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건강신념모형(THE HEALTH BELIEF MODEL)의 개념
1) 건강신념모형의 발달과정
2) 건강신념모형의 특징
3) 건강신념모형의 5가지 주요개념
① 질병에 대한 인지된 감수성 (Perceived Susceptability) ② 인지된 질병의 심각성 (Perceived Seriousness)
③ 행위에 대한 인지된 혜택 (Perceived Benefits)
④ 행위 수행에 대한 인지된 장애 (Perceived Barriers)
⑤ 행위를 위한 중재 (Cues to Action)
Ⅲ.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한 의료이용 행위
1) 관상동맥 질환자
2) 고혈압 질환자
Ⅳ. 결 론
※ 참 고 문 헌
Ⅱ. 건강신념모형(THE HEALTH BELIEF MODEL)의 개념
1) 건강신념모형의 발달과정
2) 건강신념모형의 특징
3) 건강신념모형의 5가지 주요개념
① 질병에 대한 인지된 감수성 (Perceived Susceptability) ② 인지된 질병의 심각성 (Perceived Seriousness)
③ 행위에 대한 인지된 혜택 (Perceived Benefits)
④ 행위 수행에 대한 인지된 장애 (Perceived Barriers)
⑤ 행위를 위한 중재 (Cues to Action)
Ⅲ.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한 의료이용 행위
1) 관상동맥 질환자
2) 고혈압 질환자
Ⅳ. 결 론
※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에서 고혈압 관련특성에 관한 질문은 유병기간, 약물복용기간, 최근 혈압인지여부, 약물부작용 경험, 합병증 경험, 고혈압관련 교육경험, 약물중단 경험, 약물 재복용 경험으로 구성된 9문항이다.
지각된 민간성은 고혈압 재상승 가능성, 고혈압증상의 악화 및 재발가능성, 합병증 재발가능성, 증상 재발가능성의 4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점수는 1점 척도로서 최저 1점에서 최고 4점이며 점수가 높은 수록 지각된 민감성이 높은 것으로 보았고, 지각된 심각성은 고혈압으로 인한 수명단축 가능성, 사회생활, 가정생활, 성생활, 일상생활의 의욕감 상실여부로 구성된 5문항으로 점수는 1점 척도로 측정하며 최저 1점에서 최고 5점으로서 점수가 높을수록 지각된 심각성이 높은 것으로 보았다.
지각된 유익성은 약물요법 후 정상 혈압조절과 유지, 고혈압 증상완화, 합병증 예방과 재발 방지, 심리적 안정, 가정생활사회생활의 원만함, 일상생활의 의욕상승 가능성의 6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측정은 1점 척도이며, 최저 1점에서 최고 6점으로서 점수가 높을수록 지각된 유익성이 높은 것으로 보았다.
지각된 장애성은 약물요법 이행으로 인해 대상자가 지각하는 약물복용, 경제적 부담감, 복용의 복잡성, 복용의 장기성, 시간적 손실, 주위시선의 부담감으로 구성된 6문항이며, 점수는 1점 척도이며, 최저 1점에서 최고 6점으로서 점수가 높을수록 지각된 장애성이 높은 것으로 보았다.
면담 대상자와의 면담 결과 지각된 민감성은 13점이였고, 심각성은 15점, 유익성은 18점, 장애성은 11점으로 지각된 장애성이 가장 낮았다.
Ⅳ. 결 론
면담자를 통해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정기적인 검진을 받지 않고 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의료기술이 발전하면서 치료할 수 있는 질병이 많이 늘어났지만 평소에 자신의 건강관리를 잘 하지 못해 치료 할 수 있는 병임에도 불구하고 치료를 받지 못하고 사망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러한 불행을 겪지 않기 위해서는 평소에 정기적인 검진과 운동, 올바른 식습관 등이 중요하다.
게다가 만성질환은 스스로 자신의 건강관리를 수행해야 하므로 질병에 대한 지식과 건강신념의 변화로 위험인자 교정을 위한 환자역할 행위의 이행이 필요하다. 환자들의 치료에 있어서 자신의 질병관리에 대한 지식정도가 중요하다. 처방된 치료 지시를 잘 이행하고 건강 유지와 재발예방을 위한 자가 조절을 잘 하기 위해서는 먼저 자신의 질병에 대해 잘 알고 처방된 치료지시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양호한 건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신체적, 정신적 그리고 사회적으로 자신의 복지적 측면에서 최고의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자기 자신의 생활양식(life style)에서의 건강관리와 사회의 건강을 위한 복지정책, 의료시설 그리고 경제여건이 복합적으로 잘 관리되어야만 한다.
※ 참 고 사 이 트
네이버
네이버 지식인
http://blog.naver.com/hanel2004?Redirect=Log&logNo=140004217916
※ 참고자료- 면담사진
1) 관상동맥 질환자(이봉이씨)
2) 고혈압질환자(조정희씨)
지각된 민간성은 고혈압 재상승 가능성, 고혈압증상의 악화 및 재발가능성, 합병증 재발가능성, 증상 재발가능성의 4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점수는 1점 척도로서 최저 1점에서 최고 4점이며 점수가 높은 수록 지각된 민감성이 높은 것으로 보았고, 지각된 심각성은 고혈압으로 인한 수명단축 가능성, 사회생활, 가정생활, 성생활, 일상생활의 의욕감 상실여부로 구성된 5문항으로 점수는 1점 척도로 측정하며 최저 1점에서 최고 5점으로서 점수가 높을수록 지각된 심각성이 높은 것으로 보았다.
지각된 유익성은 약물요법 후 정상 혈압조절과 유지, 고혈압 증상완화, 합병증 예방과 재발 방지, 심리적 안정, 가정생활사회생활의 원만함, 일상생활의 의욕상승 가능성의 6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측정은 1점 척도이며, 최저 1점에서 최고 6점으로서 점수가 높을수록 지각된 유익성이 높은 것으로 보았다.
지각된 장애성은 약물요법 이행으로 인해 대상자가 지각하는 약물복용, 경제적 부담감, 복용의 복잡성, 복용의 장기성, 시간적 손실, 주위시선의 부담감으로 구성된 6문항이며, 점수는 1점 척도이며, 최저 1점에서 최고 6점으로서 점수가 높을수록 지각된 장애성이 높은 것으로 보았다.
면담 대상자와의 면담 결과 지각된 민감성은 13점이였고, 심각성은 15점, 유익성은 18점, 장애성은 11점으로 지각된 장애성이 가장 낮았다.
Ⅳ. 결 론
면담자를 통해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정기적인 검진을 받지 않고 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의료기술이 발전하면서 치료할 수 있는 질병이 많이 늘어났지만 평소에 자신의 건강관리를 잘 하지 못해 치료 할 수 있는 병임에도 불구하고 치료를 받지 못하고 사망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러한 불행을 겪지 않기 위해서는 평소에 정기적인 검진과 운동, 올바른 식습관 등이 중요하다.
게다가 만성질환은 스스로 자신의 건강관리를 수행해야 하므로 질병에 대한 지식과 건강신념의 변화로 위험인자 교정을 위한 환자역할 행위의 이행이 필요하다. 환자들의 치료에 있어서 자신의 질병관리에 대한 지식정도가 중요하다. 처방된 치료 지시를 잘 이행하고 건강 유지와 재발예방을 위한 자가 조절을 잘 하기 위해서는 먼저 자신의 질병에 대해 잘 알고 처방된 치료지시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양호한 건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신체적, 정신적 그리고 사회적으로 자신의 복지적 측면에서 최고의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자기 자신의 생활양식(life style)에서의 건강관리와 사회의 건강을 위한 복지정책, 의료시설 그리고 경제여건이 복합적으로 잘 관리되어야만 한다.
※ 참 고 사 이 트
네이버
네이버 지식인
http://blog.naver.com/hanel2004?Redirect=Log&logNo=140004217916
※ 참고자료- 면담사진
1) 관상동맥 질환자(이봉이씨)
2) 고혈압질환자(조정희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