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신장의 구조 및 기능
1.구조
2.기능
만성신부전(CRF)
1.정의
2.원인
3.분류
4.병태생리 및 증상
5.간호중재
6.투석 대상자 간호
7.간호진단과 간호중재
1.구조
2.기능
만성신부전(CRF)
1.정의
2.원인
3.분류
4.병태생리 및 증상
5.간호중재
6.투석 대상자 간호
7.간호진단과 간호중재
본문내용
4회 실시
b.투약에 관한 정보제공
-투석대상자가 복용해야 할 필수약제: 수용성비타민, 철분제제, 인결합제, 칼슘보충제, 활성비타민D
항고혈압제
c.운동과 휴식 등 자가간호 활동
4)합병증
①저혈압: 가장 흔히 일어나는 합병증으로 투석중의 초여과를 통한 수분제거와 이로 인한 순환혈량
부족, Na 농도저하, 투석전 항고혈압제 투여 등으로 발생
②오심. 구토: 저혈압의 연계가 가장 심하며, 투석불균형증후군의 초기 증상이기도 하다
③근경련: 통증을 동반한 근육수축으로 주로 장딴지 근육이 잘 발생, 대부분 초여과로 체내수분이
상당히 빠져나간 투석끝 무럽에 발생하며 심한 경우에 투석후에 나타남
투석액의 염분농도가 낮은 경우 발생되며 특히 저혈압과 관련이 높다
④투석불균형증후군: 요소, Na와 같은 용질이 뇌척수액이나 뇌에서 제거되는 것 보다 혈액에서 빨리
제거되어 뇌세포의 삼투압이 높아져 뇌세포속으로 수분을 끌어당김 뇌부종
메스꺼움, 구토, 초조, 혼돈, 경련발작, 저혈압
⑤부정맥: 전해질의 빠른 변화, 특히 K변화로 발생
⑥외인성 합병증: 용혈, 색전증, 혈액누출, 감염, 혈전증, 저산소혈증
2.복막투석(peritoneal dialysis)
체액과 노폐물 제거에 확산과 초여과가 주요 기전으로 작용한다. 복막과 이에 인접한 모세혈관 내피세포 및 기저막을 반투막으로 사용하며 큰 용질, 단백질도 통과할 수 있다. 복막투석에서 수분제거는 투석액의 dextrose 농도에 의해 형성된 삼투압에 따라 수분제거량이 다른데 dextrose 농도는 1.5%, 2.5%, 4.25% 세가지가 있으며 4시간 dwell period로 1.5%는 200ml, 2.5%는 400ml, 4.25%는 700ml의 체액이 제거된다.
1)복막 도관의 유형
2)방법
①도관삽입: 배꼽아래 정중선 3-5cm 부위에 마취를 하고 카테타를 복강내에 장치
②투석의 절차
-투석액을 체온과 비슷한 온도로 데워 도관을 통해 빠르게 복강내로 주입(10분)
- 잠금장치를 잠근 후 복막강 내에서 삼투와 확산이 일어나도록 30-40분정도 정체시킴
-배액관의 잠금장치를 열어 투석액이 중력에 의해 천천히 배액되도록 함
-투석액의 유입량과 배액량을 측정
3)복막투석의 종류
①지속적 외래 복막투석(CAPD,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매회 4-8시간동안 투석액을 정체시켜 매일 4-5회씩 수동적으로 투석액을 주입, 유출
②지속적 순환 복막투석(CCPD, continuous cyclic peritoneal dialysis)
:낮에는 CAPD 밤에는 IPD를 병행함. 즉 밤에는 자동적 시간조절기를 사용하여 3-4회 투석하고
낮의 마지막 투석에서 복강내에 2l의 투석액을 남겨두고 밤에 자동적 시간조절기를 부착하여
낮에 남겨둔 투석액을 제거함
③간헐적 복막투석(IPD, intermittent peritoneal dialysis)
:CCPD와 동일한 투석기계를 사용하여 3-5회/주, 10-14시간 소요
수면을 취할 때 투석이 행해지며 투석액의 주입시간과 유출시간은 자동적 시간조절기에 의해 조절
4)간호중재
①V/S, B/W, blood chemistryu 사정
②카테타 삽입부위의 감염이나 누출 사정(발적, 통증, 삼출물, tenderness)
③복막염으로부터 보호
-투석동안 무균적 시술
-투석액의 탁도, 열, 오한 등 감염의 sign 관찰
-투석액의 배양검사
-항생제 사용
-카테터 부위 daily dressing
④대상자의 성공적인 복막투석
-체중 측정
-투석전 장과 방광을 비운다
-comfortable supine position
-배액량 기록: 배액량이 100-200ml 많아야 한다
-투석액의 정체가 나타나면 투석을 중지하고 의사에게 보고
⑤고혈압 예방
⑥교육
-복막투석에 대한 이해 및 관리
-무균술의 적용
-체중, BP 감시
-식이: Na K 수분 제한식이, 저알부민혈증시 고단백식이, 철분 보충
5)합병증
①감염: 복막염, 복막도관이 삽입된 피하터널 감염
②장과 방광 천공
③통증
④호흡장애: 복강내 압력이 증가하면서 횡격막 상승
⑤피부박탈
⑥체액부족 또는 과다
⑦마비성 장폐색: 투석액으로 인한 장 자극과 염증으로 발생
3. 혈액투석과 복막투석의 비교
혈 액 투 석
복 막 투 석
이용 반투막
인공 반투막
복막
장 점
수분과 전해질의 빠른 교정
수분과 전해질의 빠른 변화에 견
디지 못하는 환자에 유익
혈액손실 없음
즉시 투석이 가능함
단 점
불균형 증후군이 나타남
혈관통로가 필요함
혈액손실 가능성
동-정맥누관 만든 후 2-6주동안
기다려야 함
수분-전해질 불균형 교정이 느림
복막염 가능성
장천공, 방광천공 가능성
도관입구 및 도관삽입 터널의
감염 가능성
단 백 손 실
없음
있음
헤 파 린 투 여
전신적, 국소적으로 필요함
거의 필요 없음
적 응
복부유착이나 복막수술
혈액질환, 심혈관계 질환
비 용
비싸다
싸다
투석 1회 소요시간
4-5시간
다양
합 병 증
출혈, 체중증가
감염, 복막염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1)식욕부진, 오심으로 인한 영양부족
D: "입맛이 없어요."
A: ① 입맛에 맞는 적절한 식이를 계획한다.
② 소량씩 자주 먹도록 한다.
③ 꼭 필요한 영양소의 섭취에 대해 교육한다.
④ 처방에 따라 식욕촉진제를 투약한다.
⑤ 가능한 범위내에서 활동을 증가시킨다.
R: 적절한 영양상태 및 체중을 유지한다
(2)부종, 피부 건조 및 소양증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D: whole body, both leg edema checked
A: ① 피부의 긴장도, 습도를 사정한다.
② 피부를 깨끗하게 유지하고 필요시 보습제를 사용한다.
③ 순환이 저하되었거나 손상된 부위가 없는지 사정한다.
④ 부종이 있는 부위의 압력을 피한다.
R: 피부 통합성 장애가 발생하지 않는다.
(3)복막카테터 삽입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D: none
A: ① 카테터 삽입부위 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한다.
② 카테터 삽입 무균법을 적용한다.
③ 매일 카테터 삽입부위 드레싱을 한다.
④ 복막염의 증후/증상을 사정한다.
⑤ 체액 배양검사를 시행 후 결과를 사정한다.
R: 감염의 증상 증후 없이 투석이 유지된다.
b.투약에 관한 정보제공
-투석대상자가 복용해야 할 필수약제: 수용성비타민, 철분제제, 인결합제, 칼슘보충제, 활성비타민D
항고혈압제
c.운동과 휴식 등 자가간호 활동
4)합병증
①저혈압: 가장 흔히 일어나는 합병증으로 투석중의 초여과를 통한 수분제거와 이로 인한 순환혈량
부족, Na 농도저하, 투석전 항고혈압제 투여 등으로 발생
②오심. 구토: 저혈압의 연계가 가장 심하며, 투석불균형증후군의 초기 증상이기도 하다
③근경련: 통증을 동반한 근육수축으로 주로 장딴지 근육이 잘 발생, 대부분 초여과로 체내수분이
상당히 빠져나간 투석끝 무럽에 발생하며 심한 경우에 투석후에 나타남
투석액의 염분농도가 낮은 경우 발생되며 특히 저혈압과 관련이 높다
④투석불균형증후군: 요소, Na와 같은 용질이 뇌척수액이나 뇌에서 제거되는 것 보다 혈액에서 빨리
제거되어 뇌세포의 삼투압이 높아져 뇌세포속으로 수분을 끌어당김 뇌부종
메스꺼움, 구토, 초조, 혼돈, 경련발작, 저혈압
⑤부정맥: 전해질의 빠른 변화, 특히 K변화로 발생
⑥외인성 합병증: 용혈, 색전증, 혈액누출, 감염, 혈전증, 저산소혈증
2.복막투석(peritoneal dialysis)
체액과 노폐물 제거에 확산과 초여과가 주요 기전으로 작용한다. 복막과 이에 인접한 모세혈관 내피세포 및 기저막을 반투막으로 사용하며 큰 용질, 단백질도 통과할 수 있다. 복막투석에서 수분제거는 투석액의 dextrose 농도에 의해 형성된 삼투압에 따라 수분제거량이 다른데 dextrose 농도는 1.5%, 2.5%, 4.25% 세가지가 있으며 4시간 dwell period로 1.5%는 200ml, 2.5%는 400ml, 4.25%는 700ml의 체액이 제거된다.
1)복막 도관의 유형
2)방법
①도관삽입: 배꼽아래 정중선 3-5cm 부위에 마취를 하고 카테타를 복강내에 장치
②투석의 절차
-투석액을 체온과 비슷한 온도로 데워 도관을 통해 빠르게 복강내로 주입(10분)
- 잠금장치를 잠근 후 복막강 내에서 삼투와 확산이 일어나도록 30-40분정도 정체시킴
-배액관의 잠금장치를 열어 투석액이 중력에 의해 천천히 배액되도록 함
-투석액의 유입량과 배액량을 측정
3)복막투석의 종류
①지속적 외래 복막투석(CAPD,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매회 4-8시간동안 투석액을 정체시켜 매일 4-5회씩 수동적으로 투석액을 주입, 유출
②지속적 순환 복막투석(CCPD, continuous cyclic peritoneal dialysis)
:낮에는 CAPD 밤에는 IPD를 병행함. 즉 밤에는 자동적 시간조절기를 사용하여 3-4회 투석하고
낮의 마지막 투석에서 복강내에 2l의 투석액을 남겨두고 밤에 자동적 시간조절기를 부착하여
낮에 남겨둔 투석액을 제거함
③간헐적 복막투석(IPD, intermittent peritoneal dialysis)
:CCPD와 동일한 투석기계를 사용하여 3-5회/주, 10-14시간 소요
수면을 취할 때 투석이 행해지며 투석액의 주입시간과 유출시간은 자동적 시간조절기에 의해 조절
4)간호중재
①V/S, B/W, blood chemistryu 사정
②카테타 삽입부위의 감염이나 누출 사정(발적, 통증, 삼출물, tenderness)
③복막염으로부터 보호
-투석동안 무균적 시술
-투석액의 탁도, 열, 오한 등 감염의 sign 관찰
-투석액의 배양검사
-항생제 사용
-카테터 부위 daily dressing
④대상자의 성공적인 복막투석
-체중 측정
-투석전 장과 방광을 비운다
-comfortable supine position
-배액량 기록: 배액량이 100-200ml 많아야 한다
-투석액의 정체가 나타나면 투석을 중지하고 의사에게 보고
⑤고혈압 예방
⑥교육
-복막투석에 대한 이해 및 관리
-무균술의 적용
-체중, BP 감시
-식이: Na K 수분 제한식이, 저알부민혈증시 고단백식이, 철분 보충
5)합병증
①감염: 복막염, 복막도관이 삽입된 피하터널 감염
②장과 방광 천공
③통증
④호흡장애: 복강내 압력이 증가하면서 횡격막 상승
⑤피부박탈
⑥체액부족 또는 과다
⑦마비성 장폐색: 투석액으로 인한 장 자극과 염증으로 발생
3. 혈액투석과 복막투석의 비교
혈 액 투 석
복 막 투 석
이용 반투막
인공 반투막
복막
장 점
수분과 전해질의 빠른 교정
수분과 전해질의 빠른 변화에 견
디지 못하는 환자에 유익
혈액손실 없음
즉시 투석이 가능함
단 점
불균형 증후군이 나타남
혈관통로가 필요함
혈액손실 가능성
동-정맥누관 만든 후 2-6주동안
기다려야 함
수분-전해질 불균형 교정이 느림
복막염 가능성
장천공, 방광천공 가능성
도관입구 및 도관삽입 터널의
감염 가능성
단 백 손 실
없음
있음
헤 파 린 투 여
전신적, 국소적으로 필요함
거의 필요 없음
적 응
복부유착이나 복막수술
혈액질환, 심혈관계 질환
비 용
비싸다
싸다
투석 1회 소요시간
4-5시간
다양
합 병 증
출혈, 체중증가
감염, 복막염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1)식욕부진, 오심으로 인한 영양부족
D: "입맛이 없어요."
A: ① 입맛에 맞는 적절한 식이를 계획한다.
② 소량씩 자주 먹도록 한다.
③ 꼭 필요한 영양소의 섭취에 대해 교육한다.
④ 처방에 따라 식욕촉진제를 투약한다.
⑤ 가능한 범위내에서 활동을 증가시킨다.
R: 적절한 영양상태 및 체중을 유지한다
(2)부종, 피부 건조 및 소양증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D: whole body, both leg edema checked
A: ① 피부의 긴장도, 습도를 사정한다.
② 피부를 깨끗하게 유지하고 필요시 보습제를 사용한다.
③ 순환이 저하되었거나 손상된 부위가 없는지 사정한다.
④ 부종이 있는 부위의 압력을 피한다.
R: 피부 통합성 장애가 발생하지 않는다.
(3)복막카테터 삽입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D: none
A: ① 카테터 삽입부위 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한다.
② 카테터 삽입 무균법을 적용한다.
③ 매일 카테터 삽입부위 드레싱을 한다.
④ 복막염의 증후/증상을 사정한다.
⑤ 체액 배양검사를 시행 후 결과를 사정한다.
R: 감염의 증상 증후 없이 투석이 유지된다.
추천자료
간호이론3A] 가즈다의 대인관계이론과 관련해 작성. 대인관계이론의 주요 개념에 대해 간략히...
[성인간호학][투석간호][투석간호과정]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간호이론D형]압델라의 환자중심간호접근법과 관련해 작성하시오-<주요개념, 만성질환자 1인...
[성인간호학 공통] 당뇨병의 분류와 당뇨병 환자의 일반적인 치료 중재 및 당뇨병 환자들에게...
성인간호학 ESRD (End Stage Renal Disease 말기 신장질환) 간호과정 케이스스터디 CaseStudy
간호이론,B형. 매슬로(매슬로우/Maslow)의 욕구위계론과 관련해 작성하시오.욕구 위계론의 주...
(간호이론 C형) 오렘의 8가지 보편적 자기간호필수요소 이론을 정리하고 개념을 적용하여 대...
<성인간호학>간호사 국가고시 요약
결핵간호(병태생리, 분류법, 검사, 약물요법, 간호과정, 예방접종)
간호표준, 간호표준정의, 간호표준유형, 간호표준필요성, 간호표준을위한노력, 간호표준발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