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보건소 재활간호사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수 있도록 도와주는 모든 과정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2) 재활간호의 필요성
장애인구 : 재가 장애인(1백 2만 8천여명)과 시설장애인(2만 4천 명)을 합하여 총 1백 5만 3천여명으로 추정되었다(전 인구의 2.35% - 이 중에 재가 장애인이 98%).
신체적 불구자의 급증, 노인 인구의 증가, 뇌성마비선천적 기형아들이 생명을 구할 수 있게 되면서 이들을 지체부자유에서 정상적인 생활로 끌어들임에 더욱 필요하게 되었다.
장애인들이 가지고 있는 재활욕구의 70%는 장애의 조기발견, 재활에 대한 인식고취, 욕창관리, 대소변 관리, 가옥구조 변경, 간단한 재활치료 등으로 일차보건의료 수준에 해결될 수 있는 문제들이다.
① 지역사회에 방치되는 장애인의 증가
② 장애인 중 저소득층이 많다
③ 높은 의료재활에의 요구
3) 재활간호의 목적
: 궁극적인 목표는 장애인의 사회통합
① 잠재적 기능을 극대화하여 자급자족함의 성취감을 갖게 한다.
② 수용할 만한 삶의 질을 성취하게 한다.
③ 변화된 삶에 적응할 수 있게 한다.
④ 최적의 안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도운다.
⑤ 가정과 지역사회에 복귀할 수 있게 한다.
⑥ 환자와 가족을 교육하고 상담하여 상황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나간다.
4) 재활환자의 간호
(1) 재활관련 간호진단
① 기동성 장애 ② 자기관리 결여
③ 배변장애 ④ 피부손상
⑤ 배뇨장애 ⑥ 신체적 손상의 잠재성
⑦ 지식부족 ⑧ 의사소통 장애
⑨ 사고과정 장애 ⑩ 활동 내구성 결여
⑪ 비효과적 개인 대처 ⑫ 비효과적 가족 대처
(2) 간호진단에 따른 목표 설정
(3) 재활간호 활동내용
3. 지역사회 재활사업 수행
1) 보건소 지역사회 재활사업
① 계획수립
사업내용 및 예산, 재활사업팀 구성
② 지역현황 파악
장애인 현황 파악, 장애인 조기발견을 위한 전달체계, 대상자 등록
③ 관리사업
장애예방을 위한 보건활동, 의료재활서비스 제공(장애인 건강검진, 장애인 재활치료, 재활을 위한 보건교육, 장애인 필수 보장구 활용을 위한 활동, 재활보조기구 활용지도, 장애인가족 재활상담, 재활정보 제공), 지역내 유관 기관과 의뢰 및 연계활동
④ 교육
보건소 직원의 재활전문 교육 및 재활사업팀의 간담회 운영, 자원봉사자 모집교육 및 연계, 주민대상의 재활교육 및 홍보(장애발생 위험이 높은 집단, 학교나 산업장 등 장애인의 재활을 이해하고 도울 수 있는 집단)
⑤ 평가
재활대상자 및 지역주민에 대한 설문조사, 사업목표량과 비교한 사업실적, 정기 사업보고를 통한 관련기관의 평가
재활간호사업의 효과
① 장애인의 재활의욕 고취
② 신체상태의 호전
③ 장애인에 대한 가족 및 주민들의 인식 변화
④ 보건간호사의 자질 및 자신감 고취
⑤ 자신의 건강문제 해결능력 향상
보건소 지역사회 재활사업 대상자
① 장애등록을 한 장애인
② 장애등록은 하지 않았으나 장애등급 기준에 해당하는 장애인
③ 장애발생 고 위험군(임산부, 학생-안전사고, 만성성인병 질환자, 노인- 뇌졸중 및 사고, 영유아, 산업장 근로자-안전활동 감시 대상자, 지역주민-교통사고 다발 지역주민 등)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11.08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02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