액포와 융합하여 포획 된 물질을 자신의 효소를 사용해 분해
-저장병(storage disease) : 리소좀 효소가 바뀌거나 없어서 발생하는 유전병
ex) 테이-삭(Tay-Sachs)병 : 리소좀 효소(N-acetylhexosaminidase)의 결핍은 뇌세포 내에 갱글리오시드(ganglioside)라는 지질을 축적시켜 정신박약, 시력상실, 죽음까지도 유발
(5) 미소체
① 퍼옥시좀(peroxisome) : 미소체(microbody)라는 세포소기관의 한 부류
미토콘드리아나 엽록체 가까이에 위치해 있음
간과 신장세포에서 가장 흔함 - 활면소포체의 바깥쪽 시스터나로부터 기원 추측
퍼옥시좀의 주요 효소 → 카탈라제(catalase ; 과산화수소 분해효소)
: 과산화 수소를 물과 산소로 분해 (2 H2O → 2 H2O + O2 )
과산화수소는 위험하고 반응성이 큰 산화제로 퍼옥시좀 효소의 역할은 세포 보호
② 글리옥시좀(glyoxysome) : 종자의 지질저장 부위에서 흔하게 나타나는 미소체
종자가 발아하는 동안 저장된 지질을 당으로 전화시켜 유식물이 광합성을 통해 양분을 합성하기 시작할 때까지 유식물의 유지를 돕는다.
③ 액포(vacuole) : 대사노폐물과 기타 독성 물질이 액포 안에서 결정을 형성하여 격리 (어떤 식물은 많은 양의 폐기 독성물질을 액포에 저장 → 초식동물에 대한 방어장치) 지지작용
(6) 에너지 생성 세포소기관 - 엽록체(chloroplast),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
① 엽록체(chloroplast) : 복합체라고 불리는 구조체에서 합성된다
식물과 조류에서 발견 - 동식물을 구별짓는 특징
이중막, 리보솜과 환상의 DNA 함유 → 스스로 복제 가능
(분열은 DNA 복제가 선행되며 항상 기존의 엽록체로부터 복제)
광합성 과정 수행 → 빛에너지로 CO2, H2O와 포도당, 기타 분자들로 전환
스트로마(stroma) : 엽록체의 이중막 안에 있는 투명하고 물로 찬 영역
틸라코이드 : * 그라나 틸리코이드(grana thylakoid) - 주머니 형태의 소낭을 형성하여 층을 이루는 각각의 소낭
* 스트로마 틸라코이드(stroma thylakoid) - 그라나 사이에서 상호 연결하며 스트로마를 가로질러 노출되어 있음
* CF0 CF1복합체 : 틸라코이드 막을 따라 배열된 입자로 CF0부위는 전체 조합체를 틸라코이드 막에 고정시켜 내강 안쪽으로 채널 형성 (4개의 폴리펩티드로 구성)
② 기타 색소체 : 색소체(plastid)의 종류는 세포 환경으로부터의 요건에 좌우 이중막 혹은 외피막에 의해 둘러싸여 있음 - 대부분의 세포소기관과의 특이한 차이점
백색체(leucoplast) : 전분 저장 구조체로 대부분의 식물 세포에 존재
유색체(chromoplast) : 오랜지색의 카로틴, 노란색의 크산토필, 붉은색의 여러 색소 포함
③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
이중막 구조, 환상 DNA와 리보솜을 가져 단백질 합성
기존의 미토콘드리아에서 DNA복제와 세포소기관의 분열을 통해 생겨남
내막 : 크리스타(cristae)로 알려진 주름으로 형성, 내막의 주름은 표면적을 크게하게 위 함이다.
외부구획(outer compartment) : 두 막 사이의 공간 내막과 내부구획 사이에 채널 형성 (소단위는 ATP 합성효소 포함)
※ 엽록체는 탄수호물과 산소를 생성하기 위해 에너지와 원료물질을 사용하는 반면,
미토콘드리아는 이용할 수 있는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 탄수화물과 산소 이용
[미도콘드리아의 구조]
(7) 운동 담당 세포소기관
① 중심립과 기저체
-중심립(centriole) : 9개의 3중체 미세소관 그룹 하나의 원 안에 배열되어
형성
-동물과 원생생물 세포에 존재(곰팡이나 대부분 식물에 없다)
-섬모와 편모를 발달시키는 진핵생물에서만 나타남
-중심립의 기능 : 기저체(basal body)를 기원시키고, 이 기저체가 섬모와 편모를 생성
-동물세포 분열시 형성되는 함몰부(furrow)의 위치 결정
(함몰부는 액틴 미세섬유의 수축에 의해 형성)
② 섬모와 편모 : 세포막이 각 섬모 혹은 편모를 덮기 위해 돌출되어 있음
-구조적으로 동일하나 길이나 세포당 수, 운동 형태 등에서 차이를 보임
-섬모(cilium) : 짧고 수가 많으며, 노젓기 운동
-편모(flagellum) : 길고 수가 적으며 파동에 의해 움직임
③ 편모와 섬모의 미세구조와 운동
- 9개의 2중체 미세소관과 중앙에 2개의 단일 미세소관을 가지는 9+2구조
- 디네인 팔(dynein arm) : 디네인 단백질로 구성되어 미세소관에서 돌출된
구조
-넥신(nexin) 단백질 : 2중체 미세소관 사이의 연결 구조 형성
-방사상 스포크(radial spoke) : 2중체 미세소관에서 중앙쪽으로 확장된것
-악소임(axoneme) : 섬모와 편모의중심으로 미세소관, 디네인 팔, 부속 단백질
[진핵세포의 핵의 구조]
※ 원핵생물, 식물, 동물 세포의 주요 차이점
형태
원핵세포
식물세포
동물세포
세포막
원형질막
원형질막과 함께 막에 부착된 세포내 소기관
원형질막과 함께 막에 부착된 세포내 소기관
세포골격
X
O
O
핵막
X
O
O
염색체
단일, 환상 DNA
다수이며 길쭉하고
단백질과 결합
다수이며 길쭉하고
단백질과 결합
막에 부착된
세포소기관
X
O
O
리보솜
작음, 독립
크고, ER에
약간접착
크고, ER에
약간 접착
세포벽
펩티도글리칸 또는 단백질
섬유소
없음
편모 또는 섬모
(존재할때
고형, 회전
드물게 있음
미세소관
고형체를 빨아
들이는 능력
X
X
O
중심체
X
X
O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