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차니즘과 폐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귀차니즘과 폐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귀차니즘과 폐인의 사전적 정의
1.2. 귀차니즘과 폐인에 대한 접근법

2. 귀차니즘에 대하여
2.1. 귀차니즘이라는 단어의 파생배경
2.2. 기존의 비슷한 뜻으로 사용되던 다른 단어와의 차이점
2.3. 귀차니즘을 실행하는 귀차니스트란?

3. 폐인에 대하여
3.1. 폐인이라는 단어에 대한 인식의 변환
3.2. 폐인이라고 불리는 사람들의 실체
3.2.1. 폐인은 왜 생겨났으며, 그들이 하는 일은?
3.2.2. 기성세대 입장에서 본 폐인

4. 현대사회 새로운 인간상의 키워드 귀차니즘과 폐인
4.1. 폐인과 귀차니즘의 상관관계
4.2. 새로운 현대 인간상에 대하여

5. 결론

본문내용

찾을 수 없는 그 무엇.
쥑자들은 그 무엇을 개벽이에게서 발견해 낸 것이다.
개벽이는 쥑자들의 영원한 친구이다.
2. 소피티아
쥑자들의 꿈에 등장, 잊지못할 그 모습에 잠 못들게 하는 미소녀 천사.
사건의 발단은 \'소울칼
리버\'라는 게임에 등장하는 미소녀 캐릭터를 코스프레한 사진이 공개되면서 부터였다.
소피티아의 옷을 입고 연기를 하는 이름모를 일본 소녀의 용모는 소피티아라 는
캐릭터 매니아들이 갖고있던 환상과 취향 그리고 욕망을 한순간에 깨트렸다.
상실감과 공허감으로 쥑자들에게 세상을 바라보는 새로운 눈을 제공한
소피티아 코스프레 소녀는 쥑자들의 영원한 연인이다.
3. 초난강
\"싸람을 해요. 쌀람을 해요.\"라고 노래하며 이상한 손모양을 내미는
빨간 볼터치를 한 저 마른 사내는 도대체 누구란 말인가?
그는 일본의 인기그룹SMAP의 쿠사나기 츠요시라는 사람으로
일본에서는 한때 아이돌 스타로 유명했던 사람이다.
월드컵을 계기로 그는 한국을 사랑하게 되었다며 발음되지 않는
한국어로 노래를 한다.
아이돌 스타, 적지않은 나이, 빨간 볼터치, 일본인, 한국 사랑.
이 어울리지 않는 단어들이 초난강이라는 한 사람에게 모여있고
그 경계들이 불분명해진다.
미소년과 성인의 경계가 무너지고, 남성스러움과 여성스러움의
경계가 무너지고, 일본 한국의 경계가 무너진다.
이 기묘한 매력과 공포는 쥑자들의 즐거움이다.
24시간 접속 인원이 넘쳐나기 때문에 답변은 순식간에 수십 개가 달리며, 첫 번째로 답변을 단 사람은 “1등“이라며 기뻐한다.
누군가 “휴대전화에 이상한 메시지가 왔소”라며 글씨가 깨진 채 수신된 문자메시지가 뜬 휴대전화를 디지털카메라로 찍어 올리면, “옆에 있는 모나미 볼펜 어디서 구했소?“ “스카이구려 메시지가 방법 당했구려“ 등의 답변을 올리는 식이다.
또한 이들은 자신들의 취미를 최대한 즐긴다. 디지털카메라(이하 디카) 폐인이 대표적인 예. 그들은 직접 찍은 사진이나 컴퓨터그래픽을 이용해 합성한 사진을 올리고 사진기술에 관해 정보를 나누는 게 주된 일이다. 몸에 난 종기의 사진을 찍어 올리면 의료계에 종사하는 \'디카폐인\'들이 병명이나 치료방법을 설명해줄 만큼 그들이 종사하는 분야도 다양하고 전문적이다.
장애인석에서 월드컵 한국-독일전을 관람해 물의를 일으킨 연예인 최모씨, 전모씨, 노모씨의 \'장애인석 관람장면\'이 촬영돼 올려진 것도 한 디카폐인 사이트다.
그리고 이들은 사이버상에서 새로운 문화를 창조한다. 신조어로 인기를 끌고 있는 \'아쥑쥑\'의 경우도 폐인들이 만들어낸 단어. 처음 접한 사람에게는 다소 황당하고 요상(?)하다고 생각되는 \'아쥑쥑\' 사용자들의 모임에는 사회 각층에서 전문가들로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아쥑쥑 사이트 게시판에 한명이 글을 올리면 첫번째로 답글을 올리는 것에 대해서도 집착한다.
폐인들은 며칠씩 컴퓨터를 대면한 채 각종 게시판에 의견을 피력하며 정치나 사회적 이슈를 공론화하고 강한 입김을 발휘하기도 한다.
월드컵 때는 몇몇 \'축구폐인\'들이 경기 스코어와 승패순위를 예언, 적중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또한 평소에 무관심하던 사회적 이슈도 나와 관련될 가능성이 높으면 엄청난 조직력을 보인다. 7월 서울대 인터넷 생활게시판(스누라이프)에 “40만원 이하를 받고는 과외를 하지 말자”는 게시물이 오르자 폐인들은 집단적으로 이 사이트를 ‘압박’(공격)해 사이트를 다운시켰다.
3.2.1. 기성세대 입장에서 본 폐인
역사 이래로 기성세대와 신세대의 갈등은 끊임없이 있었다. 현재 한국의 기성세대가 이해하기 힘든 젊은이들의 행태도 한 두 가지가 아니다. 그 가운데서도 대표적인 것이 폐인(廢人)이다. “폐인은 일반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8.11.16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23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