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1.지역사회 간호사정 ························································································································ 3
1) 자료수집과 자료분석
2) 건강문제 도출 ························································································································ 6
2.지역사회 간호진단
1) 간호문제 도출
2) 간호진단 수립 ······················································································································· 7
3) 진단의 우선순위 결정
3.지역사회 간호계획
1) 목표 설정
2) 수행 계획 ························································································································· 8
3) 평가 계획 ························································································································ 10
4.지역사회 간호수행 ····················································································································· 11
5.지역사회 간호평가 ····················································································································· 11
6.참고 문헌 ····················································································································· 16
1.지역사회 간호사정 ························································································································ 3
1) 자료수집과 자료분석
2) 건강문제 도출 ························································································································ 6
2.지역사회 간호진단
1) 간호문제 도출
2) 간호진단 수립 ······················································································································· 7
3) 진단의 우선순위 결정
3.지역사회 간호계획
1) 목표 설정
2) 수행 계획 ························································································································· 8
3) 평가 계획 ························································································································ 10
4.지역사회 간호수행 ····················································································································· 11
5.지역사회 간호평가 ····················································································································· 11
6.참고 문헌 ····················································································································· 16
본문내용
증이 있는지 가슴통증, 사지의 근육 저림과 당김 증상, 체중증가 등을 사정하였다.
⑤ 방문 또는 보건소 내원 시 만성질환에 대해 교육하였다.
⑥ 일일식단 종이를 드리고 취침 전 하루 조·중·석식 때 드신 식이를 배우자가 간단히 기록하도록 하여
식습관 상태를 확인하고 영양사에게 이 결과를 보내주어 연계시켜주었다.
⑦ 대상자와 배우자에게 하루 소금량 5g을 초과하지 않도록 교육하고, 전용티스푼을 제공해드렸다.
⑧ 만성질환 시 피해야 하는 식이를 대상자 및 배우자에게 교육하고, 사진을 냉장고에 부착하였다.
⑨ 대상자에게 체중 및 건강관리를 위해 집에서도 할 수 있는 스트레칭을 교육하였다.
⑩ 건강생활 실천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 고무밴드 등을 제공하였다.
⑪ 체계적인 보건교육 프로그램으로 고혈압 및 당뇨에 대해 보건교육을 실시하였다.
⑫ 보건소에 방문 시 취약계층을 위한 건강생활실천 프로그램(함께하는 건강박사)에 연계 시켜주었다.
⑬ 대상자에게 질병관리에 대해 지지하기 위하여 1주일에 2번 이상 전화를 드려 질병관리 실천여부와 건강
상태를 확인하였다.
⑭ 대상자에게 지지체계를 강화시키기 위해 자조집단과 연결시켜주었다.
Ⅴ. 지역사회 간호평가
① 가정 방문 혹은 보건소 방문 시 혈압, 혈당, 체중이 잘 체크되었으며, 방문 1달 이후 체중이 2kg 감량한 것으로 보아 대상자의 건강관리가 잘 이루어졌다.
② 교육 후 5일 째 되는 날에 만성질환으로 오게 되는 증상 질문(3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 잘됨, 1~2가지 말할 수 있다: 보통, 하나도 말할 수 없다 : 부족)에 대하여 3가지 이상을 말했으므로 구체적 목표를 달성하였다.
③ 교육 후 3일 째 되는 날에 운동법 수행능력에 대한 질문(3가지 이상 수행 : 잘됨, 1~2가지 수행 : 보통, 수행하지 않음 : 부족)에 대하여 3가지 이상을 수행하였으므로 구체적 목표를 달성하였다.
④ 교육 후 5일째 되는 날에 만성질환과 관련된 식이 구별(3가지 이상 말함 : 잘됨, 1~2가지 말함 : 보통, 말하지 못함 : 부족)에 대하여 3가지 이상을 말했으므로 구체적 목표를 달성하였다.
⑤ “함께하는 건강박사”교육성과에 대한 설문지 결과 80% 이상이 잘됨으로 결과가 나왔으므로
취약계층 위한 건강프로그램이 잘 이루어졌다.
⑥ 자조모임(1달에 3번 이상 모임 : 잘됨, 1~2번 모임 : 보통, 모이지 않음 : 부족)은 한달에 1번이라도 같이 모여서 서로를 지지해주었으므로 보통으로 수행되었다.
⇒ 가정방문 뿐만 아니라 보건소 내원 시와 일상생활까지 간호를 연장시킴으로써 대상자에게 접근하였으며, 주변의 다학제간 접근을 통하여 자가건강관리에 대해 3개월이 되지도 않아 스스로 인지하며 잘 이루어지면서 효과적으로 건강관리(운동, 식이, 질병에 대해 자조집단 내 동료들에게 설명해줌)를 행하고 있으므로 일반적 목표를 달성하였다.
※ 자료첨부 ※
① 일일 식단 기록표
1주차
월 일
월 일
월 일
월 일
월 일
월 일
월 일
아침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점심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저녁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총 칼로리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2주차
월 일
월 일
월 일
월 일
월 일
월 일
월 일
아침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점심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저녁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총 칼로리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3주차
월 일
월 일
월 일
월 일
월 일
월 일
월 일
아침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점심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저녁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총 칼로리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4주차
월 일
월 일
월 일
월 일
월 일
월 일
월 일
아침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점심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저녁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총 칼로리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② 식품별 칼로리
음식별 칼로리
③ 만성질환과 관련된 옳은 식이와 옳지 않은 식이
좋아요^^
안되요ㅠ.ㅠ
④ 운동에 관한 자료
Ⅵ. 참고문헌
- 김금자 외 공저(2006). 개정판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 박명화 외 (2009). 노인간호학. 정담미디어
- 제 6기 지역보건의료계획 기장군 보건소
- 조순자, 조유향 외.(2012).제6판 지역사회 간호학.현문사
- 최영희 외 공저(1999).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현문사
- 기장군청 http:// www.gijang.go.kr
- 기장군 보건소 http://health.gijang.go.kr
- 홍영혜 외(2008).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수문사
- http://fksel33.blog.me/110120250756 (음식별 칼로리 출처)
- http://www.365homecare.com- 삼성의료원의 사이버 병원 (연령별 일일 섭취량 출처)
- http://www.naver.com/ 네이버 - 지도
⑤ 방문 또는 보건소 내원 시 만성질환에 대해 교육하였다.
⑥ 일일식단 종이를 드리고 취침 전 하루 조·중·석식 때 드신 식이를 배우자가 간단히 기록하도록 하여
식습관 상태를 확인하고 영양사에게 이 결과를 보내주어 연계시켜주었다.
⑦ 대상자와 배우자에게 하루 소금량 5g을 초과하지 않도록 교육하고, 전용티스푼을 제공해드렸다.
⑧ 만성질환 시 피해야 하는 식이를 대상자 및 배우자에게 교육하고, 사진을 냉장고에 부착하였다.
⑨ 대상자에게 체중 및 건강관리를 위해 집에서도 할 수 있는 스트레칭을 교육하였다.
⑩ 건강생활 실천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 고무밴드 등을 제공하였다.
⑪ 체계적인 보건교육 프로그램으로 고혈압 및 당뇨에 대해 보건교육을 실시하였다.
⑫ 보건소에 방문 시 취약계층을 위한 건강생활실천 프로그램(함께하는 건강박사)에 연계 시켜주었다.
⑬ 대상자에게 질병관리에 대해 지지하기 위하여 1주일에 2번 이상 전화를 드려 질병관리 실천여부와 건강
상태를 확인하였다.
⑭ 대상자에게 지지체계를 강화시키기 위해 자조집단과 연결시켜주었다.
Ⅴ. 지역사회 간호평가
① 가정 방문 혹은 보건소 방문 시 혈압, 혈당, 체중이 잘 체크되었으며, 방문 1달 이후 체중이 2kg 감량한 것으로 보아 대상자의 건강관리가 잘 이루어졌다.
② 교육 후 5일 째 되는 날에 만성질환으로 오게 되는 증상 질문(3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 잘됨, 1~2가지 말할 수 있다: 보통, 하나도 말할 수 없다 : 부족)에 대하여 3가지 이상을 말했으므로 구체적 목표를 달성하였다.
③ 교육 후 3일 째 되는 날에 운동법 수행능력에 대한 질문(3가지 이상 수행 : 잘됨, 1~2가지 수행 : 보통, 수행하지 않음 : 부족)에 대하여 3가지 이상을 수행하였으므로 구체적 목표를 달성하였다.
④ 교육 후 5일째 되는 날에 만성질환과 관련된 식이 구별(3가지 이상 말함 : 잘됨, 1~2가지 말함 : 보통, 말하지 못함 : 부족)에 대하여 3가지 이상을 말했으므로 구체적 목표를 달성하였다.
⑤ “함께하는 건강박사”교육성과에 대한 설문지 결과 80% 이상이 잘됨으로 결과가 나왔으므로
취약계층 위한 건강프로그램이 잘 이루어졌다.
⑥ 자조모임(1달에 3번 이상 모임 : 잘됨, 1~2번 모임 : 보통, 모이지 않음 : 부족)은 한달에 1번이라도 같이 모여서 서로를 지지해주었으므로 보통으로 수행되었다.
⇒ 가정방문 뿐만 아니라 보건소 내원 시와 일상생활까지 간호를 연장시킴으로써 대상자에게 접근하였으며, 주변의 다학제간 접근을 통하여 자가건강관리에 대해 3개월이 되지도 않아 스스로 인지하며 잘 이루어지면서 효과적으로 건강관리(운동, 식이, 질병에 대해 자조집단 내 동료들에게 설명해줌)를 행하고 있으므로 일반적 목표를 달성하였다.
※ 자료첨부 ※
① 일일 식단 기록표
1주차
월 일
월 일
월 일
월 일
월 일
월 일
월 일
아침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점심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저녁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총 칼로리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2주차
월 일
월 일
월 일
월 일
월 일
월 일
월 일
아침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점심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저녁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총 칼로리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3주차
월 일
월 일
월 일
월 일
월 일
월 일
월 일
아침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점심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저녁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총 칼로리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4주차
월 일
월 일
월 일
월 일
월 일
월 일
월 일
아침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점심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저녁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총 칼로리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 kcal)
② 식품별 칼로리
음식별 칼로리
③ 만성질환과 관련된 옳은 식이와 옳지 않은 식이
좋아요^^
안되요ㅠ.ㅠ
④ 운동에 관한 자료
Ⅵ. 참고문헌
- 김금자 외 공저(2006). 개정판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 박명화 외 (2009). 노인간호학. 정담미디어
- 제 6기 지역보건의료계획 기장군 보건소
- 조순자, 조유향 외.(2012).제6판 지역사회 간호학.현문사
- 최영희 외 공저(1999).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현문사
- 기장군청 http:// www.gijang.go.kr
- 기장군 보건소 http://health.gijang.go.kr
- 홍영혜 외(2008).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수문사
- http://fksel33.blog.me/110120250756 (음식별 칼로리 출처)
- http://www.365homecare.com- 삼성의료원의 사이버 병원 (연령별 일일 섭취량 출처)
- http://www.naver.com/ 네이버 - 지도
추천자료
[간호학] 자연유산(Spontaneus abortion)과 간호
[간호학] 가정 간호
[간호학] 가족의 상호작용과 가족간호의 개념
[간호학] 간호사와 관련 직원간의 관계 윤리
[간호학] 결석 외상 혈관성 질환 대상자의 간호
[간호학] 만성 췌장염의 치료와 간호
[간호학] 식도장애와 간호 (식도열공탈장 이완불능증)
[간호학] 수술 전 간호 -청결 배설 영양 수분 휴식 수면 신체적 준비-
[간호학] 수술 전 간호 (신체적 관리)
[간호학] 치아장애와 간호 (치태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치아응급)
[간호학] 췌장암의 치료와 간호
[간호학] 궤양성대장염과 환자간호
[간호학] 외상성 뇌손상 - 치료와 간호
[간호학] 고빌리루빈 혈증과 간호 (용혈성 질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