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혈액 검사용기의 종류와 용도
Ⅲ. 혈액검사의 종류와 임상적 의의
Ⅱ. 혈액 검사용기의 종류와 용도
Ⅲ. 혈액검사의 종류와 임상적 의의
본문내용
Group (NDDG) 은 당뇨병 진단을 위한 기준을 규정했다. 기준은 다음과 같다.
명백한 임상적 증상들(다음다갈증, 다뇨증, 케톤뇨증, 그리고 체중감소)에 덧붙여 명료한 공북 시 혈당 상승 혹은 공복 시 아닐 때 200 mg/dL이상의 혈당
1번 이상 공복시 혈당이 140mg/dL이상 상승
정상의 공복시 혈당, 그러나 당부하 검사의 peak와 식후 두시간 혈당검사의 수치가 1회 이상 200 mg/dL이상 상승
4) Glycosylated hemoglobin (HbA1C)
정 상
Diabetes with good control : ~7.5 %
Diabetes With fair control : 7.6 ~ 8.9 %
Diabetes With poor control : 9% ~
당결합 헤모글로빈 검사(Glycosylated hemoglobin test ; GHb test)는 정확하고 장기적으로 환자의 평균 혈당농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당뇨치료를 사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GHb는 혈중의 hemoglobin A1c(Hb A1c)의 양을 측정한다.성인의 경우 적혈구 헤모글로빈의 약 98%가 Hb A이다. Hb A의 약 7%가 당결합이라고 불리는 과정에 의해 당과 강하게 결합하여 HbA1을 이룬다. HbA1은 사실 3개의 성분 HbA1a, A1b, A1c 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중 HbA1crk 당과 가장 강하게 결합한다. HbA1c가 HbA1의 주요 구성 성분이며 HbA1c를 측정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다.
적혈구가 혈액을 따라 돌면 혈류네ㅐ에서 HbA1과 당이 결합하여 당 결합 헤모글로빈이 된다. 당 결합 헤모글로빈의 양은 적혈구의 생존기간인 120일 동안 혈류내에 이용가능한 당의 양에 달려 있다. 그래서 당 결합 헤모글로빈의 양 측정은 검사 전 100에서 120일 전의 평균 혈당농도를 반영한다. 더 많은 당에 적혈구가 노출되었다면 당 결합에모글로빈의 퍼센트가 상승된다. 이 검사의 가장 중요한 장점은 이것이 단기간의 변화(음식물 섭취,운동, 스트레스, 혈당 강하제, 환자의 협조)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어떤 시간에도 검체 채취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8. RENAL FUNCTION STUDIES
신장기능사정 시 가장 흔히 사용되는 검사에 혈청 크레아티닌, BUN 및 크레아티닌 청소율 검사가 있는데, 이들 검사들을 신장기능검사라고 칭한다.
1) Serum creatinine
정 상
0.6~1.3 mg/dL
크레아티닌은 골격근 수축에 사용되는 creatine phosphate 의 분해 산물이다. 크레아티닌은 BUN과 같이 신장으로 배설된다. 그러므로 이 두가지는 신장의 배설기능과 정 비례한다고 볼 수 있다. 곧 신장기능이 정상이라면, 크레아티닌 수치는 일정하며, 정상이다. 오직 사구체 신염, 신우신염, 급성세뇨관 괴사 및 요로폐색 등 신장질환 시에만 크레아티닌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할 것이다. 혈청 크레아티닌 수준은 BUN수준과 거의 유사한 의미를 지니고 있지만, BUN보다 다소 늦게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크레아티닌 수준의 상승은 만성적 질병과정을 의미한다.
2) Blood urea nitrogen (BUN)
정 상
8~25 mg/dL
혈중 요소질소는 신장기능과 사구체 여과율을 간접적으로 혹은 대략 측정해 준다. 이 검사는 또한 간기능도 측정해 준다. BUN 검사는 혈액내의 요소질소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요소는 단백질 분해과정과 소화의 대사산물로서 간에서 형성되고 모두가 신장을 통해 배설된다. 장내에서 단백질은 아미노상으로 소회되고 흡수된다. 간에서 이들 아미노산은 분해되고 유리 암모니아가 대사산물로 형성된다. 이런 암모니아는 화합하여 요소가 형성되고 요소는 혈액에 섞여서 신장으로 운반되고 배설된다. 그러므로 혈액 내 요소의 농도는 직접적으로 간의 대사기능 및 신장의 배설기능과 관련이 있으며 간장과 신장기능의 지표가 된다. BUN수치가 상승된 환자를 질소혈증이라고 부른다.
비경구적 질소혈증이란 요소가 신장으로 전달되기 전에 요소질소에 영향을 주는 병리적 상태로 인해 BUN이 상승한 경우를 말한다. 예를 들면, 쇼크, 탈수, 울혈성 심부전증, 혹은 과도한 단백질 이화작용이 이에 해당한다. 신장이후 단계의 질소혈증은 신장을 통과한 다음 요소질소에 영향을 주는 병리적 상태를 말한다. 이와 같은 질환에는 요관폐색 혹은 요도폐색이 있다.
9. C-reactive Protein (CRP)
정 상
< 0.8 mg/dL
CRP 는 급성기의 박테리아성 감염과 염증성 질환(예 급성 류머티스열,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진단에 사용되는 비특이저인 방법이다. CRP는 조직의 괴사시에도 상승한다. 그러나 바이러스 감염에서는 일관성 있는 상승을 보이지는 않는다. CRP 양성이라는 것은 급성감염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원인은 아니다. ESR보다 보다 민감하고 빠르게 나타나는 반응지표로, 급성염증변화시 ESR보다 더 초기에 강하게 나타난다. 또한 회복기에는 ESR보다 먼저 사라진다.
CRP는 수술 후 상처감염을 알 수 있는 지표로도 사용될 수 있는데, CRP는 수술 후 4~6시간에 상승하기 시작하여 수술 후 3일째부터 감소하기 시작한다. 이때 CRP가 감소되지 않으면 합병증(감염 이나 폐경색)이 있음을 생각할 수 있다.
10.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
정 상
< 30 mm/hr
적혈구 침강속도검사는 염증, 종양, 감염괴사 등을 알아내기 위한 비특이성 검사이다. 이 검사는 적혈구를 항응고 처리한 혈액에서 1시간 동안 참강한 거리를 mm로 측정한 것이다. 앞에서 제시한 문제가 있으면 혈장에 단백질 함량이 증가하므로 적혈구는 서로 겹쳐서 쌓이고 결과적으로 무게가 무거워진 적혈구가 더 빨리 침강하게 된다. ESR은 흔히 질병과정을 알려 주는 신뢰감있는 지표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ESR이 증가되면 질병이 나빠지고, ESR이 저하되면 질병이 좋아지는 때이다. 또 임상중독증, 매독, 신장염, 폐렴, 류머티스성 관절염의 경우에도 ESR이 상승한다. ESR이 저하되는 질병은 울혈성 심부전, 저섬유소혈증, 진성 다혈구혈증 등이다.
명백한 임상적 증상들(다음다갈증, 다뇨증, 케톤뇨증, 그리고 체중감소)에 덧붙여 명료한 공북 시 혈당 상승 혹은 공복 시 아닐 때 200 mg/dL이상의 혈당
1번 이상 공복시 혈당이 140mg/dL이상 상승
정상의 공복시 혈당, 그러나 당부하 검사의 peak와 식후 두시간 혈당검사의 수치가 1회 이상 200 mg/dL이상 상승
4) Glycosylated hemoglobin (HbA1C)
정 상
Diabetes with good control : ~7.5 %
Diabetes With fair control : 7.6 ~ 8.9 %
Diabetes With poor control : 9% ~
당결합 헤모글로빈 검사(Glycosylated hemoglobin test ; GHb test)는 정확하고 장기적으로 환자의 평균 혈당농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당뇨치료를 사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GHb는 혈중의 hemoglobin A1c(Hb A1c)의 양을 측정한다.성인의 경우 적혈구 헤모글로빈의 약 98%가 Hb A이다. Hb A의 약 7%가 당결합이라고 불리는 과정에 의해 당과 강하게 결합하여 HbA1을 이룬다. HbA1은 사실 3개의 성분 HbA1a, A1b, A1c 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중 HbA1crk 당과 가장 강하게 결합한다. HbA1c가 HbA1의 주요 구성 성분이며 HbA1c를 측정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다.
적혈구가 혈액을 따라 돌면 혈류네ㅐ에서 HbA1과 당이 결합하여 당 결합 헤모글로빈이 된다. 당 결합 헤모글로빈의 양은 적혈구의 생존기간인 120일 동안 혈류내에 이용가능한 당의 양에 달려 있다. 그래서 당 결합 헤모글로빈의 양 측정은 검사 전 100에서 120일 전의 평균 혈당농도를 반영한다. 더 많은 당에 적혈구가 노출되었다면 당 결합에모글로빈의 퍼센트가 상승된다. 이 검사의 가장 중요한 장점은 이것이 단기간의 변화(음식물 섭취,운동, 스트레스, 혈당 강하제, 환자의 협조)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어떤 시간에도 검체 채취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8. RENAL FUNCTION STUDIES
신장기능사정 시 가장 흔히 사용되는 검사에 혈청 크레아티닌, BUN 및 크레아티닌 청소율 검사가 있는데, 이들 검사들을 신장기능검사라고 칭한다.
1) Serum creatinine
정 상
0.6~1.3 mg/dL
크레아티닌은 골격근 수축에 사용되는 creatine phosphate 의 분해 산물이다. 크레아티닌은 BUN과 같이 신장으로 배설된다. 그러므로 이 두가지는 신장의 배설기능과 정 비례한다고 볼 수 있다. 곧 신장기능이 정상이라면, 크레아티닌 수치는 일정하며, 정상이다. 오직 사구체 신염, 신우신염, 급성세뇨관 괴사 및 요로폐색 등 신장질환 시에만 크레아티닌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할 것이다. 혈청 크레아티닌 수준은 BUN수준과 거의 유사한 의미를 지니고 있지만, BUN보다 다소 늦게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크레아티닌 수준의 상승은 만성적 질병과정을 의미한다.
2) Blood urea nitrogen (BUN)
정 상
8~25 mg/dL
혈중 요소질소는 신장기능과 사구체 여과율을 간접적으로 혹은 대략 측정해 준다. 이 검사는 또한 간기능도 측정해 준다. BUN 검사는 혈액내의 요소질소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요소는 단백질 분해과정과 소화의 대사산물로서 간에서 형성되고 모두가 신장을 통해 배설된다. 장내에서 단백질은 아미노상으로 소회되고 흡수된다. 간에서 이들 아미노산은 분해되고 유리 암모니아가 대사산물로 형성된다. 이런 암모니아는 화합하여 요소가 형성되고 요소는 혈액에 섞여서 신장으로 운반되고 배설된다. 그러므로 혈액 내 요소의 농도는 직접적으로 간의 대사기능 및 신장의 배설기능과 관련이 있으며 간장과 신장기능의 지표가 된다. BUN수치가 상승된 환자를 질소혈증이라고 부른다.
비경구적 질소혈증이란 요소가 신장으로 전달되기 전에 요소질소에 영향을 주는 병리적 상태로 인해 BUN이 상승한 경우를 말한다. 예를 들면, 쇼크, 탈수, 울혈성 심부전증, 혹은 과도한 단백질 이화작용이 이에 해당한다. 신장이후 단계의 질소혈증은 신장을 통과한 다음 요소질소에 영향을 주는 병리적 상태를 말한다. 이와 같은 질환에는 요관폐색 혹은 요도폐색이 있다.
9. C-reactive Protein (CRP)
정 상
< 0.8 mg/dL
CRP 는 급성기의 박테리아성 감염과 염증성 질환(예 급성 류머티스열,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진단에 사용되는 비특이저인 방법이다. CRP는 조직의 괴사시에도 상승한다. 그러나 바이러스 감염에서는 일관성 있는 상승을 보이지는 않는다. CRP 양성이라는 것은 급성감염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원인은 아니다. ESR보다 보다 민감하고 빠르게 나타나는 반응지표로, 급성염증변화시 ESR보다 더 초기에 강하게 나타난다. 또한 회복기에는 ESR보다 먼저 사라진다.
CRP는 수술 후 상처감염을 알 수 있는 지표로도 사용될 수 있는데, CRP는 수술 후 4~6시간에 상승하기 시작하여 수술 후 3일째부터 감소하기 시작한다. 이때 CRP가 감소되지 않으면 합병증(감염 이나 폐경색)이 있음을 생각할 수 있다.
10.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
정 상
< 30 mm/hr
적혈구 침강속도검사는 염증, 종양, 감염괴사 등을 알아내기 위한 비특이성 검사이다. 이 검사는 적혈구를 항응고 처리한 혈액에서 1시간 동안 참강한 거리를 mm로 측정한 것이다. 앞에서 제시한 문제가 있으면 혈장에 단백질 함량이 증가하므로 적혈구는 서로 겹쳐서 쌓이고 결과적으로 무게가 무거워진 적혈구가 더 빨리 침강하게 된다. ESR은 흔히 질병과정을 알려 주는 신뢰감있는 지표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ESR이 증가되면 질병이 나빠지고, ESR이 저하되면 질병이 좋아지는 때이다. 또 임상중독증, 매독, 신장염, 폐렴, 류머티스성 관절염의 경우에도 ESR이 상승한다. ESR이 저하되는 질병은 울혈성 심부전, 저섬유소혈증, 진성 다혈구혈증 등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성인임상검사자료
위장관계 검사
수혈 전 검사 (PRETRANSFUSION TESTS)
급성백혈병의 분류와 검사방법
진단검사
[수혈][수혈 과정][수혈 부작용][수혈 주의사항][성인 수혈시 간호][아동 수혈시 간호][수혈 ...
혈액형[blood groups 血液型]Blood Type Research
[검사][골수검사][손목검사][기관지검사][심장질환검사][요추검사][소변검사][정액검사][골수...
[음파검사][초음파검사][경두개초음파검사][초음파탐상검사][사각탐상검사][음파][초음파][검...
[질병, 질환, 혈액질병]질병(질환)과 혈액질병(혈액질환), 혈압질병(혈압질환), 질병(질환)과...
기초간호과학 (2018)-종양이 인체에 미치는 국소 영향과 전신 영향 종양의 병기 TNM 분류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