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목차
Ⅰ. 교통
Ⅱ. 교육
Ⅲ. 중심지의 변화
Ⅱ. 교육
Ⅲ. 중심지의 변화
본문내용
광화문통(세종로)
조선총독부 앞거리 : 현재의 세종로
이 길 좌우에 의정부와 6조가 자리하고 있었기에 '육조거리'로 불림
조선시대 : 제1의 도로->일제의 도로정비->폭이 축소됨
조선시대 : 육조거리 -> 1914년 이후: '광화문통‘ -> 광복 이후 : 세종로
황금정통(을지로)
서울시청 앞에서 동대문 운동장 앞까지의 길
조선시대 – 구리개. 지금의 을지로 입구~광희문까지 연결 되던 길
조선시대 : 구리대 -> 1927년이후 : 황금정통 -> 광복이후 : 을지로
조선인의 거리, 종로
종로 : 도성의 문을 여닫게 하는 종루 때문에 붙여진 이름
조선시대 : 한양의 동, 서를 잇는 간선도로로서 가장 넓은 도로
일제 때 : 이전보다 좁은 28M로 개수됨.
광복 후 : 1952년에 폭 40M로 확장하기로 계획.
1974년 지하철 1호선 공사 때 대부분 넓혀져 오늘에 이름
남대문, 경성역 부근
남대문, 경성역 부근 - 일제 때 도로의 개설과 확장이 활발
일본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용산에 왕래하는 길목에 위치
-> 도로가 잘 닦여짐
2. 전차와 자동차
버스
승용차와 택시
인력거와 우마차
전차
1899년 '전차폭동사건‘ -> 한동안 정상적 운영이 안됨
1910년대 - 전차가 본격적으로 운영되기 시작.
1920년대 초 - 전차손님이 크게 증가.
당시 서울 시내 대중교통수단은 전차가 전부였다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었을 정도였음.
노선 - 4개 노선. 한 구간에 5전(1930년대) 정도.
교외전차도 존재
버스
1920~1930년대의 버스, 곧 승합자동차는 오늘날과 같이 크지 않았으며, 포드 8인승,
14인승의 소형
당시 자동차의 등장은 하나의 혁명적인 사건
1930년대 경성 시내의 전차와 버스 요금이 5전, 경성역 구내의 전화를 이용하려면 또한 5전이 듬, 교통비가 만만한 것이 아니어서 대개 웬만한 거리는 걸어다녔다고 함
승용차와 택시 (1)
자동차의 도입 : 1911년 관용 리무진 승용차가 왕실과 총독용으로 각 1대씩 들어옴
1914년경부터 총독부의 고관과 주한외교관, 구 왕실, 친일 귀족들을 중심으로 승용차를 타기 시작 – 승용차는 매우 귀한 것으로 아무나 탈 수 없었음
1932년도 관용 승용차 : 608대, 자가용 승용차 : 984대
승용차와 택시 (2)
자동차가 다른 교통수단보다 늦게 들어온 이유 : 도로 사정탓도 있었음 –도로가 협소, 한강에 인도교가 없어 자동차가 다니기 불편
1917년 도로 공사의 완공, 한강 인도교 준공 -> 자동차 보급이 증가
조선총독부 앞거리 : 현재의 세종로
이 길 좌우에 의정부와 6조가 자리하고 있었기에 '육조거리'로 불림
조선시대 : 제1의 도로->일제의 도로정비->폭이 축소됨
조선시대 : 육조거리 -> 1914년 이후: '광화문통‘ -> 광복 이후 : 세종로
황금정통(을지로)
서울시청 앞에서 동대문 운동장 앞까지의 길
조선시대 – 구리개. 지금의 을지로 입구~광희문까지 연결 되던 길
조선시대 : 구리대 -> 1927년이후 : 황금정통 -> 광복이후 : 을지로
조선인의 거리, 종로
종로 : 도성의 문을 여닫게 하는 종루 때문에 붙여진 이름
조선시대 : 한양의 동, 서를 잇는 간선도로로서 가장 넓은 도로
일제 때 : 이전보다 좁은 28M로 개수됨.
광복 후 : 1952년에 폭 40M로 확장하기로 계획.
1974년 지하철 1호선 공사 때 대부분 넓혀져 오늘에 이름
남대문, 경성역 부근
남대문, 경성역 부근 - 일제 때 도로의 개설과 확장이 활발
일본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용산에 왕래하는 길목에 위치
-> 도로가 잘 닦여짐
2. 전차와 자동차
버스
승용차와 택시
인력거와 우마차
전차
1899년 '전차폭동사건‘ -> 한동안 정상적 운영이 안됨
1910년대 - 전차가 본격적으로 운영되기 시작.
1920년대 초 - 전차손님이 크게 증가.
당시 서울 시내 대중교통수단은 전차가 전부였다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었을 정도였음.
노선 - 4개 노선. 한 구간에 5전(1930년대) 정도.
교외전차도 존재
버스
1920~1930년대의 버스, 곧 승합자동차는 오늘날과 같이 크지 않았으며, 포드 8인승,
14인승의 소형
당시 자동차의 등장은 하나의 혁명적인 사건
1930년대 경성 시내의 전차와 버스 요금이 5전, 경성역 구내의 전화를 이용하려면 또한 5전이 듬, 교통비가 만만한 것이 아니어서 대개 웬만한 거리는 걸어다녔다고 함
승용차와 택시 (1)
자동차의 도입 : 1911년 관용 리무진 승용차가 왕실과 총독용으로 각 1대씩 들어옴
1914년경부터 총독부의 고관과 주한외교관, 구 왕실, 친일 귀족들을 중심으로 승용차를 타기 시작 – 승용차는 매우 귀한 것으로 아무나 탈 수 없었음
1932년도 관용 승용차 : 608대, 자가용 승용차 : 984대
승용차와 택시 (2)
자동차가 다른 교통수단보다 늦게 들어온 이유 : 도로 사정탓도 있었음 –도로가 협소, 한강에 인도교가 없어 자동차가 다니기 불편
1917년 도로 공사의 완공, 한강 인도교 준공 -> 자동차 보급이 증가
추천자료
일제 수업에 따른 개별화 지도
일제의 식민지 교육과 민족교육
일제시대 경제운동-물산장려운동과 농촌진흥운동
일제시대의 농민운동과 노동운동
일제시대의 사회주의 운동사
전쟁과 도시화-한국전쟁 전후 서울의 도시화를 중심으로
일제고사에 대해서
[일제고사] 일제고사의 문제점과 대책방안
[일제강점기][일제시대][식민지]일제강점기(일제시대) 한국경제의 모순과 문제, 일제강점기(...
일제치하의 공공도서관
[일제시대행정, 일제강점기행정]일제시대행정(일제강점기행정)과 지방제도개혁, 일제시대행정...
[일제시기]일제시기(일제강점기, 식민지시대)의 친일파, 문화정치, 일제시기(일제강점기, 식...
일제시대운동(일제강점기운동)과 독립운동기지건설, 6.10만세운동, 일제시대운동(일제강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