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건강 간호학에 적용되는 이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1절 간호이론
□ 건강관리 전문직인 간호학
□ 간호이론과 개념적 틀
1. Roy 적응이론
2. Orem의 자가 간호 이론
3. Leininger의 횡문화 간호이론

제2절 가족 이론
1. 가족의 개념
2. 가족 이론
1) 구조-기능 이론(the structural-functional approach)
2) 가족발달 이론 : 가족발달 이론은 가족의 자연사 혹은 가족 주기를 관찰한 것이다.
3. 체계이론
1. 체계이론의 기본개념
2. 가족체계(Family system)
3. 건강한 가족의 특성
4. 가족상호작용이론

제3절 여성주의 이론
1. 초기 여성주의 이론
2. 자유적 여성주의 이론
3. 사회적 여성주의 이론
4. 문화적 여성주의 이론
5. 급진적 여성주의 이론
▣ 다양한 여성주의 이론의 공통적인 관심

본문내용

에 대한 개념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따라서 가족은 진공상태에서 움직이고 자기 억제적 존재라는 제한점을 가진다. 이는 가족은 끊 임없이 외부세계와 활발한 상호작용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가족간호 : 간호사의 주된 관심은 전체로서의 가족과 가족 구성원이 어떻게 서로 상호 작용하는가이다. 이것은 가족의 의사소통, 역할, 의사결정, 문제해결방법을 설명하고 사정 하는데 대단히 유용하고 고립되어 있거나 가족 구성원간의 관계가 어려울 가능성이 있는 가족에게 특히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가족과 환경이 접촉하는 면(face)은 포괄적인 가족간호를 위한 사정(assessment)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부분이다.
제3절 여성주의 이론
역사적으로 간호직과 여성주의와의 관계를 볼 때 불편한 동맹관계였다고 말한다. 여성주의자들은 간호가 의학에 종속되어 가정적인(handmaiden) 역할에만 중점을 두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여성주의적인 활동을 한 간호사(Wiliam Scott Heid, margaret Sanger, Florence Nightingel까지도) 간호사로서보다는 정치가, 사회 변혁가, 통계전문가로서 역할을 하였다고 주장한다. 여성주의 이론에서 주장하는 것이 간호학과 간호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특히 여성건강과는 어떤 관련성을 가지며 간호현상을 설명하는데 어느 정도 영향력을 가지는지를 규명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여성주의 이론이 주장하는 바가 무엇인지 이해해야 한다.
1. 초기 여성주의 이론
초기 여성주의 : 최초의 여성주의 이론가인 Christin de Pisan 여자도 인간으로서 배울 수 있고 법을 지킬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녀에 의해 시작된 논쟁은 400년 동안이나 계속 되었으나 뒷받침할 만한 이론이 없어 여자는 여전히 힘없고 합법적이지 못한 사람으로
취급되었다.
14세기~17세기 여성학자 : Christin de Pisan, Lucrezia maninella, Rachel Speght, Marry Astell, Aphra Behn, Laura Terracina
목적
첫째, 특수한 작가들에 의해서 여성을 모욕하는 데 대한 반대의 입장을 의식적인 변증론 으로 했다.
둘째, 성을 생물학적이 아닌 문화적 사회적인 것에 초첨을 뒀다.
셋째, 여자를 잘못취급(mistreatment)하는 것에 반대하여 인간으로서 보다 긍정적인 태도 로 이끄는데 목적을 두었다.
2. 자유적 여성주의 이론
자유적 여성주의 : 18세기 계몽주의 사상에서 발달하여 19세기부터 여성운동의 형태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계몽주의적 합리론자들의 관점에서 모든 사람의 마음은 같은 기적 으로 작용하며 사유하는 힘을 갖고 있으므로 여성의 사고양식이 남성보다 열등하지 않다는 것을 주장한다. 따라서 여성들이 생물학적 속성 때문에 주어진 역할을 해야 한다는 보수주 의적인 관점을 배격하고 동등한 남녀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성 역할의 재사회화 과정에 주 력할 것을 강조하였다. 또한 교육과 직업의 균등한 기회보장으로 공적 부문에서의 남녀차 별이 줄어들 때 여성이 남성과 동등한 권리를 가질 수 있다고 믿는다.
계몽적 자유주의자인 여성학자 : Abigil Adams, Mary Wollstonecraft, Frances Wrogjt, John stuart Mill, Harriet martineau
계몽주의적 자유주의 여성이론의 기본사상
첫째, 합리주의적 신념
둘째, 남성과 여성은 존재론적으로 비슷하다는 신념
셋째, 교육의 힘으로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신념
넷째, 개인을 이성적으로 독립된 존재로 분리해서 보는 관점
다섯째, 자연적 권리(natural right)에 근거한다는 점이다.
3. 사회적 여성주의 이론
· 성의 특성이 어떻게 사회, 경제 및 정치적 범주내에서 발달되고 지속되어 왔는지 즉, 주어진 제도가 어떻게 여성들을 억압하는데 체계적으로 작용하고 있는지
· 고전 막스주의자: 남성이 재산과 이윤축적을 위해 여성노동을 착취한 자본주의 제도가 여성을 억압
· 사회적 여성주의: 여성억압은 자본주의 이전부터 이루어졌으며 가부장제와 큰 연관성이 있다
· 마가렛 미첼
자본주의가 발달하는 과정에서 여성의 노동참여가 배제된 것이 여성억압의 원인
여권의 확립을 위해서 자본주의의 제거뿐만 아니라 가족과 개인생활의 변천까지도 필요
· 막스주의적 여성이론에 재생산과 가족관계가 여성억압과 관련이 있다는 점을 덧붙임
4. 문화적 여성주의 이론
· 성의 차이를 기본신념
· 여성의 내적·심리적 생활 및 가치판단 사고의 방법은 남성과 선천적으로 다름
· 이 차이는신경계와 호르몬의 생리, 월경과 출산과 같은 친애적인 결속, 다른 여성과의 유대와 초기 사회화로부터 초래되는 것이라고 추측
· 여성주의 경향을 총체적이고 비폭력적이고 양육의 특성을 가진 것으로 인식하고 여성적 가치를 가진다고 주장
· 전쟁, 테러, 생태파괴를 남성이 여성을 착취하는 것과 같은 관계로 유추
· 성의 동등보다는 더 높은 목적을 지향
(단지 동등한 권리는 여성주의의 종말적인 수단이고 그것은 세계의 종말이다.)
· 여성의 힘과 신념은 파괴적인 사회적 행위를 재구성하는 것
5. 급진적 여성주의 이론
· 급진적(radical)이란 말은 근본적인의 뜻으로 정의
· 성적인 사회(sexist society)에서의 변화는 사회의 구조와 실질면에서 근본적인 변화를 해야 한다
· 사회적 여성주의에서와 마찬가지로 성차별이 사회체계내에서 작용하고 있음을 동의하면서 가부장제를 여성억압의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봄
· 파이어스톤(Firestone): 여성억압의 원인을 출산기능으로 보고 과학의 발달로 인해 인공출산이 가능해야만 남녀평등이 가능하다고 주장
· 루빈(Rubin): 가부장제가 여성억압의 원인이며 여성중심의 신념과 제도를 확립해야 한다며 동성연애를 주장하기도 함
▣ 다양한 여성주의 이론의 공통적인 관심
· 성에 따른 불평등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며, 이 과정에서 공동목표는 남성과 여성이 공히 인간으로서의 자유로움을 누리고 남녀 간의 조화를 꾀할 수 있는 인간해방운동을 실현하는 것
<출처 : 여성건강간호학(상), 이경혜 외, 1998, 현문사>
  • 가격1,4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11.21
  • 저작시기200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39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