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들어가며
II. 본문
1. 현미경이란?
2. 현미경의 발명
3. 현미경의 종류
1) 광학현미경(LM, Light Microscope)
2) 전자현미경(EM, Electron Microscope)
3) 원자현미경(AFM, Atomic Force Microscope)
4. 현미경의 구조
1) 렌즈
2) 조절 나사
3) 경통
4) 회전판
5) 재물대
6) 조리개
7) 반사경
8) 손잡이
5. 현미경의 사용방법
1) 사용방법
2) 실험 후 고찰방법
6. 현미경의 배율
1) 접안렌즈 배율 * 대물렌즈 배율
2) 저배율에서 고배율로 갈수록
7. 현미경으로 세포연구하기
1) 준비물
2) 실험방법
3) 고찰
참고자료
II. 본문
1. 현미경이란?
2. 현미경의 발명
3. 현미경의 종류
1) 광학현미경(LM, Light Microscope)
2) 전자현미경(EM, Electron Microscope)
3) 원자현미경(AFM, Atomic Force Microscope)
4. 현미경의 구조
1) 렌즈
2) 조절 나사
3) 경통
4) 회전판
5) 재물대
6) 조리개
7) 반사경
8) 손잡이
5. 현미경의 사용방법
1) 사용방법
2) 실험 후 고찰방법
6. 현미경의 배율
1) 접안렌즈 배율 * 대물렌즈 배율
2) 저배율에서 고배율로 갈수록
7. 현미경으로 세포연구하기
1) 준비물
2) 실험방법
3) 고찰
참고자료
본문내용
그 기능을 간단히 기술한다.
② 광학현미경에서 신문지 조각을 저배율로 보았을 때 글자의 상이 어떻게 맺혀지는가? 신문지상의 실제 글자와 어떻게 다른가?
③ 광학현미경 및 해부현미경에서 slide glass를 오른편에서 왼편으로 옮겨 주면 현미경으로 보는 상은 어느 쪽으로 옮겨지는가?
④ 광학현미경 및 해부현미경에서 slide glass를 자기 앞으로 당겼을 때는 상이 어떻게 옮겨지는가?
⑤ 저배율에서 고배율로 대물렌즈를 바꾸면 시야 속의 위치는 바뀌는가?
⑥ 고배율에서 시야의 밝기가 저배율과 비교하여 어떤가?
⑦ 신문지 조각을 보았을 때 맺히는 글자의 상을 그리시오
⑧ 재물대미터를 이용하여 글자의 좌표를 잡고 다른 현미경에서 동일한 좌표에 위치시켰을 때 글자를 다시 관찰할 수 있는가? (좌표값도 함께 기재)6. 현미경의 배율
1) 접안렌즈 배율 * 대물렌즈 배율
(예 : 접안렌즈배율=10*, 대물렌즈배율=40*, 이 때 현미경의 배율은 10*40=400배)
상의 크기
밝기
시야
작동거리
상의 수
반사경
저배율
작다
밝다
넓다
길다
많다
평면렌즈
고배율
크다
어둡다
좁다
짧다
적다
오목렌즈
2) 저배율에서 고배율로 갈수록
① 상이 커진다.
② 보이는 상의 개수가 적어진다.
③ 시야가 어두워진다.
④ 오목거울을 반사경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⑤ 작동거리가 짧아진다.
⑥ 대물렌즈는 길어지고 접안렌즈는 짧아진다.7. 현미경으로 세포연구하기 ① 광학 현미경: 얀센(Janssen)이 처음 발명 ② 전자 현미경: 루스카(Ruska)에 의해 발명
※ 광학 현미경과 전자 현미경의 비교
광학 현미경
전자 현미경
원 리
가시광선 이용
전자선 이용
해상능력
0.2㎛
0.2㎚
관 찰
가능
사진으로만 관찰 가능
<세포의 크기 측정>
1) 준비물
접안 마이크로미터, 대물 마이크로미터, 현미경
2) 실험방법 (1) 배율을 100배로 하고 접안 마이크로미터를 접안렌즈에 끼운 후, 대물 마이크로미터를 재물대 위에 놓는다.
(2) 현미경의 초점을 맞추고, 접안 마이크로미터와 대물 마이크로미터의 눈금이 겹치게 한다.
(3) 두 눈금이 겹치는 부분 두 곳을 찾아 그 사이의 눈의 수를 각각 센 후, 다음의 계산식을 써서 접안 마이크로미터 한 눈의 길이(χ)를 확인한다.
대물 마이크로미터의 한 눈은 1mm를 100등분한 것이므로 한 눈의 실제 길이는 10㎛이다. 따라서, χ는 다음과 같다.
χ=겹친 대물 마이크로미터의 눈 수/겹친 접안 마이크로미터의 눈 수×10㎛
3) 고찰
(1) 그림에서 접안 마이크로미터 한 눈의 길이는 몇 ㎛인가? 해석: (4㎛. 겹쳐진 대물 마이크로미터의 눈 수는 2개, 겹쳐진 접안 마이크로미터의 눈 수는 5개이다. 따라서, (6/5)×10㎛=12㎛)
(2) 대물렌즈의 배율을 2배로 높이면 접안 마이크로미터의 한 눈의 길이는 대략 몇 ㎛가 될까? 해석: (2㎛. 배율이 2배로 늘어나면 시야의 길이는 반으로 줄어든다.)참고자료<광학 현미경 원리와 사용법> 안태인 아카데미서적 1996.07.01
디지털타임스 http://www.dt.co.kr
② 광학현미경에서 신문지 조각을 저배율로 보았을 때 글자의 상이 어떻게 맺혀지는가? 신문지상의 실제 글자와 어떻게 다른가?
③ 광학현미경 및 해부현미경에서 slide glass를 오른편에서 왼편으로 옮겨 주면 현미경으로 보는 상은 어느 쪽으로 옮겨지는가?
④ 광학현미경 및 해부현미경에서 slide glass를 자기 앞으로 당겼을 때는 상이 어떻게 옮겨지는가?
⑤ 저배율에서 고배율로 대물렌즈를 바꾸면 시야 속의 위치는 바뀌는가?
⑥ 고배율에서 시야의 밝기가 저배율과 비교하여 어떤가?
⑦ 신문지 조각을 보았을 때 맺히는 글자의 상을 그리시오
⑧ 재물대미터를 이용하여 글자의 좌표를 잡고 다른 현미경에서 동일한 좌표에 위치시켰을 때 글자를 다시 관찰할 수 있는가? (좌표값도 함께 기재)6. 현미경의 배율
1) 접안렌즈 배율 * 대물렌즈 배율
(예 : 접안렌즈배율=10*, 대물렌즈배율=40*, 이 때 현미경의 배율은 10*40=400배)
상의 크기
밝기
시야
작동거리
상의 수
반사경
저배율
작다
밝다
넓다
길다
많다
평면렌즈
고배율
크다
어둡다
좁다
짧다
적다
오목렌즈
2) 저배율에서 고배율로 갈수록
① 상이 커진다.
② 보이는 상의 개수가 적어진다.
③ 시야가 어두워진다.
④ 오목거울을 반사경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⑤ 작동거리가 짧아진다.
⑥ 대물렌즈는 길어지고 접안렌즈는 짧아진다.7. 현미경으로 세포연구하기 ① 광학 현미경: 얀센(Janssen)이 처음 발명 ② 전자 현미경: 루스카(Ruska)에 의해 발명
※ 광학 현미경과 전자 현미경의 비교
광학 현미경
전자 현미경
원 리
가시광선 이용
전자선 이용
해상능력
0.2㎛
0.2㎚
관 찰
가능
사진으로만 관찰 가능
<세포의 크기 측정>
1) 준비물
접안 마이크로미터, 대물 마이크로미터, 현미경
2) 실험방법 (1) 배율을 100배로 하고 접안 마이크로미터를 접안렌즈에 끼운 후, 대물 마이크로미터를 재물대 위에 놓는다.
(2) 현미경의 초점을 맞추고, 접안 마이크로미터와 대물 마이크로미터의 눈금이 겹치게 한다.
(3) 두 눈금이 겹치는 부분 두 곳을 찾아 그 사이의 눈의 수를 각각 센 후, 다음의 계산식을 써서 접안 마이크로미터 한 눈의 길이(χ)를 확인한다.
대물 마이크로미터의 한 눈은 1mm를 100등분한 것이므로 한 눈의 실제 길이는 10㎛이다. 따라서, χ는 다음과 같다.
χ=겹친 대물 마이크로미터의 눈 수/겹친 접안 마이크로미터의 눈 수×10㎛
3) 고찰
(1) 그림에서 접안 마이크로미터 한 눈의 길이는 몇 ㎛인가? 해석: (4㎛. 겹쳐진 대물 마이크로미터의 눈 수는 2개, 겹쳐진 접안 마이크로미터의 눈 수는 5개이다. 따라서, (6/5)×10㎛=12㎛)
(2) 대물렌즈의 배율을 2배로 높이면 접안 마이크로미터의 한 눈의 길이는 대략 몇 ㎛가 될까? 해석: (2㎛. 배율이 2배로 늘어나면 시야의 길이는 반으로 줄어든다.)참고자료<광학 현미경 원리와 사용법> 안태인 아카데미서적 1996.07.01
디지털타임스 http://www.dt.co.kr
추천자료
고온초전도체 제조 파워포인트 발표자료 (press/SEM)
하이젠베르크의 양자역학
세포관찰레포트 완성판
식물세포의 관찰
혈구관찰 및 혈액형 검사
혈구 관찰과 혈액형 분석
재료과학[분석기]
혈구관찰 및 혈액형 분석 (예비+결과)
양파구강상피세포관찰250
일반생물학 - 양파 표피세포 관찰 - 실험목적 : 양파 표피세포와 인간 구강상피세포 구조 관...
[생물학실험] 혈구수 계산[Blood cell counts]
[공업분석화학] Scanning Tunneling Microscopy(STM)
[공업분석화학] Scanning Tunneling Microscopy(STM)기기
식물세포 관찰 결과 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