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대약진 운동의 배경
본론1. 1959-1960년의 대재앙
2.부흥 : 공업노동력의 통제
3.당 정풍운동과 교육
4.중소분쟁
결론 사회운동으로서의 대약진
본론1. 1959-1960년의 대재앙
2.부흥 : 공업노동력의 통제
3.당 정풍운동과 교육
4.중소분쟁
결론 사회운동으로서의 대약진
본문내용
프는 모택동이 대약진운동 중 인민공사를 통해서 소련보다 일찍 공산주의에 도달할 것이라고 주장한 것에 대해서 분노했다. 또 그는 1958년 모택동이 금문도를 폭격이른바 모택동이 내전이라고 주장한 이런 움직임음 소련이 초강대국인 미국과 핵무기 대결로 내몰릴 수 있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었다. 중국과 소련처럼 미국은 대만과 동맹을 맺고 있었기 때문이다.
하면서도 순전히 국내문제라는 이유만으로 자신에게 전혀 알리지 않은 것에도 마찬가지 반응을 보였고, 소련은 중국을 편드는 것을 거절했다. 또한 중국에 원자폭탄을 제공하겠다던 약속을 취소했다. 이러한 불화는 1960년 중반 흐루시초프가 갑자기 중국으로부터 모든 소련의 기술자들과 설계도를 철수시키는 것으로 이어졌다. 이에 중곡은 곧바로 소련 공산당에 대해서 그 수정주의를 비난하는 이데올로기 공세를 퍼붓게 되었고, 소련도 이에 반격을 가햇다.
사회운동으로서의 대약진
중공이 주도한 토지개혁의 과정 전체는 기층간부가 하층신사를 대신하는 과정이었다. 활기에 찬 그들은 새로운 정권을 대표했다. 그들은 중공의 권위에 힘입어 농촌생활에 훨씬 더 깊숙이 침투할 수 있었다. 어느 정도 자발적이고 자율적으로 하층신사가 출현했던 곳에서 기층간부들은 보다 상급의 권위를 대표함으로써 지배력을 확보했다.
이렇게 출현한 농촌의 새로운 활동가 계층은 또한 농업집단화를 통해서 출세할 수 있는 기방법을 발견하게 되자 무언가 할 일을 찾아 더욱 앞으로 나아갈 자세가 되어있었다. 일단 농촌의 재편을 시작한 이 활동가들이 여하튼 이것을 계속 진행시켜나가고자 하는 경향을 보였기 때문에 대약진운동은 억제하기 힘든 것이 되어버렸다.
1950년대 후반에서 1960년대 초반까지 중국은 과거로부터 완전히 단절되고, 열심히 승진경쟁을 벌이는 젊은이들의 나라였다. 반드시 이기적이거나 물질적인 것이 아닌 다른 동기를 떠올릴 수도 있을 것이다. 농민생활에 대한 낡은 속박의 제거, 식자율과 조직의 보급, 모든 사람에 대한 평등과 기회균등의 원칙은 많은 젊은 농민들에게 감동을 주어, 숭고한 목적에 가담하고 그것을 위해서 기꺼이 자신을 희생하게 만들었다. 중국사의 관점에서 보면 대약진 운동은 훨씬 이전의 시대에 진행되었던 대규모 공공사업의 개정판 명대의 만리장성은 제2차 세계대전 때 미국의 B-29 폭격기를 위해서 성도에 건설된 비행장처럼 농촌에서 징발된 노동력으로 만들어졌다. 대약진운동으로 건설된 댐과 수로, 관계시설의 수축 면에서 거둔 성과는 판축공법으로 만들어진 튼튼한 토성으로 둘러싸인 선사시대의 수도 안양과 정주를 새운 고대적 관행의 최신판이었다.
(改訂版)이라고 할 수 있었다.
심지어는 땅을 너무 깊이 갈게 한다던가(소금기가 지표로 올라오게 된다) 또는 곡식을 엇갈려 심게 한다든가(수확하기 곤란해진다) 하는 기층간부들의 잘못된 지시에서도 우리는 농부에게 농사 짓는 방법을 설명했던 전통시애 상층계급 경세이론가(經世理論家)들의 면모를 발견할 수 있다. 생산대나 인민공사로 농민생활을 조직하는 것이 전적으로 모택동주의자의 발명이었던 것만은 아닌것이다.
하면서도 순전히 국내문제라는 이유만으로 자신에게 전혀 알리지 않은 것에도 마찬가지 반응을 보였고, 소련은 중국을 편드는 것을 거절했다. 또한 중국에 원자폭탄을 제공하겠다던 약속을 취소했다. 이러한 불화는 1960년 중반 흐루시초프가 갑자기 중국으로부터 모든 소련의 기술자들과 설계도를 철수시키는 것으로 이어졌다. 이에 중곡은 곧바로 소련 공산당에 대해서 그 수정주의를 비난하는 이데올로기 공세를 퍼붓게 되었고, 소련도 이에 반격을 가햇다.
사회운동으로서의 대약진
중공이 주도한 토지개혁의 과정 전체는 기층간부가 하층신사를 대신하는 과정이었다. 활기에 찬 그들은 새로운 정권을 대표했다. 그들은 중공의 권위에 힘입어 농촌생활에 훨씬 더 깊숙이 침투할 수 있었다. 어느 정도 자발적이고 자율적으로 하층신사가 출현했던 곳에서 기층간부들은 보다 상급의 권위를 대표함으로써 지배력을 확보했다.
이렇게 출현한 농촌의 새로운 활동가 계층은 또한 농업집단화를 통해서 출세할 수 있는 기방법을 발견하게 되자 무언가 할 일을 찾아 더욱 앞으로 나아갈 자세가 되어있었다. 일단 농촌의 재편을 시작한 이 활동가들이 여하튼 이것을 계속 진행시켜나가고자 하는 경향을 보였기 때문에 대약진운동은 억제하기 힘든 것이 되어버렸다.
1950년대 후반에서 1960년대 초반까지 중국은 과거로부터 완전히 단절되고, 열심히 승진경쟁을 벌이는 젊은이들의 나라였다. 반드시 이기적이거나 물질적인 것이 아닌 다른 동기를 떠올릴 수도 있을 것이다. 농민생활에 대한 낡은 속박의 제거, 식자율과 조직의 보급, 모든 사람에 대한 평등과 기회균등의 원칙은 많은 젊은 농민들에게 감동을 주어, 숭고한 목적에 가담하고 그것을 위해서 기꺼이 자신을 희생하게 만들었다. 중국사의 관점에서 보면 대약진 운동은 훨씬 이전의 시대에 진행되었던 대규모 공공사업의 개정판 명대의 만리장성은 제2차 세계대전 때 미국의 B-29 폭격기를 위해서 성도에 건설된 비행장처럼 농촌에서 징발된 노동력으로 만들어졌다. 대약진운동으로 건설된 댐과 수로, 관계시설의 수축 면에서 거둔 성과는 판축공법으로 만들어진 튼튼한 토성으로 둘러싸인 선사시대의 수도 안양과 정주를 새운 고대적 관행의 최신판이었다.
(改訂版)이라고 할 수 있었다.
심지어는 땅을 너무 깊이 갈게 한다던가(소금기가 지표로 올라오게 된다) 또는 곡식을 엇갈려 심게 한다든가(수확하기 곤란해진다) 하는 기층간부들의 잘못된 지시에서도 우리는 농부에게 농사 짓는 방법을 설명했던 전통시애 상층계급 경세이론가(經世理論家)들의 면모를 발견할 수 있다. 생산대나 인민공사로 농민생활을 조직하는 것이 전적으로 모택동주의자의 발명이었던 것만은 아닌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