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음식과 음료................................2
2. 이집트인의 식사....................................2
(1) 음식점
(2) 간이식당
(3) 이집트의 가정요리
3. 전통 음식.......................................3
(1) 빵
(2) 콩
(3) 물루히야(Mulukhiyya)
(4) 맛자(Mazza)
(5) 국과 샐러드
(6) 주식
(7) 채소
(8) 치즈
(9) 과일
(10) 후식
(11) 음식 장보기
4. 음료...........................................4
(1) 커피
(2) 차와 다른 뜨거운 음료
(3) 알코올음료
2. 이집트인의 식사....................................2
(1) 음식점
(2) 간이식당
(3) 이집트의 가정요리
3. 전통 음식.......................................3
(1) 빵
(2) 콩
(3) 물루히야(Mulukhiyya)
(4) 맛자(Mazza)
(5) 국과 샐러드
(6) 주식
(7) 채소
(8) 치즈
(9) 과일
(10) 후식
(11) 음식 장보기
4. 음료...........................................4
(1) 커피
(2) 차와 다른 뜨거운 음료
(3) 알코올음료
본문내용
하(Qahwa `a-r-Riha)’는 설탕으로 약간 달게 한 것이고, ‘가흐와 마즈부뜨(Qahwa Mazbut)’는 알맞게 달게 한 것이고, ‘까흐와 지야다(Qahwa Ziyada)’는 매우 달게 한 것이다.
(2) 차와 다른 뜨거운 음료
이집트인들은 본토 아랍인에게서 정식 오후 다과회 습관을 받아들였다. 이것은 우유, 레몬, 설탕을 곁들여 나온다. 재래 또는 배두인식 ‘샤이(Shay)’(차)는 적셔내기보다는 끓여내며, 흔히 설탕을 듬뿍 넣는데, 이 강한 차는 큰잔에 나온다. 식후 커피를 먹고 입가심으로 ‘샤이 빈-나으나으(Shay bil-Na `na`)’(박하차)를 먹는데, 이것은 말린 박하를 찻잎과 섞어서 일반 차처럼 끓여냐는 것이다. ‘카카우 빌-라반(Kakaw bil-Laban)’(우유넣은 코코아=뜨거운 초콜릿)과 ‘사흘랍(Sahlab)’은 겨울에 조흔데, 후자는 ‘오발틴(Ovaltine)’과 오트밀의 중간 정도의 맛을 내는 진한 액체이다. 맑고 선명한 붉은 색의 전통 음료인 ‘카르카테(Karkadeh)’는 특히 남부에서 대중적인데, 말린 히비스커스의 꽃을 적셔서 달게 맛을 내어서 만든다 .신경을 안정시키는 맛있는 음료라고 한다.
(3) 알코올음료
독실한 무슬림들은 술 마시기를 삼가는데, 맥주, 포도주, 증류수를 술집, 음식점, 일부 식품점 등에서 구할 수 있다. 수입된 맥주와 포도주는 가장 비싸지만, ‘스텔라(Stella)’라고 하는 국산 맥주는 햇볕에 너무 오래 두지 않는다면 매우 좋은 약한 저장맥주이다. 이것을 600㎖ 되는 큰 병으로 나오는데, 4~5 이집트 파운드 정도 한다. ‘스텔라 엑스포(Stella Export)’는 술집이나 음식점에서 구할 수 있는데, 더 작은 병으로 나오고 더 비싸며 더 독하다. 이것은 대부분의 서양 맥주와 알코올 함유량이 비슷하다. 독한 흑맥주 ‘마르젠(Marzen)’은 봄에 잠시 보이고, ‘아스완리(Aswanli)’는 아스완에서 만든 흑맥주이다.
브랜디는 묽에 했을 때만 마실 수 있는데, 국산 럼주는 그리 좋지는 않다. 그러나 그리스의 우조(Ouzo)나 멕시코의 아나사또(Anasato)에 해당하는 이집트의 ‘지빕(Zibib)’은 얼음을 넣거나 (우유빛 같이) 묽게 해서 식전의 칵테일로 마신다.
※알아두면 좋은 사이트 : http://blog.naver.com/iamgomja
※ 참고문헌 : 지중해 음식문화 기행, 허유회 저, 출판사 부산외국어대학교출판부
(2) 차와 다른 뜨거운 음료
이집트인들은 본토 아랍인에게서 정식 오후 다과회 습관을 받아들였다. 이것은 우유, 레몬, 설탕을 곁들여 나온다. 재래 또는 배두인식 ‘샤이(Shay)’(차)는 적셔내기보다는 끓여내며, 흔히 설탕을 듬뿍 넣는데, 이 강한 차는 큰잔에 나온다. 식후 커피를 먹고 입가심으로 ‘샤이 빈-나으나으(Shay bil-Na `na`)’(박하차)를 먹는데, 이것은 말린 박하를 찻잎과 섞어서 일반 차처럼 끓여냐는 것이다. ‘카카우 빌-라반(Kakaw bil-Laban)’(우유넣은 코코아=뜨거운 초콜릿)과 ‘사흘랍(Sahlab)’은 겨울에 조흔데, 후자는 ‘오발틴(Ovaltine)’과 오트밀의 중간 정도의 맛을 내는 진한 액체이다. 맑고 선명한 붉은 색의 전통 음료인 ‘카르카테(Karkadeh)’는 특히 남부에서 대중적인데, 말린 히비스커스의 꽃을 적셔서 달게 맛을 내어서 만든다 .신경을 안정시키는 맛있는 음료라고 한다.
(3) 알코올음료
독실한 무슬림들은 술 마시기를 삼가는데, 맥주, 포도주, 증류수를 술집, 음식점, 일부 식품점 등에서 구할 수 있다. 수입된 맥주와 포도주는 가장 비싸지만, ‘스텔라(Stella)’라고 하는 국산 맥주는 햇볕에 너무 오래 두지 않는다면 매우 좋은 약한 저장맥주이다. 이것을 600㎖ 되는 큰 병으로 나오는데, 4~5 이집트 파운드 정도 한다. ‘스텔라 엑스포(Stella Export)’는 술집이나 음식점에서 구할 수 있는데, 더 작은 병으로 나오고 더 비싸며 더 독하다. 이것은 대부분의 서양 맥주와 알코올 함유량이 비슷하다. 독한 흑맥주 ‘마르젠(Marzen)’은 봄에 잠시 보이고, ‘아스완리(Aswanli)’는 아스완에서 만든 흑맥주이다.
브랜디는 묽에 했을 때만 마실 수 있는데, 국산 럼주는 그리 좋지는 않다. 그러나 그리스의 우조(Ouzo)나 멕시코의 아나사또(Anasato)에 해당하는 이집트의 ‘지빕(Zibib)’은 얼음을 넣거나 (우유빛 같이) 묽게 해서 식전의 칵테일로 마신다.
※알아두면 좋은 사이트 : http://blog.naver.com/iamgomja
※ 참고문헌 : 지중해 음식문화 기행, 허유회 저, 출판사 부산외국어대학교출판부
추천자료
한국음식문화(전통음식문화)의 우수성과 세계화
일본음식문화와 한국음식 문화
[음식문화] 중국의 음식문화(특징, 예절, 요리계통 등등)
[중국][중국의 문화][중국문화][음주문화][차문화][경극][중국전통][중국전통문화]중국의 의...
한국음식문화와 미국음식문화 비교
[프랑스문화] 프랑스의 의복문화, 음식문화, 주거문화, 예절, 축제, 벼룩시장
인도의 음식문화와 인도의 음식 - 2012년 추천 우수 레포트 선정 - 향신료의 나라 인도, 음식...
음식문화 - 한중일 음식문화 비교
[북한의이해] 북한의 식생활에 대한 모든 것 - 북한의 음식문화 (북한 식생활의 발자취, 지역...
[세계음식문화] [멕시코 음식문화 특징]
한국 음식의 세계화-한국 음식 수출,음식의 무역(서양음식의 수입),서양음식문화,브랜드마케...
★ 일본음식문화와 식사예절 - 일식, 지역별 특징 및 음식종류, 일본의 식사예절, 일본음식관...
영국의 음식문화 : United Kingdom 영국의 음식문화 [영국 식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