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진단유전학, 임상검사유전학
1) 분자유전학 (Molecular Genetics; Molecular Diagnosis)
2) 세포유전학 (Cytogenetics)
3) 생화학유전학 (Biochemical Genetics)
2. 분자유전검사와 용어
3. 분자유전검사의 발전 배경과 미래
1) 각종 질병의 원인 유전자의 규명
2) 분자유전검사 기술의 발전
4. 분자유전검사의 주요 대상질환
1) 질환의 직접 진단에 이용되는 것
2) 질환을 직접 진단하지는 않으나 진단 및 치료에 유용한 DNA 검사
5. 분자유전검사가 되려면
1) 분명한 기술 : 정확성, 재현성, 정도관리 : all or none
2) 분명한 의의 : 연구와 검사의 분명한 구별
3) 윤리성 : 특히 유전질환에서 증상전 예측검사(presymptomatic predictive test)
6. 분자유전검사에 대한 의료진의 준비
1) 검사를 직접 수행하는 의료진 :
2) 검사를 이용하거나 consultation하는 의료진 :
7. 한국의 분자유전검사의 현황
1) 감염질환 분야, ( )속은 실시기관 수
2) 종양, ( )속은 실시기관 수
3) 유전질환, ( ) 속은 실시기관 수
4) 기타 : HLA DR (18), DNA Fingerprinting (7)
8. 미국의 분자유전검사 및 외부정도관리 현황
1) MGL : Molecular diagnosis of genetic diseases
2) MO : Molecular diagnosis of cancer
3) ID : Molecular diagnosis of infectious disease
9. 결어
1) 분자유전학 (Molecular Genetics; Molecular Diagnosis)
2) 세포유전학 (Cytogenetics)
3) 생화학유전학 (Biochemical Genetics)
2. 분자유전검사와 용어
3. 분자유전검사의 발전 배경과 미래
1) 각종 질병의 원인 유전자의 규명
2) 분자유전검사 기술의 발전
4. 분자유전검사의 주요 대상질환
1) 질환의 직접 진단에 이용되는 것
2) 질환을 직접 진단하지는 않으나 진단 및 치료에 유용한 DNA 검사
5. 분자유전검사가 되려면
1) 분명한 기술 : 정확성, 재현성, 정도관리 : all or none
2) 분명한 의의 : 연구와 검사의 분명한 구별
3) 윤리성 : 특히 유전질환에서 증상전 예측검사(presymptomatic predictive test)
6. 분자유전검사에 대한 의료진의 준비
1) 검사를 직접 수행하는 의료진 :
2) 검사를 이용하거나 consultation하는 의료진 :
7. 한국의 분자유전검사의 현황
1) 감염질환 분야, ( )속은 실시기관 수
2) 종양, ( )속은 실시기관 수
3) 유전질환, ( ) 속은 실시기관 수
4) 기타 : HLA DR (18), DNA Fingerprinting (7)
8. 미국의 분자유전검사 및 외부정도관리 현황
1) MGL : Molecular diagnosis of genetic diseases
2) MO : Molecular diagnosis of cancer
3) ID : Molecular diagnosis of infectious disease
9. 결어
본문내용
(Southern blot, PCR), PML-RARA (PCR), bcl2 (PCR) 등이다.
3) ID : Molecular diagnosis of infectious disease
감염질환에 대한 분자유전검사 정도관리이다. 종목은 조금씩 바꾸면서 시행하며 참여기관수는 약 100여기관이고 중요종목은 M. tuberculosis, Hepatitis C Virus, Chlamydia, HSV, HIV, N. gonorrhoeae 등이다.
9. 결어
분자유전검사는 매우 빨리 발전하고 있는 강력한 검사의학의 도구이며 21세기의 진단과 치료에 결정적인 원동력이 될 것이다. 보다 많은 의료진의 관심과 노력으로, 적절한 검사의 시행, 적절한 검사의 이용, 또 그를 위한 적절한 교육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3) ID : Molecular diagnosis of infectious disease
감염질환에 대한 분자유전검사 정도관리이다. 종목은 조금씩 바꾸면서 시행하며 참여기관수는 약 100여기관이고 중요종목은 M. tuberculosis, Hepatitis C Virus, Chlamydia, HSV, HIV, N. gonorrhoeae 등이다.
9. 결어
분자유전검사는 매우 빨리 발전하고 있는 강력한 검사의학의 도구이며 21세기의 진단과 치료에 결정적인 원동력이 될 것이다. 보다 많은 의료진의 관심과 노력으로, 적절한 검사의 시행, 적절한 검사의 이용, 또 그를 위한 적절한 교육이 요구되는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