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의
2. 병태생리
(1)원인
(2)특징
3. 증상
4. 진단
5. 치료
(1)내과적치료
(2)외과적 치료
6. 간호
7. 출처
2. 병태생리
(1)원인
(2)특징
3. 증상
4. 진단
5. 치료
(1)내과적치료
(2)외과적 치료
6. 간호
7. 출처
본문내용
에서 증 가된다. 천공은 기립상태에서 흉부촬영을 해보면 자유공기음영을 관찰할 수 있다. 복부전산화단층촬영(92%)은 단순복부촬영(74%)보다 민감도가 더 높고, 천공 시 내시경검사는 금기이다.
-천공이 발생되면 즉시 금식시키고 비위관을 삽입하여 위내용물을 흡인해 더 이상 복강으로 새는 것을 막는다.
-이후 안정이 되면 외과적 중재로 유출된 위 내용물을 제거하고 생리식염수나 항 생제 용액으로 복강을 세척한 후 대망조각을 덧대어 천공 부위를 봉합한다. 이때 미주신경 절단술나 유문 성형술을 병행하는데 이를 통해 궤양과 합병증을 조절 할 수 있다.
⑥폐색
-소화성 궤양 환자의 2~8%에서 위출구 폐쇄가 일어나는데, 다른 합병증에서와 같 이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의 사용 환자에서 폐쇄의 빈도가 높다. 폐쇄는 급성궤양 에 의한 부종, 경련, 근육층의 비후, 반흔이나 섬유화의 결과로 초래된다.
-증상으로는 오심, 구토, 조기포만감, 체중감소가 일어납니다. 구토는 많은 양을 지 속적으로 하게 되고 담즙이 섞이지 않으며, 식사 후 12~24시간 이내의 음식물이 나오게 된다. 구토를 하고 나면 통증은 완화되는 경향이 있고, 변비가 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심한출구 폐쇄로 반복적인 구토를 하게 되면 탈수, 전해질이상을 초래하여 저칼륨 증과 함께 대사성 알칼리 혈증을 일으킨다.
→이런 경우는 등장성 생리식염수와 칼륨의 보충을 해 주어야 합니다. 프로톤 펌 프 억제제와 보존적인 치료법으로 나아지지 않으면 내시경적 확장술을 고려할 수 있다.
-협착이 있는 부위의 내시경적 확장술로 확장해준다. 확장술의 방법에 따라 성공률 에 많은 차이를 보인다.
-확장술 후에는 장기간 H2수용체 길항제나 프로톤 펌프 억제제를 사용해 주어야 한다.
Ⅵ.간호
①간호진단: 급성통증
간호중재: 통증 정도, 양상 등을 사정하고 진통제와 함께 약물을 투여한다.
: 간호사는 통증에 대한 약물의 효과를 사정하고, 통증이 완화되지 않는 다면 의사에게 알린다.
: 간호의 목표는 환자가 정신적, 신체적으로 휴식을 취하게 도움으로써 회복을 증진시킨다.
:소량씩, 자주 일정한 간격으로 저섬유질 식사를 하도록 권한다.
→위가 비면 위산분비가 자극되기 때문에
: 술, 콜라, 담배, 카페인은 섭취를 금하도록 교육한다.
②간호진단: 비효율적 이행
간호중재: 궤양치료에 있어서 환자의 자가간호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 자가간호 유지를 위해서는 환자가 궤양의 병리적 원인과 통증의 의미, 궤양을 진전시키는 원인과 자극을 감소시키는 행동, 통증이 사라졌어 도 완전한 치유를 위해서 지속적인 치료의 중요성, 계속하던 치료를 멈추면 궤양이 재발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게 도와야 한다.
: 앞에서도 언급했듯 항생제 치료시 투약기간을 지켜야 하며, 균의 전파 를 막기 위해 손씻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환자의 걱정과 불안을 말로 표현하게해 불안을 감소시킨다.
③예방간호
:환자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위험군에 속한 환자를 예방하고 치유 된 환자에게서 재발을 막는 것 또한 간호의 중요한 업무이다.
-소화성 궤양의 예방을 위해서는 건강 수칙, 즉 규칙적인 식사와 소식이 기본이 다. 가장 흔한 원인인 H.pyroli균을 제균하고 NSAIDS 약물의 과도한 사용을 막 는 것이 예방법이 될 수있다.
→구체적 방법으로는 NSAIDS 약물를 오래 사용해야하는 경우는 NSAIDS 약물 투여를 중지하거나 감량하고, H.pyroli균 감염이 있으면 미리 제균하는 것이 좋 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 결과는 H.pyroli균 감염 자체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관련 궤양의 발생 빈도를 높이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어 H.pyroli균 제균 요법 이 힘든 경우에는 굳이 요법을 시행할 필요는 없다.
-합병증 측면에서는 70세 이상의 고령, 과거 궤양이나 궤양 합병증의 병력, corticosteroid나 항응고제의 사용 등의 조건을 가진 사람이 NSAIDS 약물을 사 용해야 하는 경우 등이 궤양 합병증의 발생 빈도가 높으므로 NSAIDS약물 사용 시 궤양 발생을 더 주의깊게 사정하고 예방해야 한다.
→ 이런 궤양 위험군의 경우에는 프로톤 펌프 억제제 투여가 추천되고, 위험군 이 아니라면 H2수용체 길항제의 투여가 추천됩니다.
-예방의 다른 방법으로는 NSAIDS약물 중에서 위십이지장 점막 손상을 덜 일으 키는celecoxib와 같은 선택적 COX-2 억제제를 사용할 수 있다.
Ⅶ.참고문헌
1.김금순 등. 2013. 성인간호학Ⅰ 제 7판 .수문사.
2.坂本穆彦 外 원저.(2009). 병리학 제 4판. 정문각.
3.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십이지장 궤양”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6885&cid=51007&categoryId=51007
4. 네이버 지식백과.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십이지장 궤양”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19894&cid=51004&categoryId=51004&mobile
5.네이버 지식백과. 간호학대사전. “궤양”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01923&cid=50362&categoryId=50362
6.Google. 궤양. http://www.dominalaw.com/(2015.05.01)
7.Google. 구토. http://tomoreto.tistory.com/83(2015.04.29)
8.Google. 복통. http://elpharos7979.tistory.com. (2015.04.29)
9.Google. Billroth. https://www.pinterest.com/pin/534661786986721292/.(2015.4.29)
10.Google. Gastroenterostomy. http://www.lookfordiagnosis.com/mesh_info.php?term=gastroenterostomy&lang=1. (2015.04.29)
11.김동욱(2011). 소화성궤양의 병태생리Medinsight Vol.1 no.5 (2011년 5월) pp.64-66 0025-7281
-천공이 발생되면 즉시 금식시키고 비위관을 삽입하여 위내용물을 흡인해 더 이상 복강으로 새는 것을 막는다.
-이후 안정이 되면 외과적 중재로 유출된 위 내용물을 제거하고 생리식염수나 항 생제 용액으로 복강을 세척한 후 대망조각을 덧대어 천공 부위를 봉합한다. 이때 미주신경 절단술나 유문 성형술을 병행하는데 이를 통해 궤양과 합병증을 조절 할 수 있다.
⑥폐색
-소화성 궤양 환자의 2~8%에서 위출구 폐쇄가 일어나는데, 다른 합병증에서와 같 이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의 사용 환자에서 폐쇄의 빈도가 높다. 폐쇄는 급성궤양 에 의한 부종, 경련, 근육층의 비후, 반흔이나 섬유화의 결과로 초래된다.
-증상으로는 오심, 구토, 조기포만감, 체중감소가 일어납니다. 구토는 많은 양을 지 속적으로 하게 되고 담즙이 섞이지 않으며, 식사 후 12~24시간 이내의 음식물이 나오게 된다. 구토를 하고 나면 통증은 완화되는 경향이 있고, 변비가 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심한출구 폐쇄로 반복적인 구토를 하게 되면 탈수, 전해질이상을 초래하여 저칼륨 증과 함께 대사성 알칼리 혈증을 일으킨다.
→이런 경우는 등장성 생리식염수와 칼륨의 보충을 해 주어야 합니다. 프로톤 펌 프 억제제와 보존적인 치료법으로 나아지지 않으면 내시경적 확장술을 고려할 수 있다.
-협착이 있는 부위의 내시경적 확장술로 확장해준다. 확장술의 방법에 따라 성공률 에 많은 차이를 보인다.
-확장술 후에는 장기간 H2수용체 길항제나 프로톤 펌프 억제제를 사용해 주어야 한다.
Ⅵ.간호
①간호진단: 급성통증
간호중재: 통증 정도, 양상 등을 사정하고 진통제와 함께 약물을 투여한다.
: 간호사는 통증에 대한 약물의 효과를 사정하고, 통증이 완화되지 않는 다면 의사에게 알린다.
: 간호의 목표는 환자가 정신적, 신체적으로 휴식을 취하게 도움으로써 회복을 증진시킨다.
:소량씩, 자주 일정한 간격으로 저섬유질 식사를 하도록 권한다.
→위가 비면 위산분비가 자극되기 때문에
: 술, 콜라, 담배, 카페인은 섭취를 금하도록 교육한다.
②간호진단: 비효율적 이행
간호중재: 궤양치료에 있어서 환자의 자가간호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 자가간호 유지를 위해서는 환자가 궤양의 병리적 원인과 통증의 의미, 궤양을 진전시키는 원인과 자극을 감소시키는 행동, 통증이 사라졌어 도 완전한 치유를 위해서 지속적인 치료의 중요성, 계속하던 치료를 멈추면 궤양이 재발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게 도와야 한다.
: 앞에서도 언급했듯 항생제 치료시 투약기간을 지켜야 하며, 균의 전파 를 막기 위해 손씻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환자의 걱정과 불안을 말로 표현하게해 불안을 감소시킨다.
③예방간호
:환자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위험군에 속한 환자를 예방하고 치유 된 환자에게서 재발을 막는 것 또한 간호의 중요한 업무이다.
-소화성 궤양의 예방을 위해서는 건강 수칙, 즉 규칙적인 식사와 소식이 기본이 다. 가장 흔한 원인인 H.pyroli균을 제균하고 NSAIDS 약물의 과도한 사용을 막 는 것이 예방법이 될 수있다.
→구체적 방법으로는 NSAIDS 약물를 오래 사용해야하는 경우는 NSAIDS 약물 투여를 중지하거나 감량하고, H.pyroli균 감염이 있으면 미리 제균하는 것이 좋 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 결과는 H.pyroli균 감염 자체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관련 궤양의 발생 빈도를 높이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어 H.pyroli균 제균 요법 이 힘든 경우에는 굳이 요법을 시행할 필요는 없다.
-합병증 측면에서는 70세 이상의 고령, 과거 궤양이나 궤양 합병증의 병력, corticosteroid나 항응고제의 사용 등의 조건을 가진 사람이 NSAIDS 약물을 사 용해야 하는 경우 등이 궤양 합병증의 발생 빈도가 높으므로 NSAIDS약물 사용 시 궤양 발생을 더 주의깊게 사정하고 예방해야 한다.
→ 이런 궤양 위험군의 경우에는 프로톤 펌프 억제제 투여가 추천되고, 위험군 이 아니라면 H2수용체 길항제의 투여가 추천됩니다.
-예방의 다른 방법으로는 NSAIDS약물 중에서 위십이지장 점막 손상을 덜 일으 키는celecoxib와 같은 선택적 COX-2 억제제를 사용할 수 있다.
Ⅶ.참고문헌
1.김금순 등. 2013. 성인간호학Ⅰ 제 7판 .수문사.
2.坂本穆彦 外 원저.(2009). 병리학 제 4판. 정문각.
3.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십이지장 궤양”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6885&cid=51007&categoryId=51007
4. 네이버 지식백과.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십이지장 궤양”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19894&cid=51004&categoryId=51004&mobile
5.네이버 지식백과. 간호학대사전. “궤양”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01923&cid=50362&categoryId=50362
6.Google. 궤양. http://www.dominalaw.com/(2015.05.01)
7.Google. 구토. http://tomoreto.tistory.com/83(2015.04.29)
8.Google. 복통. http://elpharos7979.tistory.com. (2015.04.29)
9.Google. Billroth. https://www.pinterest.com/pin/534661786986721292/.(2015.4.29)
10.Google. Gastroenterostomy. http://www.lookfordiagnosis.com/mesh_info.php?term=gastroenterostomy&lang=1. (2015.04.29)
11.김동욱(2011). 소화성궤양의 병태생리Medinsight Vol.1 no.5 (2011년 5월) pp.64-66 0025-728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