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학실험] 혈구수 계산[Blood cell counts]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Title
2. Aims
3. Introduction
4. Materials & Methods
5. Results

본문내용

같다. 측정자로 인한 오차가 아니라면 혈액을 채취한 동물자체에서 적혈구 증가증이 있을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적혈구 증가증은 선천적인 경우는 거의 없으므로 후천적인 영향을 받아 적혈구 수가 증가되었을 경우를 고려해 보아야한다. 또한 혈액을 채취한 동물이 선천성심장판막증이나 만성호흡곤란 일 때, 혹은 고지대에 장기간 살고 있었던 경우 적혈구 수가 높게 측정된다. 또한 right-to-left cardiac shunts, chronic alveolar disease(만성 폐렴), erythropoietin-producing renal tumors(신장 종양)가 있는 동물의 혈액을 채취했을 경우 적혈구의 수가 높게 측정 될 수 있다.
실험B(WBC count)결과 rat는 4400개, canine은 8350개, bovine은 3400개로 측정되었다.
rat
canine
bovine
실험 측정 백혈구 수
4,400개
8,350개
3,400개
정상 백혈구 수
14,000개
11,500개(6,000-17,000개)
8,000개(4,000-12,000개)
백혈구의 수 측정값은 각 구획에서 15개 이상 차이 날 경우 다시 실시해야 하는데 실험 데이터를 보면 15개 이상 차이나는 경우가 없어 비교적 정확히 실험이 진행된 것으로 생각했었다.
하지만 정상 백혈구 수치가 비교해 보았을 때 너무 값의 차이가 많이 발생했다. rat, canine, bovine 백혈구 수 측정값 모두 정상 백혈구 수보다 적게 측정된 것을 볼 수 있었다.
rat, canine와 bovine의 백혈구 수가 적게 측정된 이유로는 적혈구 수 측정과 마찬가지로 가장 먼저 측정자로 인한 오차를 생각할 수 있다. hemocytometer 기구 자체는 정확히 구획이 구분된 기구이지만, 실제로 측정하는 것이 사람의 육안 판정이다 보니 사람마다 다른 판정을 할 수도 있고, 모든 세포를 완벽하게 세지 못하기 때문이다. 즉, 오차의 가장 큰 원인으로는 주관적 오류를 확률이 높다.
또한 micropipette을 사용한 것이 아니라, diluting pipette과 고무관을 이용해 혈액 sample과 희석액을 섞어 희석할 때 11 눈금에 맞추기 위해 희석액을 계속 넣었다 뺐다 하다 보니 0.5눈금에 맞췄던 혈액이 Turk 희석액에 많이 섞여 붉은색으로 변한 것으로 보아 혈액이 희석액에 섞인 것을 볼 수 있었다. 즉, 혈액 희석이 부적절하게 되었다는 것인데 이 부분도 오차로 작용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chamber에 희석된 혈액 sample를 만드는 쪽과 현미경 관찰하는 쪽으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했는데 chamber를 건네주다가 cover glass가 움직였을 경우나 chamber가 기울여졌을 수도 있어 이 부분 역시 데이터에 오차를 발생 시켰을 것 같다. 특히 rat의 백혈구 수를 측정할 때에는 cover glass의 위치가 부적절한 상태로 측정한 것을 뒤늦게 알았는데 cover glass의 부적절한 위치 역시 오차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또한 적혈구 수 측정과 달리 백혈구 수를 측정할 때에는 백혈구의 수가 적혈구보다 훨씬 적기때문에 산성용액인 Turk 희석액으로 적혈구를 용혈 시키고나서 Turk 희석액 속에 염색약이 백혈구를 염색시키기 위해 시간이 필요한데 실험을 급하게 실시하다보니 염색이 충분히 되지 않은 상태로 백혈구 수를 측정한 것 같다.
측정자의 오차 외 다른 요인으로 백혈구 수가 감소했을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백혈구 수는 동물의 종류, 품종, 연령, 환경, 하루 중의 시각, 운동, 채식, 개체 및 채혈부위 등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또한 병적으로 백혈구 감소증(leukopenia)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으며, 질병에 따라 다른 백혈구는 변화가 없으나 어느 특정 백혈구만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경우가 많다.
개의 전염성 간장염(infectious canine hepatitis), ICH, canine parvo, FeLV 등 바이러스성 질환은 백혈구의 수를 감소(특히 호중구를 감소시킴)시키며 이 밖에도 anaphylaxis(과민증), septicemia(패혈증), toxemia(독혈증),toxic drugs and chemicals(독성물질) 등에 의해서도 백혈구의 수가 감소된다. neoplasia of bone marrow(골수 종양)에 의해 lymphoproliferative disorders(림프증식성질환)에 발병 시 lymphosarcoma(림프육종)에 의해 백혈구 수가 감소되며 myeloproliferative disorder(골수증식성질환)시 myelofibrosis(골수섬유증)에 의해 백혈구 수가 감소될 수 있다.
overwhelming bacterial infection에 의해서도 백혈구의 수는 감소되는데 bacterial toxemia(세균성 독소혈증)시 endotoxin(내독소)에 의해 neutrophil(호중구)와 lymphocyte(림프구)가 감소하며 bacterial septicemia(세균성 패혈증), salmonellosis(살모넬라증)에 의해 neutrophil(호중구)와 lymphocyte(림프구)가 감소한다.
스트레스에 의하여 시상하부-뇌하수체전엽-부신피질반응이 일어나거나, 외부로부터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을 주었을 때, 산호성 백혈구 수가 감소하며, 에피네프린 역시 ACTH의 방출을 촉진하여 호산성 백혈구 감소증을 일으킨다. ACTH의 영향으로 분비되는 부신피질호르몬인 당질코르티코이드(glucocorticoids) 림프조직내의 림프구를 용해하여 혈액 중 항체농도를 증가시키는데 스트레스를 받거나 ACTH 또는 코티솔의 공급하면 이러한 작용이 계속되어 림프구 감소증이 일어난다.
즉, 혈액을 채취한 동물이 독성물질이나 독성약품을 먹었거나, 스트레스를 과도하게 받았을 경우, 개의 전염성 간장염(infectious canine hepatitis), ICH, canine parvo 등 바이러스성 질병에 걸렸거나 septicemia(세균성 패혈증), salmonellosis(살모넬라증)등의 질병에 걸린 동물의 혈액을 채취한 경우 백혈구 수가 감소했을 수 있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8.08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01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