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이론적 배경
1.1 전기투석(Electrodialysis; ED)원리
1.2 전기투석의 역사
1.3 전기투석공정의 막오염현상 및 막오염 제어기술
1.4 ED(Electrodialysis)
▶ 1.4.1 ED Process 분리막
▶ 1.4.2 양이온 교환막
▶ 1.4.3 음이온 교환막
▶ 1.4.4 Spacer
▶ 1.4.5 Electrode
▶ 1.4.6 분리막 스택구조
▶ 1.4.7 EDR(Electrodialysis Reversal)공정
▶ 1.4.8 EDR공정 장점
▶ 1.4.9 운전변수
1.5 Clean In Place(CIP)공정
▶ 1.5.1 CIP 공정 개요
▶ 1.5.2 Electrode Clean In Place 공정
2. 기술현황분석보고서(state of the Art Report)
2.1 선진국의 기술동향 및 수준
▶1)상수
▶2)전기투석의 탈염을 이용한 식수제조
▶3)환경친화적인 처리 공정
▶4)공업용수의 재활용
2.2 국내의 기술동향 및 수준
3. 결 론
1.1 전기투석(Electrodialysis; ED)원리
1.2 전기투석의 역사
1.3 전기투석공정의 막오염현상 및 막오염 제어기술
1.4 ED(Electrodialysis)
▶ 1.4.1 ED Process 분리막
▶ 1.4.2 양이온 교환막
▶ 1.4.3 음이온 교환막
▶ 1.4.4 Spacer
▶ 1.4.5 Electrode
▶ 1.4.6 분리막 스택구조
▶ 1.4.7 EDR(Electrodialysis Reversal)공정
▶ 1.4.8 EDR공정 장점
▶ 1.4.9 운전변수
1.5 Clean In Place(CIP)공정
▶ 1.5.1 CIP 공정 개요
▶ 1.5.2 Electrode Clean In Place 공정
2. 기술현황분석보고서(state of the Art Report)
2.1 선진국의 기술동향 및 수준
▶1)상수
▶2)전기투석의 탈염을 이용한 식수제조
▶3)환경친화적인 처리 공정
▶4)공업용수의 재활용
2.2 국내의 기술동향 및 수준
3. 결 론
본문내용
니켈도금 세정폐액의 전기투석법에 의한 회수
니켈 유출량(as Ni)
31.5kg/일
니켈 회수율
90%
회수조니켈농도(as Ni)
5~7g/l
전기투석조형식
DU-III 형
막수/조
50 sets
유효막면적
16.8m2
전류밀도
1 A/dm2
니켈회수량(as NiSO4 6H2O)
3,211 kg/월*
소비전력
0.7 kWh/kg NiSO4 6H2O
* 회수설비의 가동시간 24시간/일 25일/월
3. 결과
국내에는 전기투석을 이용하는 제조공정 또는 환경설비는 극히 제한되어 있으며 공정과 설비 대부분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더욱이 아직까지 국내에 적용된 사례가 적어 전기투석이나 전기탈염 공정에 대한 운전의 안정성에 대한 검증 부족으로 산업체에서 실제 공정에 적용하는 것을 꺼리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까지 국내의 전기투석에 대한 기술수준은 대학을 중심으로 실험실에서의 타당성 검토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자체기술에 의한 공정 적용 사례가 거의 없어 공정에 대한 장점들은 인정하면서도 막 비용, 막오염, 장기운전의 안정성 등의 이유로 실용화가 지연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기투석공정의 핵심기술은 크게 이온교환막의 제조 기술, 공정운전 기술, 막오염 제어 기술, 공정응용 기술등으로 분류할 수 있고 Fig 14. 과 같은 유기적인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전기투석의 실용화를 하기 위해 막분리 공정 기술 개발의 유기적 관계가 중요하다.
Fig 14. 막분리 공정 기술 개발의 유기적 관계
이온교환막 공정운전기술, 다양한 기능성 이온교환막, 합성 기술, 신분리 공정 기술등을 개발하여 기술의 국산화 실현 뿐만 아니라 선진국에서 개발된 기술과 차별화된 독자적인 공정 기술을 개발하여야 한다. 전기투석 장치의 문제점인 막오염 현상을 분석하고 정량적인
방법을 제시하여 전기투석 장치를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운전해야 할 것이다.
4. 참고 문헌
1. Baker, R.W., Membrane technology and applications, MaGraw-Hill, (2000).
2. Belfort, G., Pimbley, J.M., Greiner, A. and Chung, K.Y., “Diagnosis of membrane fouling using a rotating annular filter. 1. Cell culture media”, J. Membr. Sci.
77,1, (1993).
3. Howell, J.A., Sanchez, V. and Field, R.W., Membranes in bioprocessing: Theory and applications, Chapman & Hall, London, (1993).
4. Jonsson,G.,Boesen and Belfort, G. (Ed.),Synthetic membrane processes
-Fundamentals and water applications, Academic Press, (1984).
5. Lee, H.J., Moon, S.H. and Tsai, S.P., “Effects of electric pulse power on membrane fouling in electrodialysis of NaCl solution containing humate”,
Sep. Purif. Tech., In press,(2001).
6. Lindstrand, V., Sundstro, G. and Josson, A., “Fouling of electrodialysis membranes by organic substances, Fouling of electrodialysis membranes
by organic substances”,Desalination, 128, 91, (2000).
7. Rapp, H. and Pfromm, P.H., “Electrodialysis for chloride removal from the chemical recovery cycle of a Kraft pulp mill”, J. Membr. Sci., 146, 249, (1998).
8. Scott, K., Handbook of Industrial membranes, Elsevier, Oxford, UK, (1995).
9. Spiegler, K.S., “Polarization at ion exchange membrane- solution interfaces”,
Desalination, 9, 367, (1971).
10. Watkins, E.J. and Pfromm, P.H. “Capacitance spectroscopy to characterize organic fouling of electrodialysis membranes”, J. Membr. Sci., 162, 213, (1999).
11. Zumbush, P., Kulcke, W. and Brunner, G., “Use of alternating electric fields as
anti-fouling strategy ultrafiltration of biological suspensions Introduction a new
experimental procedure for crossflow filtration”, J. of Membr. Sci., 142, 75,
(1998).
12. 윤운영 “EDR을 이용한 폐수 재활용” ,LG 환경연구소
13. EPA, Extending electroless Nickel bath life using electrodialysis, July, (1998).
14. Homepage www.elitewater.com/nationalstandards.htm, National primary drinking water standards, (2001).
15. C & EN, August, (1999)
16.포스코, 전기도금폐수 처리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10-398417
17.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유가금속회수를 위한 폐수처리 방법 및 그 전해장치
등록특허 10-0452526
18.한국정수공업(주) “도금폐수 중의 유가금속 및 폐수의 회수 재이용 시스템 개발(최종보 고서-1999)
니켈 유출량(as Ni)
31.5kg/일
니켈 회수율
90%
회수조니켈농도(as Ni)
5~7g/l
전기투석조형식
DU-III 형
막수/조
50 sets
유효막면적
16.8m2
전류밀도
1 A/dm2
니켈회수량(as NiSO4 6H2O)
3,211 kg/월*
소비전력
0.7 kWh/kg NiSO4 6H2O
* 회수설비의 가동시간 24시간/일 25일/월
3. 결과
국내에는 전기투석을 이용하는 제조공정 또는 환경설비는 극히 제한되어 있으며 공정과 설비 대부분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더욱이 아직까지 국내에 적용된 사례가 적어 전기투석이나 전기탈염 공정에 대한 운전의 안정성에 대한 검증 부족으로 산업체에서 실제 공정에 적용하는 것을 꺼리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까지 국내의 전기투석에 대한 기술수준은 대학을 중심으로 실험실에서의 타당성 검토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자체기술에 의한 공정 적용 사례가 거의 없어 공정에 대한 장점들은 인정하면서도 막 비용, 막오염, 장기운전의 안정성 등의 이유로 실용화가 지연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기투석공정의 핵심기술은 크게 이온교환막의 제조 기술, 공정운전 기술, 막오염 제어 기술, 공정응용 기술등으로 분류할 수 있고 Fig 14. 과 같은 유기적인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전기투석의 실용화를 하기 위해 막분리 공정 기술 개발의 유기적 관계가 중요하다.
Fig 14. 막분리 공정 기술 개발의 유기적 관계
이온교환막 공정운전기술, 다양한 기능성 이온교환막, 합성 기술, 신분리 공정 기술등을 개발하여 기술의 국산화 실현 뿐만 아니라 선진국에서 개발된 기술과 차별화된 독자적인 공정 기술을 개발하여야 한다. 전기투석 장치의 문제점인 막오염 현상을 분석하고 정량적인
방법을 제시하여 전기투석 장치를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운전해야 할 것이다.
4. 참고 문헌
1. Baker, R.W., Membrane technology and applications, MaGraw-Hill, (2000).
2. Belfort, G., Pimbley, J.M., Greiner, A. and Chung, K.Y., “Diagnosis of membrane fouling using a rotating annular filter. 1. Cell culture media”, J. Membr. Sci.
77,1, (1993).
3. Howell, J.A., Sanchez, V. and Field, R.W., Membranes in bioprocessing: Theory and applications, Chapman & Hall, London, (1993).
4. Jonsson,G.,Boesen and Belfort, G. (Ed.),Synthetic membrane processes
-Fundamentals and water applications, Academic Press, (1984).
5. Lee, H.J., Moon, S.H. and Tsai, S.P., “Effects of electric pulse power on membrane fouling in electrodialysis of NaCl solution containing humate”,
Sep. Purif. Tech., In press,(2001).
6. Lindstrand, V., Sundstro, G. and Josson, A., “Fouling of electrodialysis membranes by organic substances, Fouling of electrodialysis membranes
by organic substances”,Desalination, 128, 91, (2000).
7. Rapp, H. and Pfromm, P.H., “Electrodialysis for chloride removal from the chemical recovery cycle of a Kraft pulp mill”, J. Membr. Sci., 146, 249, (1998).
8. Scott, K., Handbook of Industrial membranes, Elsevier, Oxford, UK, (1995).
9. Spiegler, K.S., “Polarization at ion exchange membrane- solution interfaces”,
Desalination, 9, 367, (1971).
10. Watkins, E.J. and Pfromm, P.H. “Capacitance spectroscopy to characterize organic fouling of electrodialysis membranes”, J. Membr. Sci., 162, 213, (1999).
11. Zumbush, P., Kulcke, W. and Brunner, G., “Use of alternating electric fields as
anti-fouling strategy ultrafiltration of biological suspensions Introduction a new
experimental procedure for crossflow filtration”, J. of Membr. Sci., 142, 75,
(1998).
12. 윤운영 “EDR을 이용한 폐수 재활용” ,LG 환경연구소
13. EPA, Extending electroless Nickel bath life using electrodialysis, July, (1998).
14. Homepage www.elitewater.com/nationalstandards.htm, National primary drinking water standards, (2001).
15. C & EN, August, (1999)
16.포스코, 전기도금폐수 처리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10-398417
17.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유가금속회수를 위한 폐수처리 방법 및 그 전해장치
등록특허 10-0452526
18.한국정수공업(주) “도금폐수 중의 유가금속 및 폐수의 회수 재이용 시스템 개발(최종보 고서-1999)
추천자료
식품가공에 이용되는 단위조작
영화산업의 특징, 역사, 현황, 미래
난류(卵類)에 대해
분뇨 처리 시설
증류탑 실험 보고서
환경과 무기화학 -세라믹 공학-
화학적 처리
환경폐기물의 자원화 방안
[화학공학기술자][화학공학기술자 작업환경][화학공학기술자 현황][화학공학기술자 전망]화학...
대기, 보일러용수, 폐수 측정 방법 및 분석 원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자산관리론] 무형자산의 의의와 취득원가 및 무형자산취득 후의 회계처리 무형자산의 종류와...
[기업][가치평가][회사정리기업][코스닥기업][벤처기업][인터넷기업]회사정리기업(법정관리기...
활성탄흡착예비
결과레포트-흡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