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목차
없음
본문내용
의한 목표-수단의 대치현상, 형식주의, 번문욕예, 또는 문서주의, 할거주의, 변동에의 저항, 그리고 인간성의 상실등과 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초래
2. 호손실험
① 연구의 주제: 조직내의 인간적 변인의 변화와 생산성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② 실험결과: 작업능률 향상→공식조직 내에는 비공식 조직이 있어 생산활동에 큰 영향을 미침
③ 호손 실험의 결과 조직에 대한 새로운 인식
ㅇ조직을 단순한 공식조직만으로 파악해서는 안된다.
ㅇ조직내부에 조직의 활동에 보다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비공식조직이 있으며 특히, 중요한 것은 조직 구성원인 인간의 심리적 본성, 잠재력, 창의성 등에 대한 이해가 필요.
ㅇ조직의 능률을 좌우하는 것은 임금, 노동조건, 작업환경과 같은 물적조건 뿐만 아니라, 종업원의 태도, 감정 등을 중심으로 한 심리적 요소가 더 크게 작용하고 있다. 또한 종업원의 태도, 감정 등을 좌우하는 것은 개인적, 사회적 환경, 조직내의 세력관계, 비공식조직의 영향 등에 의해 결정된다.
ㅇ비공식적 조직: 조직기구표상에 나타나 있지 않은 조직. 일반적으로 조직 구성원의 흥미, 혈연, 학연, 지연, 종교, 이해관계, 근무장소의 근접성, 전공, 성 등이 주요 변인으로 작용
④ 호손 실험의 순기능과 역기능
ㅇ순기능: 과업수행을 돕고, 소속감, 만족감을 주며, 공식조직내에 유용한 의사전달망을 제공하며, 공식관리자가 좀 더 신중히 계획하고 행동하도록 해준다.
ㅇ역기능: 조직에 파벌을 형성, 구성원들이 개인적 접촉을 통해 개인적 이익을 도모할 수 있다.
Ⅳ.체제의 속성
① 시·공간 내에서의 존재: 모든 체제는 시간과 공간 속에서 존재한다. 이것은 모든 체제가 특정한 공간을 차지한 채 시간의 연속적 인 흐름 속에서 진화하고 생성하며 성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② 소멸하려는 경향: 모든 체제는 그 성질, 크기, 형태에 관계없이 무질서하고 두서없고 무력하게 되어 궁극에 가서는 소멸하려는 경향이 있다. 체제는 파괴나 무질서가 전체체제에 중요한 충격을 주지 않는 한, 또한 그 허용범위를 넘지 않는 한 적응과 재생을 통하여 정상적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③ 경계영역: 모든 체제는 그 체제의 안팎을 구분하는 경계인 한계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체제에 따라서는 그 영역의 활용성·가능성·실용성에 따라 고려되기 때문에 그 경계영역이 매우 임의적일 수도 있다.
④ 환경: 모든 체제는 환경을 가지고 있으며 체제의 환경은 체제영역 밖의 모든 것을 의미한다. 환경은 체제활동을 평가하기도 하고 통제하기도 하며 다른 체제을 포함하기도 하기 때문에 환경에 대한 포괄적인 지식이 필요하다.
⑤ 변인과 매개변인: 모든 체제는 체제의 구조와 기능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가지고 있는데, 체제 내의 요소를 변인이라 하고, 체제 외의 환경에 속하는 요소를 매개변수라고 한다. 폐쇄체제는 변인에 의해서 영향을 받으나 개방체제는 변인과 매개변수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⑥ 하위체제: 최소의 체제를 제외한 모든 체제는 하위체제를 가지고 있으며 하위체제도 체제와 마찬가지로 구성요소, 관계, 속성들로 이루어져 있다.
⑦ 상위체제: 최대를 제외한 모든 체제는 상위체제를 가지고 있다. 가장 작은 체제를 제외한 모든 체제가 하위체제를 가지고 있는 것과 같이 가장 큰 체제를 제외한 모든 체제는 상위체제를 가지고 있다. 모든 체제가 분석적으로 하위체제와 세분되듯이 어떤 체제라도 이 보다 더 크고 복잡한 체제의 하위체 제가 된다.
체제는 모두 이상과 같은 몇 가지 속성을 가지고 있는데, 외부환경과의 상호작용 여하에 따라 폐쇄체제와 개방체제로 한다. 폐쇄체제는 외부환경과 격리되어 그 자체로서 모든 것이 충족된다고 가정하나 실제로는 존재할 수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개방체제는 항상 외부환경과 역동적인 관계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체제 내의 요소 간에도 개방적인 관계를 갖는 것이다.
Ⅴ.교육정책의 형성과정 모형
캠벨에 의하면 교육정책은 기본적인 힘, 선행운동, 정치적인 활동 및 공식적인 입법의 네 단계를 형성된다고 하였으며 이 과정은 다음과 같다.
Ⅰ단계:기본적 힘의 작동(basic forces)→Ⅱ단계:선행 운동(antecedent movement)→
Ⅲ단계:정치적 행동화(political action)→Ⅳ단계:공식적 결정(formal enactment)
Ⅰ단계: ‘기본적인 힘’은 지역적 또는 세계적 규모에서 발생하는 중요한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영향력을 의미한다. 학교가 하나의 사회체제인 만큼 다른 기관과 마찬가지로 국민의 교육에 대한 열망 정도, 국민의 경제력 수준, 국제적 긴장상태, 인구동태, 기술공학의 발전, 새로운 지식의 발전등 제요인에 의해서 영향을 받게 된다. 예) 프랑스에서 스프트닉호 영향으로 수학, 과학 강화
Ⅱ단계: ‘선행운동(antecedent movement)'은 교육에 대하여 상당한 주의를 끄는 각종의 운동이 선행적으로 전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사회적으로 저명한 개인이나 또는 전문기관이 작성하는 교육개혁에 관한 건의서, 연구보고서 등이 이에 속한다.
예) 교육에 관한 백안관회의(White House Conference on Education)와 교육에 관한 대통령자문위원회(President's Committee on Education)등이 미국교육정책수립의 선행운동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선행운동은 교육정책 형성의 분위기를 조성하게 된다.
Ⅲ단계: ‘정치적 활동(political action)’은 정책결정에 선행되는 공공의제에 관한 토의나 논쟁을 의미한다. 즉, 개인전문가나 전문연구기관에 의해서 교육개혁을 위한 상당한 주의를 끄는 연구보고서가 일단 작성되면 이는 교육부를 위시하여 각의나 국회에 반영된다. 또한 매스컴을 통하여 일반시민의 여론을 조직화하고 정당의 정책으로 되어 정책 결정기관을 자극하여 교육정책 형성의 분위기를 조성하고 공식적인 입법의 준거로서 작용하기도 한다.
Ⅳ단계: ‘공식적인 입법(formal enactment)'은 정책결정의 최종단계이다. 지금까지의 기본적인 사회적 조건의 변화나 전국적인 선행운동의 조직 및 정부 내외의 정치적활동과 같은 단계들은 입법단계에 이르러 비로소 정점을 이루게 된다.
2. 호손실험
① 연구의 주제: 조직내의 인간적 변인의 변화와 생산성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② 실험결과: 작업능률 향상→공식조직 내에는 비공식 조직이 있어 생산활동에 큰 영향을 미침
③ 호손 실험의 결과 조직에 대한 새로운 인식
ㅇ조직을 단순한 공식조직만으로 파악해서는 안된다.
ㅇ조직내부에 조직의 활동에 보다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비공식조직이 있으며 특히, 중요한 것은 조직 구성원인 인간의 심리적 본성, 잠재력, 창의성 등에 대한 이해가 필요.
ㅇ조직의 능률을 좌우하는 것은 임금, 노동조건, 작업환경과 같은 물적조건 뿐만 아니라, 종업원의 태도, 감정 등을 중심으로 한 심리적 요소가 더 크게 작용하고 있다. 또한 종업원의 태도, 감정 등을 좌우하는 것은 개인적, 사회적 환경, 조직내의 세력관계, 비공식조직의 영향 등에 의해 결정된다.
ㅇ비공식적 조직: 조직기구표상에 나타나 있지 않은 조직. 일반적으로 조직 구성원의 흥미, 혈연, 학연, 지연, 종교, 이해관계, 근무장소의 근접성, 전공, 성 등이 주요 변인으로 작용
④ 호손 실험의 순기능과 역기능
ㅇ순기능: 과업수행을 돕고, 소속감, 만족감을 주며, 공식조직내에 유용한 의사전달망을 제공하며, 공식관리자가 좀 더 신중히 계획하고 행동하도록 해준다.
ㅇ역기능: 조직에 파벌을 형성, 구성원들이 개인적 접촉을 통해 개인적 이익을 도모할 수 있다.
Ⅳ.체제의 속성
① 시·공간 내에서의 존재: 모든 체제는 시간과 공간 속에서 존재한다. 이것은 모든 체제가 특정한 공간을 차지한 채 시간의 연속적 인 흐름 속에서 진화하고 생성하며 성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② 소멸하려는 경향: 모든 체제는 그 성질, 크기, 형태에 관계없이 무질서하고 두서없고 무력하게 되어 궁극에 가서는 소멸하려는 경향이 있다. 체제는 파괴나 무질서가 전체체제에 중요한 충격을 주지 않는 한, 또한 그 허용범위를 넘지 않는 한 적응과 재생을 통하여 정상적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③ 경계영역: 모든 체제는 그 체제의 안팎을 구분하는 경계인 한계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체제에 따라서는 그 영역의 활용성·가능성·실용성에 따라 고려되기 때문에 그 경계영역이 매우 임의적일 수도 있다.
④ 환경: 모든 체제는 환경을 가지고 있으며 체제의 환경은 체제영역 밖의 모든 것을 의미한다. 환경은 체제활동을 평가하기도 하고 통제하기도 하며 다른 체제을 포함하기도 하기 때문에 환경에 대한 포괄적인 지식이 필요하다.
⑤ 변인과 매개변인: 모든 체제는 체제의 구조와 기능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가지고 있는데, 체제 내의 요소를 변인이라 하고, 체제 외의 환경에 속하는 요소를 매개변수라고 한다. 폐쇄체제는 변인에 의해서 영향을 받으나 개방체제는 변인과 매개변수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⑥ 하위체제: 최소의 체제를 제외한 모든 체제는 하위체제를 가지고 있으며 하위체제도 체제와 마찬가지로 구성요소, 관계, 속성들로 이루어져 있다.
⑦ 상위체제: 최대를 제외한 모든 체제는 상위체제를 가지고 있다. 가장 작은 체제를 제외한 모든 체제가 하위체제를 가지고 있는 것과 같이 가장 큰 체제를 제외한 모든 체제는 상위체제를 가지고 있다. 모든 체제가 분석적으로 하위체제와 세분되듯이 어떤 체제라도 이 보다 더 크고 복잡한 체제의 하위체 제가 된다.
체제는 모두 이상과 같은 몇 가지 속성을 가지고 있는데, 외부환경과의 상호작용 여하에 따라 폐쇄체제와 개방체제로 한다. 폐쇄체제는 외부환경과 격리되어 그 자체로서 모든 것이 충족된다고 가정하나 실제로는 존재할 수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개방체제는 항상 외부환경과 역동적인 관계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체제 내의 요소 간에도 개방적인 관계를 갖는 것이다.
Ⅴ.교육정책의 형성과정 모형
캠벨에 의하면 교육정책은 기본적인 힘, 선행운동, 정치적인 활동 및 공식적인 입법의 네 단계를 형성된다고 하였으며 이 과정은 다음과 같다.
Ⅰ단계:기본적 힘의 작동(basic forces)→Ⅱ단계:선행 운동(antecedent movement)→
Ⅲ단계:정치적 행동화(political action)→Ⅳ단계:공식적 결정(formal enactment)
Ⅰ단계: ‘기본적인 힘’은 지역적 또는 세계적 규모에서 발생하는 중요한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영향력을 의미한다. 학교가 하나의 사회체제인 만큼 다른 기관과 마찬가지로 국민의 교육에 대한 열망 정도, 국민의 경제력 수준, 국제적 긴장상태, 인구동태, 기술공학의 발전, 새로운 지식의 발전등 제요인에 의해서 영향을 받게 된다. 예) 프랑스에서 스프트닉호 영향으로 수학, 과학 강화
Ⅱ단계: ‘선행운동(antecedent movement)'은 교육에 대하여 상당한 주의를 끄는 각종의 운동이 선행적으로 전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사회적으로 저명한 개인이나 또는 전문기관이 작성하는 교육개혁에 관한 건의서, 연구보고서 등이 이에 속한다.
예) 교육에 관한 백안관회의(White House Conference on Education)와 교육에 관한 대통령자문위원회(President's Committee on Education)등이 미국교육정책수립의 선행운동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선행운동은 교육정책 형성의 분위기를 조성하게 된다.
Ⅲ단계: ‘정치적 활동(political action)’은 정책결정에 선행되는 공공의제에 관한 토의나 논쟁을 의미한다. 즉, 개인전문가나 전문연구기관에 의해서 교육개혁을 위한 상당한 주의를 끄는 연구보고서가 일단 작성되면 이는 교육부를 위시하여 각의나 국회에 반영된다. 또한 매스컴을 통하여 일반시민의 여론을 조직화하고 정당의 정책으로 되어 정책 결정기관을 자극하여 교육정책 형성의 분위기를 조성하고 공식적인 입법의 준거로서 작용하기도 한다.
Ⅳ단계: ‘공식적인 입법(formal enactment)'은 정책결정의 최종단계이다. 지금까지의 기본적인 사회적 조건의 변화나 전국적인 선행운동의 조직 및 정부 내외의 정치적활동과 같은 단계들은 입법단계에 이르러 비로소 정점을 이루게 된다.
키워드
추천자료
교육의 정의 및 교육행정과 교육경영에 대한 제 정의
[교육]교육행정및 교육경영 보고서
교육사회학 과제, 대학 교육행정의 문제점, 교직과정운영(행정부분, 홈페이지)
[교육혁신][교육개혁][교육정보화]교육혁신(교육개혁)과 정보화, 교육혁신(교육개혁)과 공학...
[단위학교][학교평가][교원평가][교육행정기관][정부][외국 단위학교 사례]단위학교의 학교평...
[미국교육]미국교육의 현황, 미국교육의 교육제도, 미국교육의 학교제도, 미국교육의 교육개...
[북한][교원양성제도][교육행정제도][고등교육][유치원교육][영재교육][특수교육]북한의 교원...
[일본행정, 행정정보화, 행정체제, 행정지도, 행정개혁, 교육행정]일본행정과 행정정보화, 일...
[교육행정및교육경영] 교육 법규 - 교육법의 개념과 성격, 교육법의 기본원리, 교육법의 구조
[보육시설행정이론] 행동과학이론 (교육행정의 정의, 행동과학적 이론의 등장, 행동과학적 접...
여러 학자들의 행정과정을 참작하여 교육행정과정의 공통요소를 찾아보면 의사결정, 기획, 조...
[교육학개론] 교육행정敎育行政의 성격(교육행정의 특수한 성격에 대해서 개괄적인 논의)
[교육敎育학개론] 교육행정의 정의에 대한 네 가지 입장정리 - 법규해석적 정의, 조건정비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