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1.1연구목적
1.2오락프로그램이란?
2)본론
2.1형식의 변화
2.2진행자의 변화
2.3애드리브의 확장
2.4거친 표현에 무감각해진 시청자들
3)결론
*참고문헌
1.1연구목적
1.2오락프로그램이란?
2)본론
2.1형식의 변화
2.2진행자의 변화
2.3애드리브의 확장
2.4거친 표현에 무감각해진 시청자들
3)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용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그러나 그것이 이미 피폐한 삶이 되었다는 것을 부정하는 것은 굉장히 아이러니하고도, 동의하기 어려운 일이 될 것이다. 따라서 우리가 좀 더 나은 삶을 살기위해선 언어생활도 달라질 필요가 있다.
일상에서 쓰는 자연스러운 언어들에는, 비록 고식적이고, 현학적인 표현이 아니라고 할지라도 훨씬 더 듣기 좋으면서도 재미있는 표현들이 많다. 그런 것들을 더 많이 쓰려는 노력은 일반인들도 물론이지만 방송에서 더 많이, 적극적으로 해줘야 한다.
3. 결론
오락프로그램은 남녀노소 불문하고 누구나 좋아하는 장르이고, 이러한 사실은 오락프로그램의 높은 시청률만 보아도 짐작할 수 있다.
이렇듯, 인기가 높은 만큼 오락프로그램의 영향은 수많은 사람들에게 미칠 수 있으며, 때문에 오락프로그램을 보면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싶어 하는 많은 사람들이 있다는 것을 오락프로그램은 절대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만약에 방송관계자들, 즉, 출현자들이나 제작진들이, 지금 우리 시청자들이 내 가족이라는 생각을 한다면, 기왕 보여주는 것, 기왕 들려주는 것, 보다 좋은 내용으로 사람들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며 오히려 더 편하게 접할 수 있는 내용으로 방송을 만들고자 노력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그렇다면 이러한 문제는 생각보다 쉽게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방송을 통해서 시청자들은 어떠한 표현에 익숙해져 가는 것이라고 생각해볼 수 있다. 그래서 시청자 입장에서는 다양한 표현이 나오는 방송이 훨씬 더 좋은 것이고, 그렇기에 시청자들도 일상생활에서 할 수 있는 다양한 표현을 배울 수 있는 수단으로써 방송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방송이 지금 나에게 재미만 주고 있으면 어떤 표현을 하든 무슨 상관이 있어’ 라는 생각은 결국 자신의 삶을 고려하지 않은 무책임한 접근이 아닐까 생각한다.
물론 오락프로그램의 언어와 보도나 교양프로그램의 언어를 같은 잣대로 재는 데는 무리가 있다. 하지만 잘못된 표현을 걸러내는 노력을 해야 하는 공중파 방송의 책임이 오락프로그램이라고 예외가 될 수는 없을 것이다.
특히 오락프로그램은 어린이나 청소년들이 많이 시청하는 장르라는 것을 꼭 명심하고, 오락프로그램의 표현이 거칠다는 지적과 조언들이 많이 늘어났다는 사실을 심각하게 생각해봐야 하겠다.
오락프로그램이 자유로운 형식 속에서 애드리브가 주는 재미를 포기할 수 없다면, 우선 출현자들 스스로 거친 언어를 자제하고 자신의 말 표현을 돌아보는 자세를 가져야 할 것이다. 방송사 역시 제작진과 출현자에게 넘지 말아야할 표현 수위에 대해 끊임없이 교육하는 기회를 마련하는 것이 좋겠다.
그리고 시청자는 오락프로그램을 너무 관대하게 바라보기보다는 좀 더 유쾌한 웃음을 웃을 권리가 있다는 것을 적극적으로 보여주는 노력을 잊지 말아야 하겠다. 모두가 이를 위해 조금씩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준다면 분명 오락프로그램은 아름다운 말로도 충분히 웃음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을 것이다.
0참고문헌0
-논문
강준만, 「연예오락프로그램의 공공성과 오락성」,방송문화연구, 한국방송공사, 1993
김재화, 「코미디 프로그램의 폭력성과 선정성이 청소년 가치관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 신문방송대학원, 2003
-기사
www.naver.com 용어사전 홈 > 매스컴용어 > 아> 오락 프로그램
<저작권자ⓒ '리얼타임 연예속보,스타의 모든 것' 스타뉴스>- 김현록기자
서병기 대중문화전문기자(wp@heraldm.com)
김미경기자 chaplin7@seoul.co.kr
디지털뉴스팀 newsinfo@hankyung.com
<저작권자ⓒ '리얼타임 연예속보,스타의 모든 것' 스타뉴스>-김태은기자
일상에서 쓰는 자연스러운 언어들에는, 비록 고식적이고, 현학적인 표현이 아니라고 할지라도 훨씬 더 듣기 좋으면서도 재미있는 표현들이 많다. 그런 것들을 더 많이 쓰려는 노력은 일반인들도 물론이지만 방송에서 더 많이, 적극적으로 해줘야 한다.
3. 결론
오락프로그램은 남녀노소 불문하고 누구나 좋아하는 장르이고, 이러한 사실은 오락프로그램의 높은 시청률만 보아도 짐작할 수 있다.
이렇듯, 인기가 높은 만큼 오락프로그램의 영향은 수많은 사람들에게 미칠 수 있으며, 때문에 오락프로그램을 보면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싶어 하는 많은 사람들이 있다는 것을 오락프로그램은 절대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만약에 방송관계자들, 즉, 출현자들이나 제작진들이, 지금 우리 시청자들이 내 가족이라는 생각을 한다면, 기왕 보여주는 것, 기왕 들려주는 것, 보다 좋은 내용으로 사람들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며 오히려 더 편하게 접할 수 있는 내용으로 방송을 만들고자 노력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그렇다면 이러한 문제는 생각보다 쉽게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방송을 통해서 시청자들은 어떠한 표현에 익숙해져 가는 것이라고 생각해볼 수 있다. 그래서 시청자 입장에서는 다양한 표현이 나오는 방송이 훨씬 더 좋은 것이고, 그렇기에 시청자들도 일상생활에서 할 수 있는 다양한 표현을 배울 수 있는 수단으로써 방송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방송이 지금 나에게 재미만 주고 있으면 어떤 표현을 하든 무슨 상관이 있어’ 라는 생각은 결국 자신의 삶을 고려하지 않은 무책임한 접근이 아닐까 생각한다.
물론 오락프로그램의 언어와 보도나 교양프로그램의 언어를 같은 잣대로 재는 데는 무리가 있다. 하지만 잘못된 표현을 걸러내는 노력을 해야 하는 공중파 방송의 책임이 오락프로그램이라고 예외가 될 수는 없을 것이다.
특히 오락프로그램은 어린이나 청소년들이 많이 시청하는 장르라는 것을 꼭 명심하고, 오락프로그램의 표현이 거칠다는 지적과 조언들이 많이 늘어났다는 사실을 심각하게 생각해봐야 하겠다.
오락프로그램이 자유로운 형식 속에서 애드리브가 주는 재미를 포기할 수 없다면, 우선 출현자들 스스로 거친 언어를 자제하고 자신의 말 표현을 돌아보는 자세를 가져야 할 것이다. 방송사 역시 제작진과 출현자에게 넘지 말아야할 표현 수위에 대해 끊임없이 교육하는 기회를 마련하는 것이 좋겠다.
그리고 시청자는 오락프로그램을 너무 관대하게 바라보기보다는 좀 더 유쾌한 웃음을 웃을 권리가 있다는 것을 적극적으로 보여주는 노력을 잊지 말아야 하겠다. 모두가 이를 위해 조금씩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준다면 분명 오락프로그램은 아름다운 말로도 충분히 웃음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을 것이다.
0참고문헌0
-논문
강준만, 「연예오락프로그램의 공공성과 오락성」,방송문화연구, 한국방송공사, 1993
김재화, 「코미디 프로그램의 폭력성과 선정성이 청소년 가치관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 신문방송대학원, 2003
-기사
www.naver.com 용어사전 홈 > 매스컴용어 > 아> 오락 프로그램
<저작권자ⓒ '리얼타임 연예속보,스타의 모든 것' 스타뉴스>- 김현록기자
서병기 대중문화전문기자(wp@heraldm.com)
김미경기자 chaplin7@seoul.co.kr
디지털뉴스팀 newsinfo@hankyung.com
<저작권자ⓒ '리얼타임 연예속보,스타의 모든 것' 스타뉴스>-김태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