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측정 방법 및 분석 원리
1. 대기
2. 보일러 용수
3. 폐수
1. 대기
2. 보일러 용수
3. 폐수
본문내용
지시간에 따라 각 성분을 확인하고 피크의 높이 또는 면적을 측정하여 유기인을 정량한다. 유효측정농도는 0.0005 mg/L 이상으로 한다.
ABS
자외선/가시선 분광법
메틸렌블루법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메틸렌블루우 반응시켜 생성된 청색의 복합체를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여 클로로포름층의 흡광도를 650 nm 에서 측정하고 미리 작성한 검량선으로부터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양을 구하고 농도(mg/L)를 산출한다.
총대장균군
평판집락법
평판집락수가 30~300개가 되도록 시료를 희석 후, 1mL씩을 시료당 2매에 페트리접시에 넣고 데속시콜레이트 아가를 넣어 정치하여 굳힌 후 (35 ± 0.5) ℃에서 (18~20) h 배양한 다음 진한 적색의 전형적인 집락을 계수한다. 이 집락수를 계수하여 총대장균군수/mL의 단위로 표시한다.
n=H
노말헥산 추출법
시료의 pH를 4이하의 산성으로 하여 노말헥산층에 용해되는 물질을 노말헥산으로 추출하여 노말헥산을 증발시킨 잔류물의 무게로부터 구한 후 광유류의 양을 시험하고자 할 경우에는 활성규산마그네슘(플로리실) 컬럼을 이용하여 동식물유지류를 흡착제거하고 유출액을 같은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CN
자외선/가시선 분광법 : 피리딘-피라졸론법
시료를 pH 2 이하의 산성에서 가열 증류하여 시안화물 및 시안착화합물의 대부분을 시안화수소로 유출시켜 포집한 다음 포집된 시안이온을 중화하고 클로라민-T를 넣어 생성된 염화시안이 피리딘-피라졸론 등의 발색시약과 반응하여 나타나는 청색을 620 nm에서 측정하는 방법이다.
Hg
냉증기-원자
흡수분광
광도법
전처리한 시료를 파장 253.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미리 작성한 검정곡선으로 부터 그 양을 구하고 농도(mg/L)를 산출한다.
벤젠
헤드스페이스-기체크로마토그래프-질량
분석법
시료 중의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일정온도에서 가열하여 평형상태에 있는 기상의 일정량을 기체 크로마토그래프로 분리하여 질량분석기로 검출하는 방법이며, 각 성분별 정량한계는 0.005 mg/L 이다.
디클로로메탄
트리클로로
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생태독성
물벼룩을 이용한 급성 독성 시험법
시료를 여러 비율로 희석한 시험수에 물벼룩을 투입하고 24시간 후 유영상태를 관찰하여 시료농도와 치사 혹은 유영저해를 보이는 물벼룩 마리수와의 상관관계를 통해 생태독성값 을 산출하는 방법이다.
불소
자외선/가시선 분광법
시료에 넣은 란탄알리자린 콤프렉손의 착화합물이 불소이온과 반응하여 생성하는 청색의 복합 착화합물의 흡광도를 620 nm에서 측정하는 방법이다.
페놀류
자외선/가시선 분광법
증류한 시료에 염화암모늄-암모니아 완충용액을 넣어 pH 10으로 조절한 다음 4-아미노안티피린과 헥사시안화철(Ⅱ)산칼륨을 넣어 생성된 붉은색의 안티피린계 색소의 흡광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수용액에서는 510 nm, 클로로폼 용액에서는 460 nm에서 측정한다.
색도
아담스-니컬슨
시료를 여과하여 10mm흡수셀에 담아 영점을 맞춘 후 (620~450)nm으로 10분할법으로 각 파장에서 농도별 표준용액의 투과율(%)을 측정한다.
ABS
자외선/가시선 분광법
메틸렌블루법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메틸렌블루우 반응시켜 생성된 청색의 복합체를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여 클로로포름층의 흡광도를 650 nm 에서 측정하고 미리 작성한 검량선으로부터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양을 구하고 농도(mg/L)를 산출한다.
총대장균군
평판집락법
평판집락수가 30~300개가 되도록 시료를 희석 후, 1mL씩을 시료당 2매에 페트리접시에 넣고 데속시콜레이트 아가를 넣어 정치하여 굳힌 후 (35 ± 0.5) ℃에서 (18~20) h 배양한 다음 진한 적색의 전형적인 집락을 계수한다. 이 집락수를 계수하여 총대장균군수/mL의 단위로 표시한다.
n=H
노말헥산 추출법
시료의 pH를 4이하의 산성으로 하여 노말헥산층에 용해되는 물질을 노말헥산으로 추출하여 노말헥산을 증발시킨 잔류물의 무게로부터 구한 후 광유류의 양을 시험하고자 할 경우에는 활성규산마그네슘(플로리실) 컬럼을 이용하여 동식물유지류를 흡착제거하고 유출액을 같은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CN
자외선/가시선 분광법 : 피리딘-피라졸론법
시료를 pH 2 이하의 산성에서 가열 증류하여 시안화물 및 시안착화합물의 대부분을 시안화수소로 유출시켜 포집한 다음 포집된 시안이온을 중화하고 클로라민-T를 넣어 생성된 염화시안이 피리딘-피라졸론 등의 발색시약과 반응하여 나타나는 청색을 620 nm에서 측정하는 방법이다.
Hg
냉증기-원자
흡수분광
광도법
전처리한 시료를 파장 253.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미리 작성한 검정곡선으로 부터 그 양을 구하고 농도(mg/L)를 산출한다.
벤젠
헤드스페이스-기체크로마토그래프-질량
분석법
시료 중의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일정온도에서 가열하여 평형상태에 있는 기상의 일정량을 기체 크로마토그래프로 분리하여 질량분석기로 검출하는 방법이며, 각 성분별 정량한계는 0.005 mg/L 이다.
디클로로메탄
트리클로로
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생태독성
물벼룩을 이용한 급성 독성 시험법
시료를 여러 비율로 희석한 시험수에 물벼룩을 투입하고 24시간 후 유영상태를 관찰하여 시료농도와 치사 혹은 유영저해를 보이는 물벼룩 마리수와의 상관관계를 통해 생태독성값 을 산출하는 방법이다.
불소
자외선/가시선 분광법
시료에 넣은 란탄알리자린 콤프렉손의 착화합물이 불소이온과 반응하여 생성하는 청색의 복합 착화합물의 흡광도를 620 nm에서 측정하는 방법이다.
페놀류
자외선/가시선 분광법
증류한 시료에 염화암모늄-암모니아 완충용액을 넣어 pH 10으로 조절한 다음 4-아미노안티피린과 헥사시안화철(Ⅱ)산칼륨을 넣어 생성된 붉은색의 안티피린계 색소의 흡광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수용액에서는 510 nm, 클로로폼 용액에서는 460 nm에서 측정한다.
색도
아담스-니컬슨
시료를 여과하여 10mm흡수셀에 담아 영점을 맞춘 후 (620~450)nm으로 10분할법으로 각 파장에서 농도별 표준용액의 투과율(%)을 측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