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미경 사용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Subject

2. Date

3. Introduction

4. Material

5. Method

6. Reference

7. Result

8. Discussion

본문내용

렌즈는 큰 실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물체와 렌즈까지의 거리는 짧고 렌즈와 상까지의 거리는 길어야 하기 때문에 대물렌즈가 길이가 길어져 전진 배치되는 것이다. 접안렌즈의 상은 명시거리에 생기는 것이 좋은데, 명시거리, 즉 상까지의 거리는 정해져 있는데 배율이 커지기 위해서는 물체까지의 거리가 짧아져야 한다. 따라서 대안렌즈는 고배율로 갈수록 렌즈의 길이가 짧아지는 것이다.
단안현미경의 특징은 한눈으로 볼 수 있게 접안렌즈가 한 개 이다. 또한
쌍안현미경과 다르게 대물렌즈가 3개가 있다. 쌍안현미경의 특징은 단안현미경이 접안렌즈가 1개가 있다면 쌍안현미경은 2개가 있어서 두 눈으로 볼 수 있는 것이 제일 큰 특징이다. 쌍안현미경을 사용하다보면 한쪽 눈을 감고 보는 것이 잘 보일 때도 있었는데 그 이유는 쌍안현미경의 특징을 잘 못 살리고 잘못 사용한 것 이였다. 먼저 오른쪽 눈으로 먼저 초점을 맞춘 다음 왼쪽 접안렌즈가 돌릴 수 있게 되어 있는데, 이것을 돌려서 초점을 맞춘다. 그 이유는 사람마다 왼쪽시력과 오른쪽 시력이 다 같은 것이 아니라 이런 식으로 최대한 잘 보이게 하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또한 사람마다 두 눈의 미간사이가 달라서 잘 못 보게 되는 것을 교정할 수 있는데 쌍안경처럼 두 접안렌즈를 움직여서 두 미간사이를 맞춘 후 보면 단안렌즈보다 더 잘 볼 수 있다.
해부현미경은 대물렌즈를 회전해서 배율을 바꾸는 것이 아니고 옆 부분에
비율 조절하는 나사를 돌려 배율을 조정한다. 해부현미경의 특징은 대물렌즈와 재물대 사이의 간격이 다른 2개의 현미경보다 크다는 것인데 그 이유는 관찰할 대상이 약간 큰 생물이기 때문이다. 또한 배율도 다른 현미경보다 낮다.
현미경의 사용 순서는 먼저 가장 저배율의 대물렌즈에 맞춰놓는다. 그 이유는 큰 배율부터 하면 관찰하고자하는 대상을 찾기 힘들뿐만 아니라 초점도 맞추기 어렵기 때문이다. 다음에는 조리개를 이용하여 빛의 양을 조절한다. 그리고 관찰할 대상&프레파라트를 재물대위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한다. 여기서 프레파라트에 커버 글라스를 덮는 이유는 대상이 움직이지 않게 하려는 목적도 있고 수분이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려는 이유도 있다. 다음에는 조동나사로 천천히 초점을 맞춘다. 초점이 대략 맞으면 미동나사로 완벽히 맞춘다. 나중에 배율을 높일 때는 조동나사로 조절하지 말고 미동나사로 조절한다. 또 배율을 높이다 보면 빛이 양이 적어들어 조리개로 빛의 양을 조절해야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11.03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92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