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쉴러의 역사관과 자유에 대한 인식
2. 쉴러와 프랑스 혁명
3. 『피에스코』와 『빌헬름 텔』을 중심으로 본 쉴러의 사상적 변화
2. 쉴러와 프랑스 혁명
3. 『피에스코』와 『빌헬름 텔』을 중심으로 본 쉴러의 사상적 변화
본문내용
하는 시민의 권리와 의무를 이상화함으로써 그 당시 봉건적인 독일 소공국의 부자유한 상태를 탄핵하고 있다.
) 장원영 위의 책 151∼152쪽, 프리츠 마르티니 위의 책 358쪽 참조.
텔은 국민성과 국민적 자유의 활동적인 권화인 동시에 쉴러가 말하고 있는 미적 인간의 실현이다. 텔에게는 인간 역사상에 나타난 위대한 영웅의 특징이 작 겸비되어 있다. 그러나 그는 순수한 생존의 자유로부터 현실 세계의 곤경과 죄 속으로 끌려들어 간다. 사과를 쏜다는 것은 그 자신의 인간성을 범하는 것이고 자기의 혈육을 죽이는 막다른 골목으로 그를 몰아넣는 것이다. 여기서 그는 정당방위로서 게슬러의 살해를 결심함으로써 범죄 행위에 말려 들어가는 것을 극복하고 자신의 인간성을 회복한다. 국민의 자유권이라는 정치적, 도덕적 원칙이 문제시되어 있을 뿐 아니라 인간이 그 자유와 조화를 자신의 윤리적, 미적 행위에 의하여 수호한다는 것이 중요한 점이다. 그가 파리치타 공작을 구제의 길로 보내는 결정은 『빌헬름 텔』에 구현되어 있는 내적자유이다. 텔의 마음속에 간직되고 있던 것은 단지 도덕적 문제뿐만 아니라 인간 존재의 자유의 문제였다. 이러한 자유는 예속적인 상태에 놓여 있는 인간으로 하여금 현실에 대해 주체적으로 행위 하는 자유로운 창조자로 변할 수 있게 하는 능력이며 이러한 능력이 근세사회의 부자유 상태를 지양하고 인간의 진실한 자유를 회복시켜주는 원동력인 것이다.
) 프리츠 마르티니 위의 책 358∼359쪽, 장원영 위의 책 150, 160∼161쪽 참조.
지금까지 쉴러의 역사극의 바탕이 되는 그의 역사관과 자유의 이념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프랑스 혁명을 계기로 겪는 그의 사상의 변화에 대해서 그의 역사극을 분석함으로써 알아보았다. 프랑스 혁명을 통하여 그는 충분히 내면적으로 성숙한 인간에게로 관심을 전향했다. 또한 자유에 대한 그의 인식은 외적이고 육체적인 자유에서 내면적이고 미적인 자유로 확대되었다. 그리고 프랑스 혁명을 통하여 민중의 역할과 평가에 대한 그의 인식이 변화하게 되었다. 비록 그의 작품들이 사회비판을 목적으로 하지 않았더라도 그의 자유에 대한 열정과 시민 계층에 대한 각성의 요구는 온 민족의 내, 외적 태도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인간의 진정한 자유에 대한 끊임없는 탐구와 미적 교육에 대한 열정은 인간이 영적 자유를 이루는 데 큰 공헌을 했음에 틀림없다.
《참고 문헌》
장원영, 『쉴러의 역사극 연구』, 형설출판사, 1995
안삼환, 『프랑스 혁명과 독일문학』, 열음사, 1990
하이츠 스톨테, 인인길 옮김, 『도이치 문학의 역사』, 신구문화사, 1994
호프만/뢰쉬, 오한진외 옮김, 『독일 문학사』, 일신사, 1992
프리츠 마르티니, 황현수 옮김, 『독일 문학사, 상』, 을지문화사, 1989
김윤섭, 『독일문학 작품론』, 예림 기획, 1998
게오르그 루카치, 반성완, 임홍배 옮김, 『독일 문학사』, 심설당, 1987
김병옥, 『현실인식과 독일문학』, 열음사, 1991
조창섭, 『예술시대의 독일문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3
) 장원영 위의 책 151∼152쪽, 프리츠 마르티니 위의 책 358쪽 참조.
텔은 국민성과 국민적 자유의 활동적인 권화인 동시에 쉴러가 말하고 있는 미적 인간의 실현이다. 텔에게는 인간 역사상에 나타난 위대한 영웅의 특징이 작 겸비되어 있다. 그러나 그는 순수한 생존의 자유로부터 현실 세계의 곤경과 죄 속으로 끌려들어 간다. 사과를 쏜다는 것은 그 자신의 인간성을 범하는 것이고 자기의 혈육을 죽이는 막다른 골목으로 그를 몰아넣는 것이다. 여기서 그는 정당방위로서 게슬러의 살해를 결심함으로써 범죄 행위에 말려 들어가는 것을 극복하고 자신의 인간성을 회복한다. 국민의 자유권이라는 정치적, 도덕적 원칙이 문제시되어 있을 뿐 아니라 인간이 그 자유와 조화를 자신의 윤리적, 미적 행위에 의하여 수호한다는 것이 중요한 점이다. 그가 파리치타 공작을 구제의 길로 보내는 결정은 『빌헬름 텔』에 구현되어 있는 내적자유이다. 텔의 마음속에 간직되고 있던 것은 단지 도덕적 문제뿐만 아니라 인간 존재의 자유의 문제였다. 이러한 자유는 예속적인 상태에 놓여 있는 인간으로 하여금 현실에 대해 주체적으로 행위 하는 자유로운 창조자로 변할 수 있게 하는 능력이며 이러한 능력이 근세사회의 부자유 상태를 지양하고 인간의 진실한 자유를 회복시켜주는 원동력인 것이다.
) 프리츠 마르티니 위의 책 358∼359쪽, 장원영 위의 책 150, 160∼161쪽 참조.
지금까지 쉴러의 역사극의 바탕이 되는 그의 역사관과 자유의 이념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프랑스 혁명을 계기로 겪는 그의 사상의 변화에 대해서 그의 역사극을 분석함으로써 알아보았다. 프랑스 혁명을 통하여 그는 충분히 내면적으로 성숙한 인간에게로 관심을 전향했다. 또한 자유에 대한 그의 인식은 외적이고 육체적인 자유에서 내면적이고 미적인 자유로 확대되었다. 그리고 프랑스 혁명을 통하여 민중의 역할과 평가에 대한 그의 인식이 변화하게 되었다. 비록 그의 작품들이 사회비판을 목적으로 하지 않았더라도 그의 자유에 대한 열정과 시민 계층에 대한 각성의 요구는 온 민족의 내, 외적 태도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인간의 진정한 자유에 대한 끊임없는 탐구와 미적 교육에 대한 열정은 인간이 영적 자유를 이루는 데 큰 공헌을 했음에 틀림없다.
《참고 문헌》
장원영, 『쉴러의 역사극 연구』, 형설출판사, 1995
안삼환, 『프랑스 혁명과 독일문학』, 열음사, 1990
하이츠 스톨테, 인인길 옮김, 『도이치 문학의 역사』, 신구문화사, 1994
호프만/뢰쉬, 오한진외 옮김, 『독일 문학사』, 일신사, 1992
프리츠 마르티니, 황현수 옮김, 『독일 문학사, 상』, 을지문화사, 1989
김윤섭, 『독일문학 작품론』, 예림 기획, 1998
게오르그 루카치, 반성완, 임홍배 옮김, 『독일 문학사』, 심설당, 1987
김병옥, 『현실인식과 독일문학』, 열음사, 1991
조창섭, 『예술시대의 독일문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