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간의 위치 및 구조
1. 간의 위치
2. 간의 구조
3. 간의 혈액공급
4. 간세포(hepatocyte)
5. 간의 기능
Ⅱ. 간암
1. 정의
2. 종류
3. 원인
4. 일반적 증상
5. 진단방법
6. 진행단계(병기)
7. 치료방법
1) 근치적 치료
(1) 간절제술과 수술 후 부작용
(2) 간이식과 이식 후 부작용
(3) 국소 치료술: 고주파 열치료술 및 에탄올 주입술
2) 비근치적 치료
(1) 경동맥 화학색전술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TACE)
3) 방사선 치료
4) 항암화학요법
8. 치료 후 부작용
9. 재발 및 전이
10. 간호과정
1) 통증
2) 피부손상위험
3) 사고과정 장애
4) 영양부족
5) 가스교환장애
6) 체액과다
7) 조직관류 장애
8) 자긍심저하
Ⅲ. 참고문헌
1. 간의 위치
2. 간의 구조
3. 간의 혈액공급
4. 간세포(hepatocyte)
5. 간의 기능
Ⅱ. 간암
1. 정의
2. 종류
3. 원인
4. 일반적 증상
5. 진단방법
6. 진행단계(병기)
7. 치료방법
1) 근치적 치료
(1) 간절제술과 수술 후 부작용
(2) 간이식과 이식 후 부작용
(3) 국소 치료술: 고주파 열치료술 및 에탄올 주입술
2) 비근치적 치료
(1) 경동맥 화학색전술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TACE)
3) 방사선 치료
4) 항암화학요법
8. 치료 후 부작용
9. 재발 및 전이
10. 간호과정
1) 통증
2) 피부손상위험
3) 사고과정 장애
4) 영양부족
5) 가스교환장애
6) 체액과다
7) 조직관류 장애
8) 자긍심저하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2) 비근치적 치료
(1) 경동맥 화학색전술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TACE)
경동맥화학색전술 후 시술 후 '색전술 후 증후군'이라고 하여 흔히 발생하는 증상으로 복부 통증, 발열 및 오한, 구역질 및 구토 등이 있으나 대부분 하루 이틀 내에 증상이 좋아지거나 진통제 등 약제로 조절이 가능하다.
3) 방사선 치료
방사선 치료 후 급성 부작용으로 전신 피로감, 식욕감퇴, 오심, 구토, 설사, 속쓰림, 피부 발적, 가려움증, 간기능 저하가 일어날 수 있으며, 만성 부작용으로는 방사선 치료로 인해 간기능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방사선 간염, 위.십이지장 궤양, 방사선폐렴 등이 부위에 따라 일어날 수 있다.
4) 항암화학요법
피부 부작용, 설사, 피로 등의 부작용이 상당수에서 있다.
9. 재발 및 전이
간암의 초기 상태에서 치료하는 경우, 완치와 같은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대부분 만성 B형 혹은 C형 간염이나 간경변증 등 간암의 원인이 되는 질환은 계속 가지고 있게 되고, 암을 발견했을 때에는 진행된 경우가 많으며 간경변증과 같은 간 기능이 나쁜 경우가 많아 최선의 치료를 하더라도 재발되는 경우가 많다. 간 이외에 폐나 뼈에 전이가 일어날 경우가 가장 많으므로 정기적 점검이 필요하다. 재발되거나 전이되더라도 적절한 치료 방법을 잘 선택하면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끝까지 최선을 다한다는 마음가짐이 꼭 필요하다.
10. 간호과정
1) 통증
간호목표: 보행할 때 불편감이 없다. 편안히 휴식을 취한다.
간호계획/수행:
① 통증의 양상과 증상을 사정한다.
② 통증완화요법을 적용한다.
③ 간독성 약물을 피하고 신장으로 배설되는 약물을 사용한다.
④ 필요시 진통제를 투여한다.
기대되는 결과:
① 심한 통증이 없이 ADL이 가능하다.
② 심한 통증없이 편안히 휴식을 취한다.
③ 통증이 경감되었다고 말한다.
2) 피부손상위험
간호목표: 피부통합을 유지한다. 고단백식이의 필요성에 대해 이해한다.편안함을 느낀다.
소양증이 줄어든다.
간호계획/수행:
① 고단백 식이에 대해 교육하고 고단백식이를 제공한다.
② 항소양증 제제를 투여해 가려움증을 경감시킨다.
③ 1~2시간 간격으로 자세를 변화시킨다.
④ 자세를 통해 부종의 압력을 감소시킨다.
⑤ 피부간호로 감염을 예방한다.
⑥ 소양증이 알레르기와 관련 없음을 설명해 준다.
⑦ 휴식, 좋은 식사, 환기, 면내의, 젖은 홑이불 교환, 기분전환, 알카리성 비누 사용금지, ⑧ 잦은 목욕금지, whirl pool, 윤활제사용, 짧은 손톱유지 등을 시행한다.
⑨ 찰과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장갑을 끼게하고 긁지 않도록 한다.
⑩ diphenhydramine을 투여한다.
기대되는 결과
① 정상적인 피부통합성을 유지한다.
② 긁지않고 일상생활활동을 수행한다.
③ 소양증이 줄어든다.
3) 사고과정 장애
간호목표: 만족스런 사고과정을 유지한다.
간호계획/수행:
① 정신상태의 변화를 평가한다.
② 매일 대상자의 이름을 쓰게한다.
③ 혈압기를 감고 압력을 가해 진전의 정도를 관찰한다.
④ 관장을 시켜 정맥류 출혈로 인한 장내 혈액을 배출시킨다.
⑤ 간성악취가 있는지 평가한다.
⑥ 식도 정맥류 출혈 시 혈액을 삼키지 않도록 한다.
⑦ Neomycin을 투여하야 장내 세균을 감소시킨다.
⑧ 암모니아의 확산과 배설을 증가시키기 위해 lactulose를 투여한다.
기대되는 결과:
① 매일 변화없이 이름을 쓴다.
② 이름, 장소를 정확하게 진술한다.
③ 진전이 없다.
4) 영양부족
간호목표: 균형있는 식사를 섭취한다.
간호계획/수행:
① 고칼륨, 저염, 고탄수화물, 고단백식이를 제공한다.
② 식욕을 증진시킨다.
③ 구강위생을 유지하고 항구토제를 투여하며 신선한 공기로 환기시키고 지방섭취를 감소시 킨다.
④ 비타민 부족을 보충한다.
⑤ 기대되는 결과: 균형있는 식사를 한다.
⑥ 영양이 개선된다.
⑦ 음식섭취가 증가된다.
⑧ 대상자가 고칼륨과 저염식이의 식단을 작성한다.
5) 가스교환장애
간호목표: 호흡곤란이 감소한다.
간호계획/수행:
① O2/CO2의 교환이 적절하게 유지된다.
② 자주 체위를 변경시킨다.
③ 이뇨제와 알부민으로 부종을 줄인다.
④ 횡격막에 가해지는 복수의 압력을 감소시킨다.
⑤ 필요하면 O2를 공급한다.
⑥ 복수천자 대상자에게 필요한 간호를 제공한다.
⑦ 철분섭취를 증가시킨다.
⑧ 수혈한다.
기대되는 결과
① 산소공급없이 ADL을 수행한다.
② 입술에 청색증이 없다.
③ 정상 헤모글로빈 수준을 유지한다.
6) 체액과다
간호목표: 정상 체액량을 유지하고 부종이 경감된다.
간호계획/수행
① 비타민 K를 투여한다.
② 매일 체중을 잰다.
③ 매일 복부 둘레를 잰다.
④ 피부의 탄력성을 평가한다.
⑤ 섭취량과 배설량을 세심하게 기록한다.
⑥ 나트륨과 수분의 정체를 감소시키기 위해 aldosterone 길항제를 투여한다.
⑦ 알부민과 이뇨제를 주의깊게 투여한다.
기대되는 결과
① 피부의 탄력성을 유지한다.
② 복부 둘레가 감소한다.
③ 섭취량과 배설량이 균형을 이룬다.
7) 조직관류 장애
간호목표: 적절한 조직관류를 유지한다.
간호계획/수행
① 수혈을 하고 철분, 비타민 K, 비타민 B12등을 투여하고 적혈구 수치를 교정한다.
② 부종과 문맥성 고혈압에 대한 간호를 실시한다.
기대되는 결과:
① 혈압이 140/80mmHg이하이다.
② 헤모글로빈 수치, prothrombine time이 정상이다.
8) 자긍심저하
간호목표: 신체상의 변화를 수용한다.
간호계획/수행
① 신체 변화의 원인을 알려준다.
② 느낌을 말하게 한다.
③ 정서적 지지와 격려를 한다.
기대되는 결과
① 신체상의 변화에 대해 이야기 한다.
② 마음을 열고 느낌을 말한다.
Ⅲ. 참고문헌
1. 국가암정보센터(http://www.cancer.go.kr/)
2. 성인간호학 상, 전시자외, 2005, 현문사
3. 건강사정, 최공옥외, 2003, 현문사
4. 질병에 따른 간호과정과 임상경로, 임난영외, 2000, 현문사
5. 사비스톤 외과학, 사비스톤 편찬위원회, 2003, 도서출판 정담
2) 비근치적 치료
(1) 경동맥 화학색전술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TACE)
경동맥화학색전술 후 시술 후 '색전술 후 증후군'이라고 하여 흔히 발생하는 증상으로 복부 통증, 발열 및 오한, 구역질 및 구토 등이 있으나 대부분 하루 이틀 내에 증상이 좋아지거나 진통제 등 약제로 조절이 가능하다.
3) 방사선 치료
방사선 치료 후 급성 부작용으로 전신 피로감, 식욕감퇴, 오심, 구토, 설사, 속쓰림, 피부 발적, 가려움증, 간기능 저하가 일어날 수 있으며, 만성 부작용으로는 방사선 치료로 인해 간기능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방사선 간염, 위.십이지장 궤양, 방사선폐렴 등이 부위에 따라 일어날 수 있다.
4) 항암화학요법
피부 부작용, 설사, 피로 등의 부작용이 상당수에서 있다.
9. 재발 및 전이
간암의 초기 상태에서 치료하는 경우, 완치와 같은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대부분 만성 B형 혹은 C형 간염이나 간경변증 등 간암의 원인이 되는 질환은 계속 가지고 있게 되고, 암을 발견했을 때에는 진행된 경우가 많으며 간경변증과 같은 간 기능이 나쁜 경우가 많아 최선의 치료를 하더라도 재발되는 경우가 많다. 간 이외에 폐나 뼈에 전이가 일어날 경우가 가장 많으므로 정기적 점검이 필요하다. 재발되거나 전이되더라도 적절한 치료 방법을 잘 선택하면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끝까지 최선을 다한다는 마음가짐이 꼭 필요하다.
10. 간호과정
1) 통증
간호목표: 보행할 때 불편감이 없다. 편안히 휴식을 취한다.
간호계획/수행:
① 통증의 양상과 증상을 사정한다.
② 통증완화요법을 적용한다.
③ 간독성 약물을 피하고 신장으로 배설되는 약물을 사용한다.
④ 필요시 진통제를 투여한다.
기대되는 결과:
① 심한 통증이 없이 ADL이 가능하다.
② 심한 통증없이 편안히 휴식을 취한다.
③ 통증이 경감되었다고 말한다.
2) 피부손상위험
간호목표: 피부통합을 유지한다. 고단백식이의 필요성에 대해 이해한다.편안함을 느낀다.
소양증이 줄어든다.
간호계획/수행:
① 고단백 식이에 대해 교육하고 고단백식이를 제공한다.
② 항소양증 제제를 투여해 가려움증을 경감시킨다.
③ 1~2시간 간격으로 자세를 변화시킨다.
④ 자세를 통해 부종의 압력을 감소시킨다.
⑤ 피부간호로 감염을 예방한다.
⑥ 소양증이 알레르기와 관련 없음을 설명해 준다.
⑦ 휴식, 좋은 식사, 환기, 면내의, 젖은 홑이불 교환, 기분전환, 알카리성 비누 사용금지, ⑧ 잦은 목욕금지, whirl pool, 윤활제사용, 짧은 손톱유지 등을 시행한다.
⑨ 찰과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장갑을 끼게하고 긁지 않도록 한다.
⑩ diphenhydramine을 투여한다.
기대되는 결과
① 정상적인 피부통합성을 유지한다.
② 긁지않고 일상생활활동을 수행한다.
③ 소양증이 줄어든다.
3) 사고과정 장애
간호목표: 만족스런 사고과정을 유지한다.
간호계획/수행:
① 정신상태의 변화를 평가한다.
② 매일 대상자의 이름을 쓰게한다.
③ 혈압기를 감고 압력을 가해 진전의 정도를 관찰한다.
④ 관장을 시켜 정맥류 출혈로 인한 장내 혈액을 배출시킨다.
⑤ 간성악취가 있는지 평가한다.
⑥ 식도 정맥류 출혈 시 혈액을 삼키지 않도록 한다.
⑦ Neomycin을 투여하야 장내 세균을 감소시킨다.
⑧ 암모니아의 확산과 배설을 증가시키기 위해 lactulose를 투여한다.
기대되는 결과:
① 매일 변화없이 이름을 쓴다.
② 이름, 장소를 정확하게 진술한다.
③ 진전이 없다.
4) 영양부족
간호목표: 균형있는 식사를 섭취한다.
간호계획/수행:
① 고칼륨, 저염, 고탄수화물, 고단백식이를 제공한다.
② 식욕을 증진시킨다.
③ 구강위생을 유지하고 항구토제를 투여하며 신선한 공기로 환기시키고 지방섭취를 감소시 킨다.
④ 비타민 부족을 보충한다.
⑤ 기대되는 결과: 균형있는 식사를 한다.
⑥ 영양이 개선된다.
⑦ 음식섭취가 증가된다.
⑧ 대상자가 고칼륨과 저염식이의 식단을 작성한다.
5) 가스교환장애
간호목표: 호흡곤란이 감소한다.
간호계획/수행:
① O2/CO2의 교환이 적절하게 유지된다.
② 자주 체위를 변경시킨다.
③ 이뇨제와 알부민으로 부종을 줄인다.
④ 횡격막에 가해지는 복수의 압력을 감소시킨다.
⑤ 필요하면 O2를 공급한다.
⑥ 복수천자 대상자에게 필요한 간호를 제공한다.
⑦ 철분섭취를 증가시킨다.
⑧ 수혈한다.
기대되는 결과
① 산소공급없이 ADL을 수행한다.
② 입술에 청색증이 없다.
③ 정상 헤모글로빈 수준을 유지한다.
6) 체액과다
간호목표: 정상 체액량을 유지하고 부종이 경감된다.
간호계획/수행
① 비타민 K를 투여한다.
② 매일 체중을 잰다.
③ 매일 복부 둘레를 잰다.
④ 피부의 탄력성을 평가한다.
⑤ 섭취량과 배설량을 세심하게 기록한다.
⑥ 나트륨과 수분의 정체를 감소시키기 위해 aldosterone 길항제를 투여한다.
⑦ 알부민과 이뇨제를 주의깊게 투여한다.
기대되는 결과
① 피부의 탄력성을 유지한다.
② 복부 둘레가 감소한다.
③ 섭취량과 배설량이 균형을 이룬다.
7) 조직관류 장애
간호목표: 적절한 조직관류를 유지한다.
간호계획/수행
① 수혈을 하고 철분, 비타민 K, 비타민 B12등을 투여하고 적혈구 수치를 교정한다.
② 부종과 문맥성 고혈압에 대한 간호를 실시한다.
기대되는 결과:
① 혈압이 140/80mmHg이하이다.
② 헤모글로빈 수치, prothrombine time이 정상이다.
8) 자긍심저하
간호목표: 신체상의 변화를 수용한다.
간호계획/수행
① 신체 변화의 원인을 알려준다.
② 느낌을 말하게 한다.
③ 정서적 지지와 격려를 한다.
기대되는 결과
① 신체상의 변화에 대해 이야기 한다.
② 마음을 열고 느낌을 말한다.
Ⅲ. 참고문헌
1. 국가암정보센터(http://www.cancer.go.kr/)
2. 성인간호학 상, 전시자외, 2005, 현문사
3. 건강사정, 최공옥외, 2003, 현문사
4. 질병에 따른 간호과정과 임상경로, 임난영외, 2000, 현문사
5. 사비스톤 외과학, 사비스톤 편찬위원회, 2003, 도서출판 정담
추천자료
전립선비대증과 간호과정
위암 간호과정 케이스 스터디
뇌출혈 케이스스터디 신경외과케이스스터디 경막외출혈 케이스 문헌고찰 뇌출혈간호과정 뇌출...
고빌리루빈혈증 (Hyperbilirubinemia) 간호과정 고위험신생아 케이스 case study
당뇨케이스, 당뇨PPT Diabetes melitus (DM) - 당뇨 간호과정 당뇨 간호진단 당뇨 간호사정 ,...
대퇴 골절 간호과정 - 간호진단 5개 / 간호과정 3개
편도선염 케이스 -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3개
간호과정,간호진단의 정의,간호진단의 유용성,간호진단의 분류체계,NANDA의 분류체계,Omaha ...
성인간호학 뇌경색 간호과정
요골골절 케이스(radius fracture 케이스, radius fracture 간호과정, radius fracture 간호...
GB stone, cholecystitis 케이스 스터디 (GB stone으로인한 cholecystitis 케이스 입니다.) -...
백내장(Cataract) 케이스 스터디 A+ - (백내장 케이스 스터디, 백내장 간호과정, 백내장 간호...
성인 폐렴 케이스 스터디 (폐렴 간호과정)
A+ 직장암 Rectal cancer 케이스 스터디 (문헌고찰 직장암 사례연구 직장암 간호과정 직장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