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벅스커피코리아 입지선정전략.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스타벅스 소개
2. 스타벅스의 기업 목표
3. 스타벅스 커피& 스타벅스 커피 코리아 연혁

Ⅱ. 본론
1. 스타벅스커피 코리아의 주요고객층 분석
2. 스타벅스커피 코리아의 입지선정전략 “선택과 집중전략”
3. 매출액과 점포수 그리고 브랜드 순위
4. 스타벅스 코리아의 대표적인 입점 선정 전략 성공사례-명동점

Ⅲ. 결론
1. 스타벅스의 현 상황
2. 향후 스타벅스가 나아가야할 방향

본문내용

'스타벅스 순익 100억 돌파'의 명암
기부금 매출대비 0.07% 불과… "쥐꼬리" 기부금 지적
스타벅스커피코리아가 지난 1997년 한국법인 설립후 10년 만에 처음으로 월 평균 매출과 연간 당기순이익 모두 100억원을 돌파했다.
거침없는 성장에 힘입어 미국 본사로 나가는 권리금(로열티)도 급증하고 있다. 반면 한국 사회에 남기는 기부금은 '쥐꼬리' 수준이라는 지적도 있다.
3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스타벅스코리아는 지난해 매출액 1344억원, 영업이익 167억원, 순이익 126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률은 12%, 당기순이익 증가율은 무려 38%에 달했다. 이 회사는 전년도인 2006년에는 매출액 1094억원, 영업이익 140억원, 순이익 91억원을 달성했다.
현재 ㈜신세계(580,000원 1,000 -0.2%)와 미국법인인 스타벅스 커피 인터내셔널(Starbucks Coffee International, Inc.)이 주식을 각각 50%씩 소유하고 있는 스타벅스코리아는 1999년 1호점인 이대점을 연 이래 9년 만에 전국 30개 시군에 241개(3월31일 현재) 매장을 운영하며 빠르게 성장해 왔다.
3월 현재 스타벅스의 뒤를 이어 경쟁사인 할리스는 132개, 커피빈은 122개, 롯데리아의 엔제리너스커피는 100개의 점포를 운영 중이다.
스타벅스는 ‘커피가 아닌 문화를 판다’는 마케팅 콘셉트로 20~30대 젊은층의 소비심리를 자극, 성장세를 이어왔다.
스타벅스코리아의 매출이 늘어날 수록 미국 본사가 가져가는 로열티 수입도 급증하고 있다. 지난 2004년 38억원에 불과하던 스타벅스코리아의 로열티 지출이 3년만인 지난해 두 배에 육박하는 70억원 가까이 껑충 뛰어오른 것으로 추정됐다.
지난해 스타벅스커피코리아의 기부금은 매출액의 0.07%인 8824만원에 불과했다. 국내 상장사들의 매출액비중 기부금 비율(0.21%, 2006년 기준)과 비교하면 3분의 1수준에 불과하다.
특히 미국 스타벅스 본사와 비교하면 차이는 더욱 벌어진다. 지난 2005 회계연도중 이뤄진 미국 스타벅스 본사가 사회단체 등에 제공한 현금과 물품 지원 규모가 3030만달러, 세전 순익의 3.8%에 달했다. 스타벅스코리아는 세전 순익(162억원)의 0.5%를 기부한 것과 대조적이다.
우리나라에서 파는 스타벅스 커피의 카페라떼가 미국이나 일본에 비해 1000원가량 비싸게 팔리고 있다는 비판여론도 있다.
이에 대해 박찬희 스타벅스코리아 홍보팀장은 “지난해 직원 모금액을 포함하면 이익의 4%선인 5억2000만원 정도를 사회공헌에 기여했다”고 말했다.
c. 스타벅스의 광고 전략
미국에서 이미 판매된 스타벅스CD 제작이나 커피 등에 관련된 brochure를 만들어 사람들의 궁금증도 풀어 주고, 커피에 대한 관심을 끌어 줄 수 있다. 또 영화나 드라마에 삽입하는 PPL 광고를 적극 활용한다. 세가프레도는 아름다운 날들이라는 드라마에서 이병헌과 최지우가 만나는 장소로 나와서 광고 효과를 크게 본 경우가 있다. You‘ve got mail 이나 오스틴 파워에서 Starbucks가 나온 적이 있는데, 오스틴 파워의 경우 Starbucks의 고급적이고 지적인 이미지와 맞지 않아 오히려 역효과를 낼 수 있다. 그래서 Starbucks와의 이미지가 맞는 선별된 영화를 공략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사례로 요즘 개봉한 ‘I Am SAM'을 들 수 있다. 스타벅스는 9월 3일 매장 방문 손님에게 시사회 티켓을 나눠 주었고, 10월까지 영화 티켓을 가지고 온 사람들에겐, 무료로 음료수를 나누어주었다고 한다. 또 영화에서 SAM의 직장으로 등장하는 등 배급업체와 손잡고 영화 마케팅(PPL-재품노출방식)을 하고 있다. (2002년 10월 4일 한국경제)
몇 년 전에 한국 스타벅스 홈페이지가 만들어 졌는데, 홈페이지를 개설해서 스타벅스에 관련된 내용, 혹은 커피를 맛있게 마시는 법, 만드는 법 등에 대한 소개를 하여 인터넷을 적극 활용하는 좋은 마케팅 활동이다. 홈페이지 내에 커뮤니티를 구성하여 커피를 좋아하는 사람들 간에 유대감을 만들어 주어 스타벅스와의 친밀함과 생활 속의 스타벅스라는 이미지를 키울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또 Equipment 판매를 on-line 과 off-line에서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커피 머신이나 원두를 슈퍼에서 쉽게 구입할 수 없기 때문에 시장이 매우 크다. 이를 통해 마진면 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보고, 커피 문화를 만드는데도 일조를 할 수 있다.
② 글로벌 기업으로서 스타벅스의 미래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스타벅스는 현재 미국 시장의 포화라는 상황에서 해외 시장 진출에 역점을 두고 있다. 그리고 지금까지 해외 시장, 특히 아시아 시장에서 커다란 성공을 거두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해외 시장에서의 성공이 과연 스타벅스가 Mission에서 제시한 가치들과 일관선상에서 이루어졌다고 볼 수는 없다. 한국 시장을 예로 들자면, 한국 스타벅스에서는 매장이 대도시 중심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스타벅스 점포 안에서 커피와 함께 편안한 휴식을 기대할 수 없다. 그리고 바리스타와의 친밀한 관계도 쉽게 접할 수 없는 가치이다. 현재 스타벅스가 커피 문화가 저변에 깔려있지 않은 지역(아시아)에서 거둔 성공은 단순히 미국에서 제일 유명한 커피 브랜드라는 유명세에 기인한 것이 크다. 이러한 시장에서 스타벅스가 진정으로 성공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가치인 최고의 커피를 경험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참고자료>
1. 국회도서관 http://www.nanet.go.kr/
2. 김영한, 스타벅스 감성 마케팅, 넥서스(2003), 서울
3. 네이버 백과 사전 http://dic.naver.com/
4. 맹명관, 스타벅스 100호점의 숨겨진 비밀, 비전코리아(2005), 서울
5. 조셉 미첼리, 스타벅스 사람들(세계 최고의 브랜드를 만든 스타벅스 리더십을 결정체, 명진 출판사(2007), 서울
6. 하워드 슐츠, 스타벅스, 커피 한 잔에 담신 성공 신화, 김영사(2005)
7. 한국 경제 http://www.hankyung.com/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8.11.21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39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