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 리 말
Ⅱ. 1990년대 연구 동향
Ⅲ. 3.1운동 연구 분야와 쟁점
Ⅳ. 3.1운동 연구과제
Ⅱ. 1990년대 연구 동향
Ⅲ. 3.1운동 연구 분야와 쟁점
Ⅳ. 3.1운동 연구과제
본문내용
관련하여 다음의 연구가 있다.
조동걸, 31운동 전후 한국지성의 성격(33회 전국역사학대회, 1990).
조항래, 항일독립운동사에서의 대한독립선언의 위상(朴成壽敎授華甲紀念論叢 韓國獨立運動史의 認識, 1991).
조항래의 연구는 대한독립선언서는 간도 지방에서 가장 먼저 발표된 독립선언서로 28, 31 선언서보다 훨씬 일제에 비판적이며, 이념적 맥락은 1907년 이인영 의병장의 대한관동창의대장 명의의 해외 동포에 보내는 격문, 1910년 노령에서의 성명회 취지문, 대한 독립선언서로 이어져 무장투쟁을 지향하고, 후에 대한민국 임시정부 건국강령이 된 기초자 조소앙의 삼균주의 사상이 여기에 배태되어 나타나 있다고 하였다.
趙恒來의 大韓獨立宣言書의 發表時期의 經緯(水邨朴永錫敎授華甲紀念論叢 韓民族獨立運動史論叢, 1992)는 쟁점이 되어 온 이 선언서의 발표시기에 대한 견해로서 ‘1918년경’‘1918년 11월년 경’‘1919년 1월~2월경’ 3개의 설이 있는데 자신은 ‘1919년 음력 2월경’으로 추정한다고 주장한다.
金素眞의 1919년 露領 및 間島의 獨立宣言書硏究(숙명한국사론 2, 1996)는 노령과 간도지역에서 나온 독립선언서 3종을 독립운동의 방략, 친일관, 국제정세, 독립운동에 대한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노령 간도지역 독립운동의 성격을 밝히고 있다.
9) 북한에서의 평가
崔永浩의 북한에서의 31운동 평가(西巖趙恒來敎授華甲紀念 韓國史學論叢, 아세아문화사, 1992)는 북한에서는 31운동의 근원과 중심지를 평양과 서북지방으로, 주동세력은 김일성의 아버지 김형직이 조직, 지도한 애국청년학생들로 보며, ‘민족대표’들이 지향한 비폭력주의를 비웃고 폭력을 찬양하였으며, 31운동을 끝으로 부르주아민족주의자들의 시대가 종말을 고하고 김형직과 김일성이 나타나는 새로운 역사단계로 들어가게 되었다고 했다. 이러한 북한의 역사서술에 대해 ① 역사서술에 새로운 주장을 많이 하고 있지만 방증 자료를 제시하지 않는다. 사료 해석상에도 문제가 많다. ② 역사서술이 지나치게 선동적이다. ③ 근대사의 설명이 김일성 가문의 인물들을 중심으로 씌여져 있다. ④ 학문의 독립성에 큰 문제가 있다고 결론지었다.
Ⅳ. 31운동 연구과제
앞에서 보았듯이 31운동은 여러 부문에서 많은 이견이 쟁점을 형성하고 있다. 31운동은 비록 연구 편수는 많을 지 모르나 충분히 연구된 것이 아니며, 연구주제로서 새로운 관심을 불러 일으키지 못할 주제도 아니다. 31운동의 연구를 한 차원 높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하다.
① 31운동의 동인:31운동의 발발요인을 국제정세, 국내정세, 사회경제적 조건, 독립운동의 상황, 종교계학생계의 상황, 일제 식민통치 등 여러 관련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많은 다른 나라의 혁명운동, 민족주의운동, 농민운동 등과 비교 검토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② 민족대표:민족대표와 민중을 분리해서 보고자 하는 시각은 더 큰 민족모순을 사상시켜 버렸고, 운동의 지향과 목표를 오해하게 한다. 이제 그것을 통합해서 보려는 시각으로 전환하여 운동 전체가 우리 근대사에서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밝혀야 한다. 비폭력운동 노선에 대해서도 이를 부정적으로 볼 이유가 없다. 민족대표 역할의 평가에 있어서도 긍정론과 부정론의 이원적 틀을 벗어날 필요가 있다.
③ 전개과정:31운동이 어떻게 대중화되어 갔는가? 민족대표와 민중을 매개한 요소는 무엇이었는가? 대중화 과정에서 각 지방 운동의 공통점은 무엇이며, 차이는 무엇인가? 그러한 특성은 무엇을 의미하며, 어떠한 배경에서 나온 것인가 하는 점이 밝혀져야 한다.
④ 이를 위해서는 전국에서 일어난 지방 31운동 사례들이 조사되어야 한다.
⑤ 이념:31운동이 지향한 이념은 무엇인가에 대한 추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31운동이 지향한 이념은 공화주의로서 임정수립으로 달성되었다(신용하)고 보는 견해와 도시 인텔리는 공화주의, 농촌 인텔리는 복벽주의였다는 견해(박성수), 초기에는 천도교 국가기독교 국가복벽주의적 사고가 혼재했으나 후기에는 임금없는 공화국양반없는 자유주의 달성이 민중적 민주주의로 수렴되었다(조동걸)는 견해, 각계층이 자기이익 실현을 위해 독자적으로 운동하여 통일된 지도부에 의한 통일된 이념은 없었다(안병직)는 견해, 31운동은 민족적 사회운동으로서 근대 민족국가 건설을 지향했다(김용직)는 견해 등이 있다. 이에 대한 정리가 필요하다. 또 이러한 이념이 1920년대 이념대립의 양상과 어떻게 연결되는가 하는 것도 밝혀
야 할 과제다.
운동의 주력을 형성한 농민층의 이념은 무엇이었는가? 자기 계급적 요구가 나타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 대중화기의 폭력성은 농민혁명운동이 전형적으로 갖는 농민적 이상주의의 표현인가? 근대국가 수립을 위한 의식화된 집단행동이었나? 하는 점도 밝혀져야 한다.
⑥ 운동의 전체상:31운동을 장기사구조사전체사의 입장에서 사회과학적으로 분석 종합하여야 한다.
⑦ 자료의 수집 정리:각 지방 운동의 증언을 채록하여 자료로 활용해야 한다. 연구를 위해서도 그러하지만 학생들을 위한 교육을 위해서도 31운동의 이야기(Narrative)가 수집, 정리될 필요가 절실하다. 내외국인의 증언, 기록을 다 함께 모아야 한다.
⑧ 세계 약소민족 독립운동에 미친 영향:세계 약소민족 독립운동에 미친 영향과 세계사적 의미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⑨ 일제의 탄압과 대응책:일제의 탄압과 대응책을 정밀히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일제의 식민지 정책, 그것이 갖는 성격, 31운동에 대한 무단 탄압정책, 군대와 경찰의 배치정책, 시위대에 대한 대처와 탄압정책, 피체포자에 대한 정책, 재판 정책과 적용 법률문제, 수형자에 대한 탄압, 애국자운동 참여자에 대한 요시찰 정책과 회유과정, 문화정치로의 전환의 성격 등을 밝혀야 한다.88) 신용하, 31운동 연구의 현단계와 과제, pp.156~157.
31운동에 관한 통계를 정리해야 한다. 시위발발 개소, 사망자수, 투옥자수 등 이런 통계는 거의 일제측 자료나, 박은식의 혈사를 인용하는데, 차이가 심하며, 일제측 자료들 간에도 차이가 많다. 이를 면밀하게 정리하여 공식적인 통계를 확립해야 한다.
조동걸, 31운동 전후 한국지성의 성격(33회 전국역사학대회, 1990).
조항래, 항일독립운동사에서의 대한독립선언의 위상(朴成壽敎授華甲紀念論叢 韓國獨立運動史의 認識, 1991).
조항래의 연구는 대한독립선언서는 간도 지방에서 가장 먼저 발표된 독립선언서로 28, 31 선언서보다 훨씬 일제에 비판적이며, 이념적 맥락은 1907년 이인영 의병장의 대한관동창의대장 명의의 해외 동포에 보내는 격문, 1910년 노령에서의 성명회 취지문, 대한 독립선언서로 이어져 무장투쟁을 지향하고, 후에 대한민국 임시정부 건국강령이 된 기초자 조소앙의 삼균주의 사상이 여기에 배태되어 나타나 있다고 하였다.
趙恒來의 大韓獨立宣言書의 發表時期의 經緯(水邨朴永錫敎授華甲紀念論叢 韓民族獨立運動史論叢, 1992)는 쟁점이 되어 온 이 선언서의 발표시기에 대한 견해로서 ‘1918년경’‘1918년 11월년 경’‘1919년 1월~2월경’ 3개의 설이 있는데 자신은 ‘1919년 음력 2월경’으로 추정한다고 주장한다.
金素眞의 1919년 露領 및 間島의 獨立宣言書硏究(숙명한국사론 2, 1996)는 노령과 간도지역에서 나온 독립선언서 3종을 독립운동의 방략, 친일관, 국제정세, 독립운동에 대한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노령 간도지역 독립운동의 성격을 밝히고 있다.
9) 북한에서의 평가
崔永浩의 북한에서의 31운동 평가(西巖趙恒來敎授華甲紀念 韓國史學論叢, 아세아문화사, 1992)는 북한에서는 31운동의 근원과 중심지를 평양과 서북지방으로, 주동세력은 김일성의 아버지 김형직이 조직, 지도한 애국청년학생들로 보며, ‘민족대표’들이 지향한 비폭력주의를 비웃고 폭력을 찬양하였으며, 31운동을 끝으로 부르주아민족주의자들의 시대가 종말을 고하고 김형직과 김일성이 나타나는 새로운 역사단계로 들어가게 되었다고 했다. 이러한 북한의 역사서술에 대해 ① 역사서술에 새로운 주장을 많이 하고 있지만 방증 자료를 제시하지 않는다. 사료 해석상에도 문제가 많다. ② 역사서술이 지나치게 선동적이다. ③ 근대사의 설명이 김일성 가문의 인물들을 중심으로 씌여져 있다. ④ 학문의 독립성에 큰 문제가 있다고 결론지었다.
Ⅳ. 31운동 연구과제
앞에서 보았듯이 31운동은 여러 부문에서 많은 이견이 쟁점을 형성하고 있다. 31운동은 비록 연구 편수는 많을 지 모르나 충분히 연구된 것이 아니며, 연구주제로서 새로운 관심을 불러 일으키지 못할 주제도 아니다. 31운동의 연구를 한 차원 높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하다.
① 31운동의 동인:31운동의 발발요인을 국제정세, 국내정세, 사회경제적 조건, 독립운동의 상황, 종교계학생계의 상황, 일제 식민통치 등 여러 관련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많은 다른 나라의 혁명운동, 민족주의운동, 농민운동 등과 비교 검토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② 민족대표:민족대표와 민중을 분리해서 보고자 하는 시각은 더 큰 민족모순을 사상시켜 버렸고, 운동의 지향과 목표를 오해하게 한다. 이제 그것을 통합해서 보려는 시각으로 전환하여 운동 전체가 우리 근대사에서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밝혀야 한다. 비폭력운동 노선에 대해서도 이를 부정적으로 볼 이유가 없다. 민족대표 역할의 평가에 있어서도 긍정론과 부정론의 이원적 틀을 벗어날 필요가 있다.
③ 전개과정:31운동이 어떻게 대중화되어 갔는가? 민족대표와 민중을 매개한 요소는 무엇이었는가? 대중화 과정에서 각 지방 운동의 공통점은 무엇이며, 차이는 무엇인가? 그러한 특성은 무엇을 의미하며, 어떠한 배경에서 나온 것인가 하는 점이 밝혀져야 한다.
④ 이를 위해서는 전국에서 일어난 지방 31운동 사례들이 조사되어야 한다.
⑤ 이념:31운동이 지향한 이념은 무엇인가에 대한 추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31운동이 지향한 이념은 공화주의로서 임정수립으로 달성되었다(신용하)고 보는 견해와 도시 인텔리는 공화주의, 농촌 인텔리는 복벽주의였다는 견해(박성수), 초기에는 천도교 국가기독교 국가복벽주의적 사고가 혼재했으나 후기에는 임금없는 공화국양반없는 자유주의 달성이 민중적 민주주의로 수렴되었다(조동걸)는 견해, 각계층이 자기이익 실현을 위해 독자적으로 운동하여 통일된 지도부에 의한 통일된 이념은 없었다(안병직)는 견해, 31운동은 민족적 사회운동으로서 근대 민족국가 건설을 지향했다(김용직)는 견해 등이 있다. 이에 대한 정리가 필요하다. 또 이러한 이념이 1920년대 이념대립의 양상과 어떻게 연결되는가 하는 것도 밝혀
야 할 과제다.
운동의 주력을 형성한 농민층의 이념은 무엇이었는가? 자기 계급적 요구가 나타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 대중화기의 폭력성은 농민혁명운동이 전형적으로 갖는 농민적 이상주의의 표현인가? 근대국가 수립을 위한 의식화된 집단행동이었나? 하는 점도 밝혀져야 한다.
⑥ 운동의 전체상:31운동을 장기사구조사전체사의 입장에서 사회과학적으로 분석 종합하여야 한다.
⑦ 자료의 수집 정리:각 지방 운동의 증언을 채록하여 자료로 활용해야 한다. 연구를 위해서도 그러하지만 학생들을 위한 교육을 위해서도 31운동의 이야기(Narrative)가 수집, 정리될 필요가 절실하다. 내외국인의 증언, 기록을 다 함께 모아야 한다.
⑧ 세계 약소민족 독립운동에 미친 영향:세계 약소민족 독립운동에 미친 영향과 세계사적 의미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⑨ 일제의 탄압과 대응책:일제의 탄압과 대응책을 정밀히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일제의 식민지 정책, 그것이 갖는 성격, 31운동에 대한 무단 탄압정책, 군대와 경찰의 배치정책, 시위대에 대한 대처와 탄압정책, 피체포자에 대한 정책, 재판 정책과 적용 법률문제, 수형자에 대한 탄압, 애국자운동 참여자에 대한 요시찰 정책과 회유과정, 문화정치로의 전환의 성격 등을 밝혀야 한다.88) 신용하, 31운동 연구의 현단계와 과제, pp.156~157.
31운동에 관한 통계를 정리해야 한다. 시위발발 개소, 사망자수, 투옥자수 등 이런 통계는 거의 일제측 자료나, 박은식의 혈사를 인용하는데, 차이가 심하며, 일제측 자료들 간에도 차이가 많다. 이를 면밀하게 정리하여 공식적인 통계를 확립해야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갑오개혁의 연구동향과 쟁점
20세기 한국근현대사 연구와 쟁점-을 읽고
[여성정책][여성복지][여성복지서비스][여성복지정책][여성운동][여성복지체계][여성문제]여...
[TV선거토론]TV선거토론(TV토론)의 의의와 역사, TV선거토론(TV토론)의 기존 연구, TV선거토...
[남북통일][남북통일운동][통일담론][남북관계][대북정책][북한]남북통일의 필요성, 남북통일...
사회행동의 이론(사회행동모델, 대중동원모델)과 사례(용산철거민, 풀뿌리시민 운동 등)
[생명권, 생존권, 교육권, 학습권, 시민운동권, 인격권, 정치자유권, 평등권]생명권, 생존권,...
비정부기구(시민단체, NGO) 의미, 유형, 비정부기구(시민단체, NGO)의 기능과 역할, 비정부기...
[아이스크림][나뚜루][베스킨라빈스31][하겐다즈][아이스크림 전문점]아이스크림의 역사, 아...
생활과건강 2017년 1)당뇨의 합병증을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하여 정리.2)제2형 당뇨병 환자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