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일본시장 진출배경
(2)제품전략
1)제품이미지 개선시도
2)철저한 제품의 현지화
(3)가격전략: 고가전략을 통한 ‘싸구려’ 이미지 탈피
(4)촉진전략
1)일대일 접촉시도
2)직영 한식당을 통한 촉진- ‘진로가든‘
3)대 거래선 촉진
4)대 소비자 촉진- 다양한 이벤트 개최
5)매체를 통한 촉진- 전문잡지 광고
(5)유통전략
1)일본 유통구조의 특징
2)진로의 일본시장 내 유통전략
(6).진로, 일본 주류시장 석권
(7)진로 일본 시장 진출 현황
(8)진로소주 일본수출량 연도별 추이
(9)진로소주 일본수출액 연도별 추이
(10)일본 소주 시장에서 진로 소주의 성공비결
(11)세계로 가는 한국소주의 대명사 'JINRO'
(12)심벌이야기
1)창립초기
2)구포양조에서 생산했던 "낙동강"소주 상표
3)현재의 두꺼비
(2)제품전략
1)제품이미지 개선시도
2)철저한 제품의 현지화
(3)가격전략: 고가전략을 통한 ‘싸구려’ 이미지 탈피
(4)촉진전략
1)일대일 접촉시도
2)직영 한식당을 통한 촉진- ‘진로가든‘
3)대 거래선 촉진
4)대 소비자 촉진- 다양한 이벤트 개최
5)매체를 통한 촉진- 전문잡지 광고
(5)유통전략
1)일본 유통구조의 특징
2)진로의 일본시장 내 유통전략
(6).진로, 일본 주류시장 석권
(7)진로 일본 시장 진출 현황
(8)진로소주 일본수출량 연도별 추이
(9)진로소주 일본수출액 연도별 추이
(10)일본 소주 시장에서 진로 소주의 성공비결
(11)세계로 가는 한국소주의 대명사 'JINRO'
(12)심벌이야기
1)창립초기
2)구포양조에서 생산했던 "낙동강"소주 상표
3)현재의 두꺼비
본문내용
다.
(11)세계로 가는 한국소주의 대명사 'JINRO'
서민의 애환을 달래주는 한국인의 술진로가 이제는 한반도를 넘어 일본 미국 유럽 등 세계시장에서 인기술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한국인뿐만 아니라 일본사람 미국사람들도 한국의 소주를 마시면서 기쁠 때 더 기뻐하고 슬플 때 마음의 위로를 받는다는 이야기다.
지난 1968년 베트남을 시작으로 해외시장 개척에 나선 진로는 동남아를 출발점으로 73년 서독에, 75년 미국에 이어 79년 일본시장에 진출하기 시작했으며 아르헨티나, 호주, 브라질, 캐나다, 중국, 독일, 괌, 이태리, 인도네시아, 멕시코, 네덜란드, 뉴질랜드, 필리핀, 싱가포르, 베트남, 카자흐스탄 등 전세계 60여개 국가에 진로소주를 수출하고 있다.
수출액은 85년 207만달러에서 91년 506만달러, 93년 1,042만달러, 97년 4천만달러로 급상승했으며 '98 무역연도(무역협회 기준 : '98.7 - '99.6)에 총 5천3백만불을 수출, 국내 주류업계 최초로 수출 5천만불을 달성한데 이어 01년에는 7천만불 수출탑을 수상했다.
한국의 주류업계를 이끌어온 진로의 양조(酒造)기술은 이미 오래전에 국제적으로도 인정을 받았다. 1980년 제11회 국제주류품평회(IWSC) 6개부문 금메달 수상과 제18회 몽드셀렉션 8개부문 금상수상에 이어 1982년에는 제20회 몽드셀렉션에서 아시아 최초로 '국제최고 품질대상'을 수상하였다.
세계적 브랜드로 자리잡은 진로는 1995년부터 세계 유수의 위스키, 보드카, 럼, 진 등의 판매량을 훨씬 앞질러 2000년 단일 브랜드로 당당히 전세계 증류주 부문 판매량과 판매성장률 부분에서 2위, 판매액 기준으로 세계 8위를 차지하였고, 이어 2002년에는 2년 연속 세계 증류주 시장 판매량 1위에 오르는 성과를 올렸다.
특히 일본에서의 진로소주의 활약상은 눈부시다. 지난 1998년 일본시장내 86개 희석식 소주업체중 단일브랜드로 1위에 오른 진로소주는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5년 연속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금년도에는 550만상자를 판매목표로 직판체제를 통해 유통망에 대한 직접관리를 실시하고 있으며 오사카, 후쿠오카, 센다이, 간신에쓰, 나고야, 홋가이도 등에 지점을 개설함으로써 전국적인 영업망을 구축하고 있고, 자체 유통망을 활용한 주류관련 식품개발과 한국식품의 고급 이미지 정착을 위한 활동도 계획하고 있다.
(12)심벌이야기
1)창립초기
주식회사 진로의 전신인 진천양조상회의 창업 초기의 심벌은 원숭이었다. 원래 서북지방에서는 원숭이가 복을 상징하는 영특한 동물로 여겨졌기 때문에 심벌로 선택되어진 것이다. 좌우로는 쌀이 있어서, 쌀로 빚은 복주를 마시면 복을 누리며 장수한다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다.
2)구포양조에서 생산했던 "낙동강"소주 상표
학 주위에 소나무, 거북이 등이 그려져 있다. 장학엽(진로 창업주)선대 회자이 1950년대 부산지역 구포양조에서 생산한 소주는 상품명이 "낙동강"이었다. 지역명을 그대로 상품명으로 사용한 보기드문 경우다. 십장생 즉, 복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3)현재의 두꺼비
서북지방에서 사용하던 원숭이 이미지는 남한에서는 속임수 교활함의 이미지가 강하여 심벌을 교체하기에 이른다.
*두꺼비 의미*
1. 의젓한 생김새, "떡두꺼비 같은 아들!"
2. "콩쥐팥쥐"등 민간설화에서의 "기복 이미지"
3. 아침 저녁으로 차고 깨끗한 이슬을 받아먹는 장생의 동물 "진로"라는 브랜드와 이미지가 일치하였다.
이러한 심벌은 1960년대 들어 진로가 급격히 발전하자, "진로주세요" = "소주 주세요!" "두꺼비 한마리 잡자" "두꺼비 한마리 까자" 등으로 소주의 대명사가 되었다.
(11)세계로 가는 한국소주의 대명사 'JINRO'
서민의 애환을 달래주는 한국인의 술진로가 이제는 한반도를 넘어 일본 미국 유럽 등 세계시장에서 인기술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한국인뿐만 아니라 일본사람 미국사람들도 한국의 소주를 마시면서 기쁠 때 더 기뻐하고 슬플 때 마음의 위로를 받는다는 이야기다.
지난 1968년 베트남을 시작으로 해외시장 개척에 나선 진로는 동남아를 출발점으로 73년 서독에, 75년 미국에 이어 79년 일본시장에 진출하기 시작했으며 아르헨티나, 호주, 브라질, 캐나다, 중국, 독일, 괌, 이태리, 인도네시아, 멕시코, 네덜란드, 뉴질랜드, 필리핀, 싱가포르, 베트남, 카자흐스탄 등 전세계 60여개 국가에 진로소주를 수출하고 있다.
수출액은 85년 207만달러에서 91년 506만달러, 93년 1,042만달러, 97년 4천만달러로 급상승했으며 '98 무역연도(무역협회 기준 : '98.7 - '99.6)에 총 5천3백만불을 수출, 국내 주류업계 최초로 수출 5천만불을 달성한데 이어 01년에는 7천만불 수출탑을 수상했다.
한국의 주류업계를 이끌어온 진로의 양조(酒造)기술은 이미 오래전에 국제적으로도 인정을 받았다. 1980년 제11회 국제주류품평회(IWSC) 6개부문 금메달 수상과 제18회 몽드셀렉션 8개부문 금상수상에 이어 1982년에는 제20회 몽드셀렉션에서 아시아 최초로 '국제최고 품질대상'을 수상하였다.
세계적 브랜드로 자리잡은 진로는 1995년부터 세계 유수의 위스키, 보드카, 럼, 진 등의 판매량을 훨씬 앞질러 2000년 단일 브랜드로 당당히 전세계 증류주 부문 판매량과 판매성장률 부분에서 2위, 판매액 기준으로 세계 8위를 차지하였고, 이어 2002년에는 2년 연속 세계 증류주 시장 판매량 1위에 오르는 성과를 올렸다.
특히 일본에서의 진로소주의 활약상은 눈부시다. 지난 1998년 일본시장내 86개 희석식 소주업체중 단일브랜드로 1위에 오른 진로소주는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5년 연속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금년도에는 550만상자를 판매목표로 직판체제를 통해 유통망에 대한 직접관리를 실시하고 있으며 오사카, 후쿠오카, 센다이, 간신에쓰, 나고야, 홋가이도 등에 지점을 개설함으로써 전국적인 영업망을 구축하고 있고, 자체 유통망을 활용한 주류관련 식품개발과 한국식품의 고급 이미지 정착을 위한 활동도 계획하고 있다.
(12)심벌이야기
1)창립초기
주식회사 진로의 전신인 진천양조상회의 창업 초기의 심벌은 원숭이었다. 원래 서북지방에서는 원숭이가 복을 상징하는 영특한 동물로 여겨졌기 때문에 심벌로 선택되어진 것이다. 좌우로는 쌀이 있어서, 쌀로 빚은 복주를 마시면 복을 누리며 장수한다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다.
2)구포양조에서 생산했던 "낙동강"소주 상표
학 주위에 소나무, 거북이 등이 그려져 있다. 장학엽(진로 창업주)선대 회자이 1950년대 부산지역 구포양조에서 생산한 소주는 상품명이 "낙동강"이었다. 지역명을 그대로 상품명으로 사용한 보기드문 경우다. 십장생 즉, 복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3)현재의 두꺼비
서북지방에서 사용하던 원숭이 이미지는 남한에서는 속임수 교활함의 이미지가 강하여 심벌을 교체하기에 이른다.
*두꺼비 의미*
1. 의젓한 생김새, "떡두꺼비 같은 아들!"
2. "콩쥐팥쥐"등 민간설화에서의 "기복 이미지"
3. 아침 저녁으로 차고 깨끗한 이슬을 받아먹는 장생의 동물 "진로"라는 브랜드와 이미지가 일치하였다.
이러한 심벌은 1960년대 들어 진로가 급격히 발전하자, "진로주세요" = "소주 주세요!" "두꺼비 한마리 잡자" "두꺼비 한마리 까자" 등으로 소주의 대명사가 되었다.
추천자료
(기업사례, 경영사례) 스웨덴의 통신회사 에릭슨의 중국 진출 (해외진출) 성공 사례와 시사점...
종가집김치의 해외시장 진출 성공사례
[국제경영전략]오리온 초코파이의 해외진출 사례를 통한 우리나라 기업의 해외진출 성공요인 ...
뚜레쥬르vs파리바게트 마케팅사례와 성공전략 비교분석및 해외진출전략및 향후전략제안
디즈니랜드의 해외진출 사례 - 도쿄디즈니의 성공, 유로디즈니의 실패 사례연구와 서울디즈니...
국내기업(한국야쿠르트,롯데백화점) 해외진출 글로벌마케팅 성공,실패사례분석과 개선방안제안
LG전자 백색가전 해외진출 마케팅전략분석과 LG전자 해외시장 성공요인분석 및 시사점 - 글로...
[이랜드 경영전략과 글로벌마케팅전략] 이랜드 기업분석과 이랜드의 해외 마케팅전략분석및 ...
네이버(NAVER)기업분석과 서비스분석 및 네이버 SWOT,STP분석과 해외진출 전략사례연구 (구글...
Walmart 월마트 성공요인분석과 월마트 해외진출 성공,실패사례분석및 월마트의 한국진출 실...
[이케아 IKEA 글로벌마케팅 전략분석] 이케아 기업분석과 마케팅 (SWOT,STP,4P)전략 분석및 ...
본죽(본아이에프) 기업企業분석과 본죽 마케팅 SWOT,4P전략분석및 본죽 해외진출 마케팅 성공...
디즈니랜드Disneyland 해외진출 성공,실패 케이스연구PPT - 디즈니랜드 기업분석과 디즈니랜...
[ 설빙 마케팅전략 사례연구 보고서] 설빙 기업성공요인과 해외진출(중국,일본)전략분석/ 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