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심
③ 유학장려 정책: 당나라에 여러 형태로 유학생 파견
3. 고대사회의 교육사상가
▶ 원효(617-686): 신라의 고승이며, 100여 부 240권 정도의 저술활동
1) 사상
(1) 일심(一心)사상 : ‘일심’은 존재의 근본을 의미. 즉, 마음은 원래 하나의 마음이며, 그 하나의 모든 것을 포괄하는 전체로서의 하나다. 중생들을 불각의 상태에서 각의 상태로 바꾸어야 하는 대 이때 훈습이 필요하며 이는 교육사적인 측면에 비추어 볼 때 중생은 학습자가 되며 훈습은 스스로 수행하고 학습하는 학생의 모습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진여문(眞如門): 마음이 세상의 물결에 오염되지 않은 본래 상태
-생멸문(生滅門): 인간의 근본적인 어리석음인 무명에 의해 고요함이 흔들리게 되고 생과 멸의 모습이 만들어 지게 됨
(2) 화쟁(和諍)사상 : 어느 종파나 사상에 치우침 없이 전체의 입장에서 조화를 취함. 이로써 통일과 평화, 화합의 사상으로 이후 한국불교의 통(通)불교적 전통을 수립하는 바탕을 마련했다.
(3) 무애(無碍)사상 : 실천적으로 성속(聖俗)의 차별적 대립을 타파. 즉, 걸림과 차별이 없음.
2) 교육학적 의의
(1) 교육 목적의 측면 : 깨달음(=각覺)
(2) 교육 방법의 측면 : 중생의 수행능력(근기)에 따라 교화의 방법을 달리함
예) ‘나무아미타불’의 6자 염불 방법 전파 : 대중교화
(3) 모범적 스승으로서의 원효 : 삶의 방향을 제시하는 스승이자 가치있는 삶으로 이끄
는 스승
토의과제: 고대사회의 교육을 둘러싼 여러 현상(제도, 정책, 교육기관 등)들이 오늘날의
교육현실에 던져주는 메시지가 있다면?
③ 유학장려 정책: 당나라에 여러 형태로 유학생 파견
3. 고대사회의 교육사상가
▶ 원효(617-686): 신라의 고승이며, 100여 부 240권 정도의 저술활동
1) 사상
(1) 일심(一心)사상 : ‘일심’은 존재의 근본을 의미. 즉, 마음은 원래 하나의 마음이며, 그 하나의 모든 것을 포괄하는 전체로서의 하나다. 중생들을 불각의 상태에서 각의 상태로 바꾸어야 하는 대 이때 훈습이 필요하며 이는 교육사적인 측면에 비추어 볼 때 중생은 학습자가 되며 훈습은 스스로 수행하고 학습하는 학생의 모습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진여문(眞如門): 마음이 세상의 물결에 오염되지 않은 본래 상태
-생멸문(生滅門): 인간의 근본적인 어리석음인 무명에 의해 고요함이 흔들리게 되고 생과 멸의 모습이 만들어 지게 됨
(2) 화쟁(和諍)사상 : 어느 종파나 사상에 치우침 없이 전체의 입장에서 조화를 취함. 이로써 통일과 평화, 화합의 사상으로 이후 한국불교의 통(通)불교적 전통을 수립하는 바탕을 마련했다.
(3) 무애(無碍)사상 : 실천적으로 성속(聖俗)의 차별적 대립을 타파. 즉, 걸림과 차별이 없음.
2) 교육학적 의의
(1) 교육 목적의 측면 : 깨달음(=각覺)
(2) 교육 방법의 측면 : 중생의 수행능력(근기)에 따라 교화의 방법을 달리함
예) ‘나무아미타불’의 6자 염불 방법 전파 : 대중교화
(3) 모범적 스승으로서의 원효 : 삶의 방향을 제시하는 스승이자 가치있는 삶으로 이끄
는 스승
토의과제: 고대사회의 교육을 둘러싼 여러 현상(제도, 정책, 교육기관 등)들이 오늘날의
교육현실에 던져주는 메시지가 있다면?
추천자료
공통사회과(공통사회교육) 평가의 목표, 공통사회과(공통사회교육) 평가의 방법과 절차, 공통...
사회과(사회교과교육) 평가의 목표, 사회과(사회교과교육) 새 평가기준의 필요성, 사회과(사...
[사회교과교육평가][교육평가]사회과(사회과교육) 영역별 평가의 내용과 사회과(사회과교육) ...
사회과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 필요성과 특성, 사회과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 편성운...
사회과(교육) 탐구학습의 의미, 사회과(교육) 탐구학습의 전제조건, 사회과(교육) 탐구학습의...
사회과(사회과교육) 탐구학습의 정의와 조건, 사회과(사회과교육) 탐구학습의 기본과정과 적...
사회과(교육) 탐구학습의 개념, 사회과(교육) 탐구학습의 성격과 기능, 사회과(교육) 탐구학...
사회과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의 특징과 학습내용, 사회과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의 ...
사회과(사회과교육) 통합교육과정의 개념과 필요성, 사회과(사회과교육) 통합교육과정의 논의...
사회과(사회과교육) 목적, 사회과(사회과교육) 교육관과 정보화, 사회과(사회과교육) 수준별...
사회과학습(교육, 수업)의 기본방향과 형식, 사회과학습(교육, 수업) 수준별교육과정과 교수...
[사회과교육과정]사회과교육과정(사회교육과정)의 개정배경, 사회과교육과정(사회교육과정)의...
[사회과 교육과정]사회과 교육과정의 목표,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정...
[교육 사회학] 교육사회학의 학문적 성격과 교육사회학의 성립과 발전 과정(한국 교육사회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