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그네슘 합금의 특징및 표면처리효과와 크리이프 특성 실험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그네슘 합금의 특징및 표면처리효과와 크리이프 특성 실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마그네슘 합금의 정의
2. 마그네슘 합금의 활용과 응용
3. 표면처리 효과
4. 크리이프 특성실험과 결과보기

본문내용

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 양극산화처리품의 특성
○ 치수- Denkahimaku사의 Mg white처리는 비 크롬계로서 피막 두께가 20um때 ±0.003mm의 치수 정도로 처리가 가능하다. 재질에 따라 다르나 처리에 따라 치수 변화량은 지정 막 두께의 1/2이 가공 면에서 증가된다.
○ 내식성- 양극산화는 화성처리와 달리 절삭한 면의 내식성저하는 없다 또한 Mg white는 내식성을 중시한 양극산화처리이다. 그러므로 12um라도 통상의 화성처리보다 높은 내식성이 있다. 또한 재질이나 막 두께에 따라서 양극산화처리+도장처리를 하여 3개월, 6개월의 내식 시험에도 합격하고 있다. 또한 클로즈 컷 1차 밀착성시험, 2차 밀착성시험에서도 문제가 없다.
○ 내마모성- 양극산화피막은 내마모성이 있어 하지로 사용하여 도장 본래의 경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통상보다 높은 내식성, 내마모성이 요구되는 부위에는 양극산화처리를 하여 보다 높은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 도전성- 양극산화피막은 절연피막이므로 어스나 통전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피막에 여러 가지 세공(細工)을 하지 않으면 안 된다. 다음은 그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①마스킹을 하여 처리한다. ②처리 후 추가 가공을 한다. ③피막 그 자체에 도전성을 가지게 한다. 이다.- Denkahimaku사에서는 처리 전에 화성처리 후 마스킹을 하는 방법과, 마스킹을 하 후, 안이면 양극산화 후 가공하는 GD repair를 처리하는 방법이 있다. GD repair는 위사에서 개발한 공법으로 비 크롬계 보수용 화성처리이다.
4) 후처리
마그네슘합금 보수용 터치 업 처리법은 지금까지는 없었으나, 위사의 GD repair는 밀착성 및 내식성이 좋고, 표면저항 값도 낮고, 타 표면처리와의 친화성도 좋다. 그의 용도는 가음과 같다. ①도장후의 추가 가공 후 ②도장후의 설계변경 ③도장후의 부분 부식 ④양극산화의 마스킹 부위 ⑤양극산화의 접점부위 등이다.
5. 주어진 실험결과에 대한 활성화 에너지와 응력지수 구하기
온도
하중
응력
크리프속도
280
30
2.39
1.19E-06
40
3.18
2.10E-06
50
3.98
7.14E-06
290
30
2.39
1.14E-06
40
3.18
5.48E-06
50
3.98
1.06E-05
300
30
2.39
2.79E-06
40
3.18
6.73E-06
50
3.98
2.73E-05
<크리프 속도를 구하기 위해 Sec 영역
(기울기가 일정한 구간에서의 값)을 읽은 수치>
① 하중 P=30 온도 T= 280, 290, 300
T=280
P=30
 
 
27000
0.16
 
270000
0.45
 
243000
0.29
 
크리프속도 
1.19342E-06
 
 
 
T=290
P=30
 
 
38000
0.18
 
212000
0.425
 
174000
0.245
 
크리프속도 
1.40805E-06
 
 
 
T=300
P=30
 
 
21000
0.17
 
125000
0.46
 
104000
0.29
 
 크리프속도
2.78846E-06
②하중 P=40 온도 T= 280, 290, 300
T=280
P=40
 
 
21,000
0.14
 
83,000
0.27
 
62,000
0.13
 
크리프속도 
2.09677E-06
 
 
 
T=290
P=40
 
 
18000
0.18
 
49000
0.35
 
31000
0.17
 
크리프속도 
5.48387E-06
 
 
 
T=300
P=40
 
 
15300
0.27
 
45000
0.47
 
29700
0.2
 
 크리프속도 
6.73401E-06
③ 하중 P=40 온도 T= 280, 290, 300
T=280
P=50
 
 
10000
0.3
 
45000
0.55
 
35000
0.25
 
크리프속도  
7.14286E-06
 
 
 
T=290
P=50
 
 
8000
0.3
 
24000
0.47
 
16000
0.17
 
 크리프속도 
1.06250E-05
 
 
 
T=300
P=50
 
 
7200
0.29
 
14900
0.5
 
7700
0.21
 
크리프속도  
2.72727E-05
크리프속도 =(2-1)/(T2-T1)
<계산 데이터>
ln
1/Tx1000
lnσ
-13.64
1.81
0.87
-13.07
1.81
1.16
-11.85
1.81
1.38
-13.68
1.78
0.87
-12.11
1.78
1.16
-11.45
1.78
1.38
-12.79
1.74
0.87
-11.91
1.74
1.16
-10.51
1.74
1.38
- ln= 크리프속도에 ln을 취한 값
- (1/T1)*1000 = 절대온도로 바꾸기 위해 T1+273.15를 한 뒤 계산
- lnσ = 응력에 ln을 취한 값
- 모든 수치는 소수점 셋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둘째자리까지 표시
<활성화 에너지>
 
280
290
300
 
1.81
1.78
1.74
30
-13.64
-13.68
-12.79
40
-13.07
-12.11
-11.91
50
-11.85
-11.45
-10.51
Qc= Rln(2/1)/(1/T2-T1) (R=8.314 일반기체상수)
응력
활성화 에너지
σ=30
-161.11
σ=40
-132.58
σ=50
-105.50
응력이 작아질수록 활성화 에너지는 더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음.
<응력지수>
 
2.39
3.18
3.98
 
0.87
1.16
1.38
280
-13.64
-13.68
-12.79
290
-13.07
-12.11
-11.91
300
-11.85
-11.45
-10.51
온도
응력지수
T=280
1.59
T=290
2.32
T=300
2.57
그래프에서 기울기의 값이 응력지수의 값
온도가 올라갈수록 응력지수도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음
고찰
크리이프 속도는 같은 하중 일 때 온도가 올라가면 속도도 빨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응력이 작아질수록 활성화 에너지는 커졌으며, 온도가 올라갈수록 응력지수는 커지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오차의 원인으로는 그래프를 읽는 것이 부정확하여 오차가 크게 발생하였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8.11.10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06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