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e-CRM
e-CRM의 등장 배경
e-CRM의 개념
e-CRM의 구축 방법론
e-CRM의 성공 전략
e-CRM의 전략적 방향
e-SCM
SCM 등장 배경
SCM의 정의
e-Business 환경에서의 SCM
e-SCM 전략 수립 단계
e-SCM 전략
e-SCM 구현을 우한 공통 기반 기술들
RFID를 활용한 e-SCM
e-SCM의 추진
e-CRM의 등장 배경
e-CRM의 개념
e-CRM의 구축 방법론
e-CRM의 성공 전략
e-CRM의 전략적 방향
e-SCM
SCM 등장 배경
SCM의 정의
e-Business 환경에서의 SCM
e-SCM 전략 수립 단계
e-SCM 전략
e-SCM 구현을 우한 공통 기반 기술들
RFID를 활용한 e-SCM
e-SCM의 추진
본문내용
효율성을 더해 주는 것이다.
▷ 중앙 집중 관리 : 일괄 구매ㆍ배송
: SCM을 구현하기 위한 각종 절차나 기준은 모든 작업 현장에서 동일하게 적용되어야 효율을 최대한 올릴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첫째, 모든 물동량 관리가 한곳으로 집중되어야 하고, 둘째는 모아진 상품을 고객의 요구에 맞게 분류ㆍ포장 등의 작업을 해야 한다. 셋째는 이렇게 고객 단위로 선별된 상품을 고객이 요구한 장소와 시간에 배달하여야 한다.
중앙 물류 센터
모든 주문과 상품을 중앙 물류 센터에서 관리하여 물량을 최대화하여 경제 규모를 만들고, 또한 고객의 주문 요구에 맞춰 구색ㆍ소분ㆍ포장 등의 작업을 일관성 있게 수행하고 배송함으로써 고객의 주문을 한 번에 충족시킬 수 있게 되어 고객 만족을 향상시키고 판매를 늘릴 수 있다.
크로스 도킹(Cross Docking)
대량의 여러 상품이 물류 센터에 도착하면 보관하지 않고 바로 각 매장이나 고객의 주문에 맞고 소량으로 나누어 해당 매장이나 고객에게 배달하는 것이다.
▷ 표준 상품 코드(Standard Numbering)
: 상거래의 가장 기본이 되는 정보인 상품 코드를 표준화해 사용하는 것이 가장 우선적인 과제이다. 널리 사용되는 EAN(European Article Number) 표준 코드는 상품 자체의 코드뿐 아니라 그 포장 단위, 생산자, 생산 일자, 생산 롯트, 납품 일자 등도 표시할 수 있게 개발되어 바코드 시스템과 함께 사용함으로써 물류의 효율을 더욱 높여 준다.
▷ 바코드 시스템(Bar Code System)
: 바코드 시스템은 상품 코드 등 각종 물류 코드를 바코드로 표시하여 상품과 포장에 인쇄 또는 부착하면, 각 필요 과정에서 이 코드를 전자적으로 인식하여 그대로 입고, 출고 등이 전산 처리되므로 자료 입력 등의 작업이 생략되어 업무 처리 시간을 단축하면서 작업 오류를 예방할 수 있다.
EPOS(Electronic Point Sale)
종래의 금전 등록기가 발전된 것으로 매장의 판매 자료를 전자적으로 처리하는 기기이다. 바코드를 이용하여 상품의 단품 관리가 가능하고 판매 상황에 따라 가격 변경 등의 매장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RFID를 활용한 e-SCM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의 정의
RFID는 리더를 통하여 접촉하지 않고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대상을 식별할 수 있는 기술로서, 칩으로 구성된 태그와 안테나, 리더로 구성된 무선주파수 시스템이다.
RFID 구성요소
구성요소
원 리
태 그
상품에 부착되며 데이터가 입력되는 IC 칩과 안테나로 구성
리더와 교신하여 데이터를 무선으로 리더에 전송
배터리 내장 유무에 따라 능동형과 수동형으로 구분
안테나
무선주파수를 발사하며 태그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리더로 전달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제작 가능하며 태그의 크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리 더
주파수 발신을 제어하고 태그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해독
용도에 따라 고정형, 이동형, 휴대용으로 구분
안테나 및 RF회로, 변/복조기, 실시간 신호처리 모듈, 프로토콜 프로세서 등으로 구성
호스트
한개 또는 다수의 태그로부터 읽어 들인 데이터를 처리
분산되어 있는 다수의 리더 시스템을 관리
리더부터 발생하는 대량의 태그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에이전트 기반의 분산 계층 구조도 되어 있음
RFID 적용 프로세스
① 칩과 안테나로 구성된 태그에 목적에 맞는 정보를 입력하고 박스, 팔레트, 자동차 등에 부착
② 게이트, 계산대, 톨게이트 등에 부착된 리더에서 안테나를 통해 발사된 주파수가 태그에 접촉
③ 태그는 주파수에 반응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안테나로 전송
④ 안테나는 전송받은 데이터를 변조하여 리더로 전달
⑤ 리더는 데이터를 해독하여 호스트 컴퓨터로 전달
RFID 활용분야
활용분야
원 리
교통카드
카드를 리더에 가까이 대면 카드에 내장된 RFID 칩이 리더와 무선으로 교신하여 자동으로 요금을 징수
주차관리
태그가 부착된 차량이 접근하면 자동으로 출입통제 장치가 자동으로 개폐
도서관리
도서에 RFID 칩을 삽입하여 도서 부당 반출 시 경보음 울림
물류창고
관리시스템
팔레트/박스 단위로 태그를 부착해 자동 입출고 처리 및 Supply Chain을 경유하는 상품의 실시간 위치추적 및 재고관리
항공화물
항송 수하물의 보다 신속ㆍ정확한 판독과 분류, 위험 물품 재검사
RFID를 이용한 SCM
RFID를 이용한 SCM은 RFID, 감지센터, 무선 네트워크 통신 기술 등을 통하여 단 순간 거래 정보뿐만 아니라 상품의 생산에서부터 출하, 선적, 배송, 판매에 이르는 전 과정을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추적,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됨으로써 기업 내 모든 자원의 흐름을 관리하여 진정한 의미의 인터넷을 통한 협업과 가치사슬 통합이 가능해 진다. RFID를 사용함으로써 우리는 공급체인 전반에서의 효율성 제고와 비용 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공급망에서의 RFID 도입 효과
① 물류/수송(Logistics/Transportation)
② 완제품 창고(Finished Goods Warehouse)
③ 재고관리(Inventory Management)
④ 소매상(Retailer)
⑤ 가계 상품진열(Store-layout analysis)
⑥ 목표 광고(Targeted advertising)
e-SCM의 추진
SCM팀의 필요성
부문, 기업의 벽을 뛰어넘는 조정과 의사 결정이 필요하게 된다. 이를 위해 부문과 거점을 뛰어넘는 공급 사슬 전체의 최적화에 관한 관리를 행하는 SCM팀을 조직적으로 명확히 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업 간 협동 활동 조정의 필요성
공급 사슬 상에 존재하는 기업 간에 상품 개발 담당자, 수요 예측 담당자, 생산 담당자가 횡단 적으로 협동 활동을 실시하는 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대단히 효과적이다.
개선 여지의 정량적인 파악과 전사적인 체제
정보 시스템 투자 등의 전략 실시에 의해 공급 사슬의 효율이 어느 정도 개선되었는가를 정량적으로 파악하여 문제의 중요성과 우선순위를 자사 실정에 맞추어 인식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 중앙 집중 관리 : 일괄 구매ㆍ배송
: SCM을 구현하기 위한 각종 절차나 기준은 모든 작업 현장에서 동일하게 적용되어야 효율을 최대한 올릴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첫째, 모든 물동량 관리가 한곳으로 집중되어야 하고, 둘째는 모아진 상품을 고객의 요구에 맞게 분류ㆍ포장 등의 작업을 해야 한다. 셋째는 이렇게 고객 단위로 선별된 상품을 고객이 요구한 장소와 시간에 배달하여야 한다.
중앙 물류 센터
모든 주문과 상품을 중앙 물류 센터에서 관리하여 물량을 최대화하여 경제 규모를 만들고, 또한 고객의 주문 요구에 맞춰 구색ㆍ소분ㆍ포장 등의 작업을 일관성 있게 수행하고 배송함으로써 고객의 주문을 한 번에 충족시킬 수 있게 되어 고객 만족을 향상시키고 판매를 늘릴 수 있다.
크로스 도킹(Cross Docking)
대량의 여러 상품이 물류 센터에 도착하면 보관하지 않고 바로 각 매장이나 고객의 주문에 맞고 소량으로 나누어 해당 매장이나 고객에게 배달하는 것이다.
▷ 표준 상품 코드(Standard Numbering)
: 상거래의 가장 기본이 되는 정보인 상품 코드를 표준화해 사용하는 것이 가장 우선적인 과제이다. 널리 사용되는 EAN(European Article Number) 표준 코드는 상품 자체의 코드뿐 아니라 그 포장 단위, 생산자, 생산 일자, 생산 롯트, 납품 일자 등도 표시할 수 있게 개발되어 바코드 시스템과 함께 사용함으로써 물류의 효율을 더욱 높여 준다.
▷ 바코드 시스템(Bar Code System)
: 바코드 시스템은 상품 코드 등 각종 물류 코드를 바코드로 표시하여 상품과 포장에 인쇄 또는 부착하면, 각 필요 과정에서 이 코드를 전자적으로 인식하여 그대로 입고, 출고 등이 전산 처리되므로 자료 입력 등의 작업이 생략되어 업무 처리 시간을 단축하면서 작업 오류를 예방할 수 있다.
EPOS(Electronic Point Sale)
종래의 금전 등록기가 발전된 것으로 매장의 판매 자료를 전자적으로 처리하는 기기이다. 바코드를 이용하여 상품의 단품 관리가 가능하고 판매 상황에 따라 가격 변경 등의 매장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RFID를 활용한 e-SCM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의 정의
RFID는 리더를 통하여 접촉하지 않고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대상을 식별할 수 있는 기술로서, 칩으로 구성된 태그와 안테나, 리더로 구성된 무선주파수 시스템이다.
RFID 구성요소
구성요소
원 리
태 그
상품에 부착되며 데이터가 입력되는 IC 칩과 안테나로 구성
리더와 교신하여 데이터를 무선으로 리더에 전송
배터리 내장 유무에 따라 능동형과 수동형으로 구분
안테나
무선주파수를 발사하며 태그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리더로 전달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제작 가능하며 태그의 크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리 더
주파수 발신을 제어하고 태그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해독
용도에 따라 고정형, 이동형, 휴대용으로 구분
안테나 및 RF회로, 변/복조기, 실시간 신호처리 모듈, 프로토콜 프로세서 등으로 구성
호스트
한개 또는 다수의 태그로부터 읽어 들인 데이터를 처리
분산되어 있는 다수의 리더 시스템을 관리
리더부터 발생하는 대량의 태그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에이전트 기반의 분산 계층 구조도 되어 있음
RFID 적용 프로세스
① 칩과 안테나로 구성된 태그에 목적에 맞는 정보를 입력하고 박스, 팔레트, 자동차 등에 부착
② 게이트, 계산대, 톨게이트 등에 부착된 리더에서 안테나를 통해 발사된 주파수가 태그에 접촉
③ 태그는 주파수에 반응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안테나로 전송
④ 안테나는 전송받은 데이터를 변조하여 리더로 전달
⑤ 리더는 데이터를 해독하여 호스트 컴퓨터로 전달
RFID 활용분야
활용분야
원 리
교통카드
카드를 리더에 가까이 대면 카드에 내장된 RFID 칩이 리더와 무선으로 교신하여 자동으로 요금을 징수
주차관리
태그가 부착된 차량이 접근하면 자동으로 출입통제 장치가 자동으로 개폐
도서관리
도서에 RFID 칩을 삽입하여 도서 부당 반출 시 경보음 울림
물류창고
관리시스템
팔레트/박스 단위로 태그를 부착해 자동 입출고 처리 및 Supply Chain을 경유하는 상품의 실시간 위치추적 및 재고관리
항공화물
항송 수하물의 보다 신속ㆍ정확한 판독과 분류, 위험 물품 재검사
RFID를 이용한 SCM
RFID를 이용한 SCM은 RFID, 감지센터, 무선 네트워크 통신 기술 등을 통하여 단 순간 거래 정보뿐만 아니라 상품의 생산에서부터 출하, 선적, 배송, 판매에 이르는 전 과정을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추적,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됨으로써 기업 내 모든 자원의 흐름을 관리하여 진정한 의미의 인터넷을 통한 협업과 가치사슬 통합이 가능해 진다. RFID를 사용함으로써 우리는 공급체인 전반에서의 효율성 제고와 비용 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공급망에서의 RFID 도입 효과
① 물류/수송(Logistics/Transportation)
② 완제품 창고(Finished Goods Warehouse)
③ 재고관리(Inventory Management)
④ 소매상(Retailer)
⑤ 가계 상품진열(Store-layout analysis)
⑥ 목표 광고(Targeted advertising)
e-SCM의 추진
SCM팀의 필요성
부문, 기업의 벽을 뛰어넘는 조정과 의사 결정이 필요하게 된다. 이를 위해 부문과 거점을 뛰어넘는 공급 사슬 전체의 최적화에 관한 관리를 행하는 SCM팀을 조직적으로 명확히 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업 간 협동 활동 조정의 필요성
공급 사슬 상에 존재하는 기업 간에 상품 개발 담당자, 수요 예측 담당자, 생산 담당자가 횡단 적으로 협동 활동을 실시하는 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대단히 효과적이다.
개선 여지의 정량적인 파악과 전사적인 체제
정보 시스템 투자 등의 전략 실시에 의해 공급 사슬의 효율이 어느 정도 개선되었는가를 정량적으로 파악하여 문제의 중요성과 우선순위를 자사 실정에 맞추어 인식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