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치료
1) 수술
2) 방사선요법
3) 항암화학요법
4) 재발 및 전이
2.간호
Ⅲ. 결론
Ⅳ. 참고 문헌
Ⅱ. 본론
1.치료
1) 수술
2) 방사선요법
3) 항암화학요법
4) 재발 및 전이
2.간호
Ⅲ. 결론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통증완화
- 항암 치료를 받고 있는 암 환자의 약 30~50%가, 진행성 암 환자의 약 60~70%가, 말기암 환자의 약 80~90%가 심한 통증 느낌
- 암으로 인한 통증은 대부분 먹는 약으로 조절가능
- 마약성 진통제 사용은 암의 치료에 전혀 나쁜 영향을 주지 않으며, 중독이 거의 일어나지 않고,
부작용도 대부분 문제가 되지 않음.
심리적지지
- 췌장암은 예후가 좋지 않으므로 가족들의 애도과정을 돕는 것이 중요함.
- 환자자신과 가족 그리고 의료진이 함께 재발방지 및 수술, 치료에 잘 적응하도록 노력.
적절한 영양섭취
- 식욕자극, 오심·구토 극복할수 있는 방법 활용
- 지방의 섭취를 줄이고 소화가 잘 되는 부드러운 고열량의 음식을 조금씩 자주 섭취
- 췌장암 환자들은 수술 후 인슐린 분비가 현저하게 줄어들어 당뇨발생 가능하므로 혈당조절 필요
신체 개구부와 점막의 출혈여부 관찰
방사선요법을 받는 경우
- 식욕부진, 오심, 구토, 피부자극 등의 부작용 관찰
3. 예후
- 췌장암의 외과적 절제술 후 사망률은 15%만큼이나 높음.
- 수술 후에도 5년 생존율은 10%에 불과함.
- 절제술을 받고 다시 암이 재발한 대상자의 생존율은 종양을 제거하지 않은 대상자보다
4배 높음.
Ⅲ. 결론
간호학 2-2-1 package2 part3에서 고만득 환자를 위해 췌장암의 치료와 간호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치료 방법에는 유문을 보존하는 절제술이나, 췌장 전체를 절제하는 수술, 담도 스텐트 등의 방법을 사용하는 수술 요법이나, 일반적으로 외부 방사선을 사용하지만, 종양에는 간혹 내부 방사선을 사용하는 방사선 요법, 젬사이타이빈이나 표적치료제 등의 항암제를 사용하는 항암 화학요법이 있다.
주된 간호에는 통증완화, 심리적인 지지, 적절한 영양 섭취 권장, 개구부와 점막의 출혈 여부 확인하기, 방사선 요법을 받는 경우의 부작용 관찰 등이 있다.
췌장암 환자를 위한 치료 방법은 다양하나, 실제로 완치할 수 있는 방법은 수술 밖에 없으며, 그 마저도 많지 않은 환자들만이 받을 수 있다. 방사선 요법이나 항암 화학요법은 완치가 불가능하나, 고령인 환자에게는 이 2가지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해야 할 것이다. 환자가 치료를 받음에 불편이 없도록 적극적인 간호가 필요할 것이다.
Ⅳ. 참고 문헌
이향련 외(2010),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경기, pp. 520~521.
국가 암정보센터. http://www.cancer.go.kr
- 항암 치료를 받고 있는 암 환자의 약 30~50%가, 진행성 암 환자의 약 60~70%가, 말기암 환자의 약 80~90%가 심한 통증 느낌
- 암으로 인한 통증은 대부분 먹는 약으로 조절가능
- 마약성 진통제 사용은 암의 치료에 전혀 나쁜 영향을 주지 않으며, 중독이 거의 일어나지 않고,
부작용도 대부분 문제가 되지 않음.
심리적지지
- 췌장암은 예후가 좋지 않으므로 가족들의 애도과정을 돕는 것이 중요함.
- 환자자신과 가족 그리고 의료진이 함께 재발방지 및 수술, 치료에 잘 적응하도록 노력.
적절한 영양섭취
- 식욕자극, 오심·구토 극복할수 있는 방법 활용
- 지방의 섭취를 줄이고 소화가 잘 되는 부드러운 고열량의 음식을 조금씩 자주 섭취
- 췌장암 환자들은 수술 후 인슐린 분비가 현저하게 줄어들어 당뇨발생 가능하므로 혈당조절 필요
신체 개구부와 점막의 출혈여부 관찰
방사선요법을 받는 경우
- 식욕부진, 오심, 구토, 피부자극 등의 부작용 관찰
3. 예후
- 췌장암의 외과적 절제술 후 사망률은 15%만큼이나 높음.
- 수술 후에도 5년 생존율은 10%에 불과함.
- 절제술을 받고 다시 암이 재발한 대상자의 생존율은 종양을 제거하지 않은 대상자보다
4배 높음.
Ⅲ. 결론
간호학 2-2-1 package2 part3에서 고만득 환자를 위해 췌장암의 치료와 간호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치료 방법에는 유문을 보존하는 절제술이나, 췌장 전체를 절제하는 수술, 담도 스텐트 등의 방법을 사용하는 수술 요법이나, 일반적으로 외부 방사선을 사용하지만, 종양에는 간혹 내부 방사선을 사용하는 방사선 요법, 젬사이타이빈이나 표적치료제 등의 항암제를 사용하는 항암 화학요법이 있다.
주된 간호에는 통증완화, 심리적인 지지, 적절한 영양 섭취 권장, 개구부와 점막의 출혈 여부 확인하기, 방사선 요법을 받는 경우의 부작용 관찰 등이 있다.
췌장암 환자를 위한 치료 방법은 다양하나, 실제로 완치할 수 있는 방법은 수술 밖에 없으며, 그 마저도 많지 않은 환자들만이 받을 수 있다. 방사선 요법이나 항암 화학요법은 완치가 불가능하나, 고령인 환자에게는 이 2가지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해야 할 것이다. 환자가 치료를 받음에 불편이 없도록 적극적인 간호가 필요할 것이다.
Ⅳ. 참고 문헌
이향련 외(2010),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경기, pp. 520~521.
국가 암정보센터. http://www.cancer.go.kr
추천자료
치료적 간호활동
실어증(aphasia)의 종류와 증상 치료 및 간호
정신분열병 치료와 간호
[간암][간암의 개념][간암의 원인][간암의 증상][간암의 치료][간암의 간호][간][간질환]간암...
뇌종양치료와 간호
[간암][간암증상][간암진단][간암치료][간암예방][간][간질환]간암의 개념, 간암의 원인, 간...
[정신간호학]우울증(depression)케이스
간암의 치료와 간호과정
[성인간호학 공통] 1) 바이러스성 간염을 유발하는 5가지 간염바이러스 구분, 각각의 감염경...
호지킨림프종 원인, 치료 및 간호는 물론 예후까지 모든것
십이지장 궤양 (Duodenal ulcer) 정의, 병태생리, 증상, 진단, 치료, 간호
1. 고위험 신생아의 고빌리루빈 혈증에 대한 사정(진단평가 및 임상증상)과 치료 및 간호에 ...
성인)고혈압 대상자의 치료와 간호_고혈압성 위기
위암(원인, 임상증상, 진단검사, 치료, 간호, 수술 후 합병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