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의 Open API & Source 전략 - MOD GAME 과의 비교로 알아 본 'Daum DNA Project'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Daum의 Open API & Source 전략
- MOD GAME 과의 비교로 알아 본 \'Daum DNA Project\'


1. 포털 사이트는 그 태동에서부터 지금까지 변화를 거듭해 왔다

2. 현재, 가히 플랫폼 전쟁 속 플랫폼 리더가 되고자 하는 움직임 속에서 수직적 분화 (vertical Disintegration)는 세계적인 현상이다.
 (1) 모듈 체계(module system)
 (2)게임개발 툴(Game Development toolkit)
 (3)유저 커뮤니티(User Community) : 집합적 혁신자(Collective innovator)
 (4) MOD 게임의 개발과 통제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5) MOD 게임의 상품 플랫폼간의 경쟁

3. \'Daum DNA(Developers Network and Affiliates)\'에서 추구하는 바는 위에서 밝혔듯이 ‘다음커뮤니케이션과 함께 하는 서드파티(3rd Party) 개발자를 지원하고 기술 파트너쉽을 육성하기 위함’ 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4. 시장이 형성되고 그 시장이 성숙하면 지배적인 설계가 나타난다.

본문내용

반 데스크톱 플랫폼을 개발 및 제공하는 오픈 소스 커뮤니티.
(인적 지원 및 마케팅 활동 지원.)
한국 TeX 사용자 그룹 : http://www.ktug.or.kr 국내 TeX(수학, 자연과학, 공학 분야의 문서를 조판하기 위해 가장 널리 쓰이는 프로그램)및 LaTeX(Tex를 기반으로 한 매크로 패키지) 사용자 모임.
(커뮤니티 서버에 대한 호스팅을 지원.)
태터툴즈 : tstory.com 오픈 소스로 개발되는 설치형 블로그 도구.
(Tistory.com을 통해 일반 이용자 들이 쉽게 오픈 소스인 태터툴즈를 사용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
이러한 직, 간접적 후원은 곧 Open Source의 전체적 환경 조성을 위한 장기적 투자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이는 Open Source로 탄생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의 기반을 위한 투자이기도 하며, 곧 Open Source체제에서의 경쟁력을 갖추는 길인 것이다.
4.
시장이 형성되고 그 시장이 성숙하면 지배적인 설계가 나타난다. 지배적인 설계는 표준을 제시하며 이후 시장에 진입하는 상품은 그 표준에 따르게 된다. 그것은 점진적이고 누적적인 개선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른바 업그레이드(upgrade)라고 불리는 방식을 통해 계속적으로 진화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기존의 세부 기술을 발전시키는 점진적 혁신만으로는 차별화를 꾀하기 힘들다. 성장의 극대화, 이윤 극대화를 꾀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차별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어야 하고, 아키텍처 부문의 혁신이 필연적으로 요구된다.
현시점에서 본다면 인터넷은 지각변동이라고 할 만한 아키텍처 혁신에 휩싸여 있다. 예컨대, 웹 2.0이 그것이다. 아키텍처 혁신은 기존 기술에 수용자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여러 가지 부상적인 기술을 새롭게 조합하는 방식으로 기존 웹과 다른 모습을 가진다. 웹 2.0이라 불리는 웹 패러다임은 지금 누가 먼저 프로토 타입을 형성하여 지배적인 설계를 만들고 기존의 균형시장을 제압하여 새로운 생존 가치를 만들어낼 수 있느냐의 기점에 서 있는 것이다.
온라인 게임 산업의 구조적 혁신 모델의 성공인자와 Daum DNA 프로젝트가 표방하는 구조적 혁신 모델은 일단 프로토 타입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먼저 시장에 공통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든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앞서 온라인 게임의 구조적 특징으로 소프트웨어 부품화, 즉 모듈식 구조를 이야기하였다. 모듈식 구조는 기본적으로 시스템의 구조적 독립성과 기능적 통합성을 지향한다. 온라인 게임의 모듈식 구조는 모듈 간의 분해의 용이성과 다양한 재조합성으로 인해 시스템 상의 신축성, 개방성, 통합성이 고르게 가동될 수 있게 한다. Daum의 오픈 API 정책 역시 지향하는 바는 웹 2.0 기반 초기에 부상적인 플랫폼을 만들기 위한 모듈 제공에 다름 아니다. 웹 2.0의 화두가 UCC인 것을 보듯이, 조직의 용이성과 함께 유저에게 부여될 수 있는 설계 자유도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UCC라는 것도 유저 자신의 창조적 노력을 일정한 틀에 접목시키는 흐름으로 나아가고 있다. 인터넷 세계에서 무에서 유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모든 요소는 인터랙티브한 얼개 안에 존재한다. 인간이 웹 상에서 지능적인 행위를 하여 자기 컨텐츠를 생산한다고 하지만 그것은 자신의 방식을 설계에 불어넣는 것이다. 각 개인의 지능에 의한 부가가치를 생산하려면 설계의 틀이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Daum DNA 프로젝트는 온라인 게임의 경우와 같은 유저 커뮤니티와 집합적 혁신 개념이 아직까지는 활성화 되어 있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MMORPG의 특성상 유저들은 게임 내부의 캐릭터와 동일시하여 게임 내부의 사회를 형성한다. 소속감이라든가 사회 집단적 충족 개념이 거기에 적용된다. 그러나 Daum의 현재 상황은 개개인의 수용자에 주목하고 있는 수준으로 볼 수 있다. UCC 컨텐츠의 생산은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처럼 또 하나의 가상 사회를 형성하되 개인적 차원에서 시작한다. 스스로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한다. 개인적 아이덴티티와 자기표현의 양식인 것이다. 그러나 이런 개인적 수준의 컨텐츠 제작 수준 역시 점차적으로 게임 모델의 집합적 혁신자로 탈바꿈할 것으로 전망된다.
수용자 차원에서 일어나는 일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더 발전된 상태로 비교해 보아야 하겠지만, 공급자의 입장에서는 모두 시장지배적인 플랫폼이 되기를 원한다. 그것은 곧 경제적 효과에 반영되기 때문이다. 이 같은 플랫폼 구조의 경제적 효과는 게임 산업의 그것과 유사한 구조를 보인다. 우선 비용 감소의 측면이다. 오픈 API에 의한 플랫폼을 형성하는 경우 각기 다른 기능의 웹 사이트에 대한 개발 비용이 감소한다. 기존 소스에 변형된 컨텐츠가 대응하기 때문이다. 특정 모듈을 반복적으로 재사용함으로써 Daum의 여러 사업 부문에 따르는 개발의 중복투자를 피할 수 있다. 오픈 API는 초기에 거의 모든 비용이 발생한다. 게임 산업의 게임 엔진의 경우처럼 초기에 시간과 비용이 크게 소요된다. 그러나 모듈의 재사용이 이루어지는 단계부터는 규모의 경제가 실현된다. 만약 그것이 웹 전체의 혁신 개념이 부상하고 있는 현 시점의 상황이라면 더욱 극대화된다.
오픈 API에 의한 플랫폼 구조는 확산 속도에도 영향을 준다. 모듈식 구조는 초기에 소요된 비용을 후에 만회하는 방식을 취한다. 오픈 API도 UCC 컨텐츠 제작과 관련한 아키텍처를 만들기 위해 Daum이 만든 핵심적인 모델이었다. 현재 Daum은 기존 모듈의 재사용성이란 관점에서 기대한 성과를 거두고 있으며, 이는 소스 열람을 수적으로 제한하는 등 2차적인 개발자 통제의 단계까지 와 있다.
표준화의 가치 또한 무시할 수 없다. 오픈 API에 의해 형성된 플랫폼이 프로토타입 형성에 소기의 성과를 거둘 경우 공급자의 입장에서는 신규 기능을 첨가하거나 새로운 기술을 부과한다든가 설계의 질을 누적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수용자-공급자 간의 상생 효과를 적극적으로 누릴 수 있다. 표준화로 인해 Daum DNA 프로젝트가 제시한 UCC의 제작 소스가 하나의 규준(norm)으로 거듭난다면 이는 포털 사이트의 기업 가치를 증대시키는 요인임에 틀림없다.
  • 가격1,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8.11.14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18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