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든 노력을 기울여야만 한다"고 역설한다. 예컨대 화학자들이나 산업계에서 아무 생각 없이 또는 해가 없다고 사용한 화학물질들 중 상당수가 호르몬 유사물질이고 이것들이 동물들의 내분비계를 혼란에 빠뜨린 현실을 짚어 볼 수 있다. DDT, 다이옥신, 에스트로겐 유사물질 등 여러 가지 화학물질들이 동물들의 호르몬 분비체계를 어떻게 교란했으며, 그로 인해 인간을 포함한 동물들이 어떻게 되었는지에 대해 과학자들은 뼈저린 반성과 책임의식을 통감해야 할 것이다.
5. 나오면서-생명윤리를 지향하며
슈바이처의 말대로, 적어도 사고하려는 습관을 가진 사람이라면 모든 생물에 대해 자기의 생명처럼 경외하는 마음을 가질 것이며, 자라는 생명을 끝없이 뻗어나게 할 것이다. 사고할 줄 아는 인간이 나쁘다고 인정해야 하는 것은 생명을 파괴하는 것이며 생명을 억압하는 것이다. A. 슈바이처, 류해인 역, 『나의 생애와 사상』(서울: 하서출판사, 2001) 참고.
즉 거창하게 종교까지 들먹일 필요 없이도, 최소한 생각할 머리가 있는 사람이라면 당연히 이해되어야 하고 도달해야 하는 도덕의 절대적 근본 원리는 자신의 생명의 힘에 대해 경외심을 갖는 것과 마찬가지로 다른 생명에 대해서도 같은 심정을 가져야 하는 것이다. 바로 여기서 생명이란 인간이건 동물이건 식물이건 모두 동일하게 소중히 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원칙이 생겨난다. 인간 이외의 생명은 인간에게 먹히고 이용당하기 위해 존재하는가? 그렇지 않다. 인간이 살기 위해 다른 생명들을 희생할 수밖에는 없지만, 이런 모순적 상황에 대해 줄곧 윤리적으로 고민할 때, 그때야 말로 참된 인간, 도덕적 인간이 되는 것이다. 우리의 생명을 유지키기 위해 부득이하게 동식물을 희생시키더라도 생명에 대한 경외심을 잃지 말아야 하는 것이며 따라서 최소한의 희생을 요구해야 하는 것이다. 인간은 “살려고 하는 생명 가운데서 살려고 애쓰는 생명”일 뿐이다.
21세기 생명공학의 혁명적 발전 속에서 생명을 더욱 경제적으로 이용하려고 하는 추세는 더욱 강화되고 있다. 생명의 유전자 조작으로 인한 생명에 대한 위협, 생태계 교란 등은 생명윤리의 부재로 인한 것이다. 인간이 자신이 속해 있는 세계와 생명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취하느냐는 문제는 자연의 생명에 대한 문제이기 보다 인간 생존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이 인간의 생명이든 동식물의 생명이든 책임적으로 사랑하는 것이 오늘날 우선적으로 요청되는 윤리적 과제다.
5. 나오면서-생명윤리를 지향하며
슈바이처의 말대로, 적어도 사고하려는 습관을 가진 사람이라면 모든 생물에 대해 자기의 생명처럼 경외하는 마음을 가질 것이며, 자라는 생명을 끝없이 뻗어나게 할 것이다. 사고할 줄 아는 인간이 나쁘다고 인정해야 하는 것은 생명을 파괴하는 것이며 생명을 억압하는 것이다. A. 슈바이처, 류해인 역, 『나의 생애와 사상』(서울: 하서출판사, 2001) 참고.
즉 거창하게 종교까지 들먹일 필요 없이도, 최소한 생각할 머리가 있는 사람이라면 당연히 이해되어야 하고 도달해야 하는 도덕의 절대적 근본 원리는 자신의 생명의 힘에 대해 경외심을 갖는 것과 마찬가지로 다른 생명에 대해서도 같은 심정을 가져야 하는 것이다. 바로 여기서 생명이란 인간이건 동물이건 식물이건 모두 동일하게 소중히 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원칙이 생겨난다. 인간 이외의 생명은 인간에게 먹히고 이용당하기 위해 존재하는가? 그렇지 않다. 인간이 살기 위해 다른 생명들을 희생할 수밖에는 없지만, 이런 모순적 상황에 대해 줄곧 윤리적으로 고민할 때, 그때야 말로 참된 인간, 도덕적 인간이 되는 것이다. 우리의 생명을 유지키기 위해 부득이하게 동식물을 희생시키더라도 생명에 대한 경외심을 잃지 말아야 하는 것이며 따라서 최소한의 희생을 요구해야 하는 것이다. 인간은 “살려고 하는 생명 가운데서 살려고 애쓰는 생명”일 뿐이다.
21세기 생명공학의 혁명적 발전 속에서 생명을 더욱 경제적으로 이용하려고 하는 추세는 더욱 강화되고 있다. 생명의 유전자 조작으로 인한 생명에 대한 위협, 생태계 교란 등은 생명윤리의 부재로 인한 것이다. 인간이 자신이 속해 있는 세계와 생명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취하느냐는 문제는 자연의 생명에 대한 문제이기 보다 인간 생존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이 인간의 생명이든 동식물의 생명이든 책임적으로 사랑하는 것이 오늘날 우선적으로 요청되는 윤리적 과제다.
추천자료
유전자조작식품
[감상문] 가타카(Gattaka)에 나타난 유전자조작의 윤리적문제점 연구
유전자조작식품의 윤리적관점
인간에 관한 유전자 조작 및 인간복제와 관련된 윤리적 고찰
유전자조작식품(GMO, 유전자변형식품)의 개념, 유전자조작식품(GMO, 유전자변형식품)의 생산...
유전자조작식품(유전자재조합식품, GMO)의 특징과 원리, 유전자조작식품(유전자재조합식품, G...
언론보도의 윤리적 쟁점,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윤리적 쟁점, 임신중절수술(낙태)과 유전자조작...
[윤리적 관점][정보통신][유전자조작식품][GMO]윤리적 관점으로 본 정치권력, 윤리적 관점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