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정신분열병 (schizophrenia) case study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학]정신분열병 (schizophrenia)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A.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분류
4. 증상
5. 치료 및 간호
6. 경과 및 예후

B. 간호사정

C. 간호과정

본문내용

닫는 소리가 계속 들려요. 언니는 안들려요?”
- 환시(+) : 귀신
“도깨비가 보여요. 검은색인데 지금도 앞에 있어요.”
- 물건에 욕하고, 버리고, 삔에 집착한다.
④ 감 정 반 응
- 우울, 사회적 고립감 : “우울해요.” “밖에 나가고 싶어요” “아빠 보고싶어요. 언제와요?”
⑤ 인 지 기 능
ㄱ. 기억력 : 좋음. 오래전의 기억, 단기간의 기억력 모두 좋음
ㄴ. 추상적 사고 : 불완전
ㄷ. 판단력 : 불완전
ㄹ. 병 식 : 있음.
2) 신체상태 검진
체온 : 36.2℃ 맥박 : 84회/min 호흡: 20회/min 혈압:110/70mmHg
신장 : 160cm 체중 : 55.5kg 알러지 : 없음
음주 : 안함 담배 : 안함
시력 : 안경착용 식습관: 양호, 급하게 먹음 치아: 고른 편이며 양호
배설 : 변비가 있다.
3) 사회 ㆍ 경제적 기능 사정
대인관계 기술부족과 의사소통장애로 사회적 기능이 부족하며 사람들과 어울리지 못하고 대부분 혼자 있음. 같은 병실의 환자들과도 간단한 대화만 하는 정도임.
현재 무직으로 경제적 능력은 없다.
4) 영적 기능 사정
카톨릭 신자임.
5) 정신질환에 대한 치료
① 약물치료
약물명
용량
투여횟수
HP 10
1
0
0
1
IND 40
1.5
1/2
1/2
1/2
TEG 200
2
1
0
1
COG 2
1
0
0
1
Haloperidol (HP 10)
[약리] dopamine D₁D₂수용체 차단
[효능] 정신 분열증, 조증, 정신병적 장애증상
[부작용] 중추신경계 이상 (추체외로 증상, 불안, 두통 등)
심계항진, 저혈압, 백혈구 감소증, 간 기능 장애
피부발진, 탈모, 위장기능 장애, 시야몽롱, 구갈
Propranolol HCI (IND 40)
[분류] 고혈압 부정맥 치료제
[약리] 베타₁-베타₂아드레날린성 흥분반응을 신경적으로 차단,
심박동수, 심근수축력 감소, 혈압하강, 심근감소 소비량 감소
[효능] 기외수축, 발작성빈맥 예방, 고혈압, 발작성 심방세동, 갑상선 중독증 보조요법
[부작용] 과민증: 홍반성 발진, 인두염, 발열
정신신경계: 두통, 어지러움, 비틀거림, 불면
소화기계: 구갈, 구역, 식욕부진, 변비, 설사
Carbamazpine (TEG 200)
[분류] 항전간제
[약리] 전시냅스에 작용하여 활동전위의 활성화를 억제하여 흥분성 신경전달 물질의 분비를 감소시키며, 후시냅스에 작용하여 세포체에 시작되는 고주파의 반복성 방출을 억제
[효능] 조병, 조울병 조상태, 정신분열증 흥분상태
[부작용] 과민증: 아나필락시스반응, 두드러기 등
정신신경계: 졸음 환각, 어지러움, 휘청거림 등
심혈관계: 부종, 고혈압, 저혈압, 실신 등
Benztropine mesylate (COG 2)
[약리] 선초제의 콜린 수용체를 부분적으로 차단하여 콜린성 활성과 도파민 활성의 균형 촉진 하도록 도와줌
[효능] 항정신 병약 투여로 인한 파킨슨씨 증후군
[부작용] 항콜린 항히스타민 작용, 피부발진, 녹내장, 오심, 구토
C. 간호과정
문제
간 호 과 정
# 1
감각
지각장애
S
S1: “자꾸 문닫는 소리가 들려요. 언니는 안들려요?”
S2 : “도깨비가 있어요. 검은색인데, 이 앞에도 있어요”
O
O1 : 진단명: schizophrenia.
O2 : 앞에 검은색 도깨비가 있다며 무언가에 홀린듯한 표정을 짓는 다.
A
환청과 관련된 감각-지각 변화
P/I
<단기목표>
환청은 실재 존재하지 않는 소리라는 것을 인지한다.
<장기목표>
환자는 퇴원 시까지 환각을 나타내지 않고 현실을 검증할 수 있 을 것이다.
① 환청의 징후를 관찰한다.(경청하는 자세, 혼잣말하고 웃음, 대화 도중에 멈춤 등등..)
② 대상자가 환청의 내용에 대해 이야기 할 수 있도록 격려 한다.
③ 환청은 실제 존재하지 않는 소리라는 것을 인지하도록 나는 소리가 들리지 않는 다는 것을 대상자에게 알린다.
④ 불안을 일으키는 요소를 사정한다.
⑤ 불안을 해소시킬 수 있도록 산책, 운동, 레크레이션에 참여하여 기분전환을 하고, 불안을 해소시킨다.
⑥ 환청으로부터 다른 곳으로 주의를 돌리도록 유도 한다.
⑦ 약물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투약에 대한 중요성을 재인식시킨다.
E
환자는 “언니는 문닫는 소리 안들려요? 이거는 나 혼자만 들려요.” 라고 말했다. 문닫는 소리는 여전히 들린다고 하였지만 약을 먹은 후부터 귀신이 보이는 횟수가 줄었다고 답했고, 투약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주었다.
문제
간 호 과 정
# 2
우울
S
S1 : “우울해요. 막 울고 싶어요. 밖에 나가서 돌아다니고 싶어요”
S2 : "엄마 아빠한테 가고 싶어요. 보고 싶어요”
O
O1 : 입원한지 2일째. 면회는 한번도 없었고, 전화카드도 소지하고 있지 않아 가족과 연락이 되지 않는 상태였다.
O2 : 사람들과 거의 대화나 어울림이 거의 없고, 혼자 침상에서 자거나 누워있는 시간이 많다.
O3 : 집에 보내달라고 우는 소리를 내기도 한다.
A
사회적 고립과 관련된 우울
P/I
<단기목표>
환자가 한결 기분이 나아졌다고 말로 표현한다.
<장기목표>
환자는 퇴원시까지 병동의 집단활동에서 타 환자 및 직원과 더불어 자발적으로 시간을 보낼 것이다.
① 환자가 우울한 이유를 사정한다.
② 병실활동을 증가시켜 혼자 침상에 누워있는 시간을 줄인다.
(활동을 위해 병실을 한바퀴씩 같이 돌기, 환자가 좋아하는 일 함께 해주기)
③ 단체 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격려한다.(체조 등)
④ 짧고 잦은 접촉을 함으로써 수용적인 태도를 보인다.
⑤ 가족에 대한 그리움을 말로 표현하게 하고, 그리움을 분출시킬 수 있도록 돕는다. (아버지에게 편지쓰기 등)
⑥ 또래의 친구와 어울릴 수 있도록 돕는다.
(옆에 있는 환자(언니)와 대화의 기회 제공)
E
환자는 “지금은 기분이 좀 어때요”라는 말에 “괜찮아요”라고 답했고,
옆에 있던 언니와 함께 머리를 묶고 있었다.
참고문헌
- 알기 쉽게보는 정신 분열병 ,오병훈, 중앙문화사, 1996
- 정신 분열병을 극복하는 법, 김철권, 하나의학사, 2000
- 정신건강간호학 (Ⅰ), 이정숙 외, 현문사, 2002
- 국립서울의료원 약전
-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 가격1,2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8.10.28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80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