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의 의
II. 내 용
1. 공개 시기
2. 공개 대상
3. 공개 방식
III. 출원공개의 효과
1. 확대된 선원의 지위 발생
2. 보상금청구권 발생 시기
3. 우선심사 신청 대상이 됨
4. 정보제공 및 조사의뢰 대상이 됨
5. 보정의 시기 제한.
V. 출원공개의 의제
V. 국제특허출원의 특례
1. 문제의 소재
2. 확대된 선원의 지위
3. 보상금청구권
4. 우선심사
5. 정보제공 및 조사의뢰
II. 내 용
1. 공개 시기
2. 공개 대상
3. 공개 방식
III. 출원공개의 효과
1. 확대된 선원의 지위 발생
2. 보상금청구권 발생 시기
3. 우선심사 신청 대상이 됨
4. 정보제공 및 조사의뢰 대상이 됨
5. 보정의 시기 제한.
V. 출원공개의 의제
V. 국제특허출원의 특례
1. 문제의 소재
2. 확대된 선원의 지위
3. 보상금청구권
4. 우선심사
5. 정보제공 및 조사의뢰
본문내용
국제공개의 효과로서 부여되는 것이 원칙이지만 외국어특허출원에 대하여는 <국내공개>를 하지 아니하면 보상금청구권이 주어지지 아니한다. 즉, 국어로 공개(국내공개)되어야 비로소 제3자에게 주의의무를 인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이같은 원칙과 예외적 취급은 PCT 제29조(2)(i)에 의한 것).
※ 출원인의 신청에 의하여 조기에 국제공개된 경우라도 보상금청구권은 최소한 1년 6월이 경과한 뒤에 부여된다.(PCT 제29조(3): 국내출원과 균형을 고려한 것 그러나 신청에 의하여 국내에서 조기에 공개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국내공개를 기준으로 부여해야 할 것)
4. 優先審査
이것은 주로 보상금청구권과 관련된 것이므로 국내공개 후 및 심사 청구된 경우에 가능하다.
5. 情報提供 및 調査依賴
국내공개 후에 인정된다.
※ 출원인의 신청에 의하여 조기에 국제공개된 경우라도 보상금청구권은 최소한 1년 6월이 경과한 뒤에 부여된다.(PCT 제29조(3): 국내출원과 균형을 고려한 것 그러나 신청에 의하여 국내에서 조기에 공개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국내공개를 기준으로 부여해야 할 것)
4. 優先審査
이것은 주로 보상금청구권과 관련된 것이므로 국내공개 후 및 심사 청구된 경우에 가능하다.
5. 情報提供 및 調査依賴
국내공개 후에 인정된다.
추천자료
특허법원의 신설과 특허심판구조의 개편
[특허]왜 의료발명은 특허가 되지 않는가?
[특허제도]인터넷사업 영업방법(BM) 특허의 문제점과 개선책
[산업재산권 실용신안][산업재산권 의장][산업재산권 상표][산업재산권 특허]산업재산권의 실...
[PCT]PCT(특허협력조약)국제특허출원의 의의와 유형, PCT(특허협력조약)국제특허출원의 현황...
PCT(특허협력조약)국제출원의 개념과 동향, PCT(특허협력조약)국제출원의 장점, PCT(특허협력...
PCT(특허협력조약)국제특허출원의 정의와 분류, PCT(특허협력조약)국제특허출원의 동향과 제...
[특허출원][특허출원공개][특허출원공개 시기][특허출원공개 대상][특허출원공개 효과]특허출...
[특허][이중출원][웹데이터베이스][표준화][진보성]특허의 개념, 특허의 분류, 특허의 요건, ...
특허의 요건과 절차
특허권의 소멸
특허권과 모인출원, 특허권의 효력과 침해
[기업 제도][기업][임금피크제도][연봉제도][성과배분제도][경영제도]기업 임금피크제도, 기...
[벤처기업 지식재산권][벤처기업 지식재산권 특허권]벤처기업 지식재산권의 의미, 벤처기업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