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방송 전환에 대한 보고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HD방송 전환에 대한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현재 방송은 아날로그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는 시기이다.

본론
 1) 아날로그방송에 비해 디지털 방송의 장점
 2) 독일의 디지털 방송사례
 3) 우리나라의 전환이 느린 이유
 4) 디지털 방송시 수익성보다 공익성을 우선 해야됨

결론
  -디지털 방송으로의 전환을 위해서 디지털 전환의 중요성을 대대적으로 홍보하고 디지털로 전환되는 과저에서 소외되는 계층이 문화적 차이가 생기지 않도록 노력을 해야 될 것이다

본문내용

디지털 TV의 보유율이 95%로 만들어서 아날로그 방식을 중지 할 정책이었다. 그러나 2006년 새로이 나온 정책에서 2010까지 보급률이 50%를 넘지 못할것으로 예상하고 아날로그 방송의 중지 시점을 2012년으로 일정을 연기했다. 2006년 2월 정통부에서는 새로운 디지털 방송 활성화를 위한 특별법을 제정하였다. 여기에는 ‘아파트 등 공공주택의 공시청 시설 및 관련 제도 개선’,‘지상파 TV용 디지털 튜너 내장 의무화’,‘’아날로그 TV에 디지털 방송 시청이 불가능함을 안내하는 로고 부착‘등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들은 구체적이지 않고 활성화를 위한 대책이 아직까지 나오지 않았다.
미국의 경우 디지털 방송의 활성화를 위해 입법 활동을 거쳐 종료 시기를 정하고 그 일정에 맞춰서 아날로그 방식이 종료되도록 일정을 맞추고 있다. 또한 저소득층의 셋톱박스 구매에 위한 자금도 마련해서 지원을 하고 있다. 이처럼 저소득층에 지원을 늘리는 것은 지상파 방송이 공공의 자산이기 때문이다.
영국의 경우도 이러한 디지털 방송의 지상파 방송을 알리기 위해 홍보를 하고 있다. Digital UK라는 비영리 단체를 설립해서 디지털 방송의 장점을 알리고 셋톱박스와 디지털 전환의 중요성을 알리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디지털 방송은 모두에게 친숙하게 다가가게 되었다. 앞으로 소외된 계층이 될 수 있는 노인층에게 까지 홍보의 중요성을 알리는 것을 목표로 홍보를 계속하고 있다.
이처럼 전 세계 적으로 디지털 전환의 열풍이 불고 있다. 세계 각국은 디지털 전환을 위한 홍보를 하고 디지털 전환에 의해 소외되는 계층이 없도록 노력을 해나가는 실정이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경우에는 디지털 방송의 홍보자체가 부족하고 정책적인 면에서도 일관되지 않고 구체적으로 디지털 전환의 방향을 제시하지 못하는 상황이고 홍보를 통한 전환의 중요성을 알리는 과정도 다른 나라보다 적은 상황이다. 또한 현재 방송국에서 HD화질의 단일 방송보다는 다채널 방식의 방송을 하려고 하고 있지만 케이블 업계의 반대에 맞서 선뜻 다채널 방식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제 아날로그 방송 종료 시점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정부는 전 국민에게 디지털 방송의 필요성과 아날로그에 비해 유리한 장점을 인식시키도록 홍보에 박차를 가해야 할 것이다. 또한 지상파 방송의 공영성을 잊지 않고 소득격차에 따른 디지털 양극화가 생기지 않도록 정책의 방향을 잡아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11.03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90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