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의 모든것 (유래, 역사, 규칙, 시설, 심판, 반칙, 용품, 용어)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축구의 모든것 (유래, 역사, 규칙, 시설, 심판, 반칙, 용품, 용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이므로 옐로우카 드를 보여 경고한다. 프리킥은 다시 한다. 위와 같은 상황뒤에 골키퍼가 손 으로 볼을 터치했건 하지 않았건 상관이 없다.
등뒤에서의 차지

상대가 방해하고 있을 때에라도 이와같이 뒤쪽에서의 차지를 하면 처벌된다.
부정한 차지 난폭하거나 위험한 차지
스트라이킹 상대를 친다.
오프사이드오프사이드 위치오프사이드 위치에 있는 것만으로는 반칙이 아니다.경기자는 아래의 경우 오프사이드 위치가 된다. 만일:- 경기자가 그의 상대편 골라인에 볼과 최종의 두 번째 상대편보다 더 가까이 있을 때 경기자는 아래의 경우 오프사이드 위치가 아니다. 만일:- 경기자가 자기 진영에 있을 때- 최종에서 두번째 상대편과 동일 선상에 있을 때- 최종의 상대편 두 명과 동일 선상에 있을 때반칙오프사이드 위치에 있는 경기자가 같은 팀 경기자에 의하여 볼이 터치되거나 플레이된 순간에 주심의 견해로 플레이에 적극적으로 관련되었을 때에만 처벌한다. 즉:- 플레이에 간섭하거나- 상대편을 방해하거나- 그 위치에 있으면서 이득을 얻을 때반칙이 아닌 경우만일 경기자가 다음의 상황에서 직접 볼을 받았을 때:- 골킥- 드로우 인- 코너 킥위반/처벌오프사이드 반칙시 주심은 위반이 발생한 지점에서 상대팀에게 간접프리킥을 부여한다.
점핑앳
헤딩의 경우 볼을 향해 점프하는 경우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볼과는 전혀 관계없이 상대를 향해 덤벼드는것 같은 경우는 당연히 허용되지 않는다

직접프리킥이 주어지는 반칙 주심의 견해로 경기자가 조심성없이 무모하게 또는 과도한 힘을 사용하여 다음의 6개 반칙중 어느 것을 범했을 경우 상대팀에게 직접프리킥을 부여한다.- 상대를 차거나 차려고 했을 때- 상대를 걸었거나 걸어 넘어뜨리려고 했을 때- 상대에게 뛰어 덤벼들었을 때- 상대를 차지(charges)했을 때- 상대를 때리거나 때리려고 했을 때- 상대를 밀었을 때경기자가 다음의 4개 반칙 중 어느 것을 범했을 때 상대팀에게 직접프리킥을 부여한 다.- 볼을 소유하고자 상대에게 태클을 하였으나 볼에 터치하기 전에 상대의 신체에 먼저 접촉되는 경우- 상대를 잡았을 때- 상대에게 침을 뱉었을 때- 고의적으로 볼에 손을 댔을 때(자신의 페널티 에어리어 내에 있는 골키퍼는 제 외)직접 프리킥은 반칙이 발생한 지점에서 행한다.
킥킹상대를 찬다.
퇴장성 반칙 경기자가 다음의 7가지 반칙 중 어느 것을 범하였을 경우 레드카드를 보여 퇴장 조치한다.- 심한 반칙 플레이의 경우- 난폭한 행위의 경우- 상대 또는 다른 사람에게 침을 뱉은 경우- 고의적으로 볼을 핸들링 하여 상대의 득점 또는 명백한 득점 기회를 저지 시킨 경우(자신의 페널티 에어리어 내에 있는 골키퍼는 적용되지 않는 다.)- 상대가 골을 향하여 움직이고 있을 때 프리킥 또는 페널티 킥으로 처벌하 여야 할 반칙을 하여 명백한 득점 기회를 저지시킨 경우- 공격적, 모욕적 언어 또는 욕설을 한 경우- 한 경기에서 두번째 경고를 받은 경우
트리핑볼을 플레이하려는 상대를 방해하려다가 반대로 자신이 넘어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주심이 멀리 있을 경우 오판하는 일이 있다. 상대의 발을 걸어 넘어뜨리거나 헤딩하려고 뛰어오른 상대의 아래에 몸을 넣어 상대를 방해할때
페널티킥수비측 경기자가 자기의 페널티 에어리어 내에서 직접 프리킥으로 처벌되는 10가지 반칙가운데 어느 한 종목을 고의로 범했을 때, 상대방 팀에 페널티 킥이 주어진다.페널티 킥은 페널티 마크에서 행해진다. 페널티 킥으로 직접 득점할수 있다. 페널티 킥이 행해질 때에는 경기자 및 수비측 고울 키퍼 외에는 페널티에어 리어내에 들어갈 수 없다. 그리고 페널티 마크에서 적어도 9.15M이상 떨어 져야 한다. 수비측 골키퍼는 페널티 킥을 해야하는 경기자가 볼을 찰 때까 지 양쪽 골 포스트 사이의 골라인상에 발을 움직이지 않고 서 있어야 한다. 킥을 행하는 경기자는 볼을 다른 경기자가 접촉한 후에야 다시 볼을 플레이 할 수 있다. 킥한 볼이 앞쪽으로 움직이면 인플레이이다.
푸싱
상대를 뒤에서 밀거나 또는 상대를 팔꿈치로 밀거나 헤딩할때 상대를 밀때

핸들링자신은 손을 사용하려는 의지를 가지지 않았는데 가까운 곳에 있는 경기자가 볼을 차 볼에 맞는다거나 혹은 볼이 자신을 스쳐 지나가는 경우에는 보통 핸들링으로서 처벌을 받지 않지만 팔이 몸에서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핸드링으로서 처벌되는 경우도 있다.
홀딩 상대의 뒤에서 유니폼을 잡고있다.






경기자의 장비경기자는 다른 경기자에게 상처를 입힐 수 있는 것을 몸에 지녀서는 안된다. 따라서 경기자는 상의,하의,양말,정강이 보호대,신발, 골키퍼용장갑을 착용할 수 있을 뿐으로 쇠장식이 붙은 벨트나 시계, 반지 등은 몸에 지닐수 없다. 축구화에도 일정한 기준이 있으므로 기준에 맞는 것을 사용해야 한다.본 규칙의 어떤 위반에 대하여:- 플레이를 중지시킬 필요가 없다.- 경기자의 장비가 잘못되어 있으면 경기장을 떠나서 그의 장비를 고치도록 주심이 지 시한다.- 어떤 경기자이건 경기장을 떠나 장비를 고친뒤 주심의 허락없이는 재입장하지 못한 다.- 주심은 그를 경기장에 재입장하도록 허락하기 전에 경기자의 장비가 올바른지 점검 한다.- 경기자는 볼이 아웃 오브 플레이 때에만 재입장이 허용된다.본 규칙의 위반으로 경기장을 떠났다가 주심의 허락없이 경기장에 입장했을 때,주심은 옐로우 카드를 보여 경고 조치한다.주심이 경고조치를 행하려고 플레이를 중지시켰다면:주심이 경기를 중지시켰을때 볼이 있던 지점에서 상대팀의 간접프리킥으로 경기를 재 개한다.
축구공볼은 구상으로 외피에는 가죽을 사용한다. 구조상 경기자에게 해를 끼칠 우려가 있는 물질이 사용되어서는 안된다.바깥둘레 : 27인치(68cm) - 28인치(70cm)무게 : 14온스(410g) - 16온스(450g)공기압력은 해면에서 0.6 기압 이상, 1.1기압 이하여야 한다.FIFA공식경기,대륙연맹,국가협회주관 경기에서 대회 혹은 주최측의 상징, 볼제조자의 상표를 제외하고 볼에 어떠한 종류의 상업적 광고도 허용되지 않는다. 대회규정에 마 크의 크기와 숫자를 제한할 수 있다.

키워드

축구,   월드컵,   풋살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0.01.28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86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