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연준의 지속적인 금리인상에도 불구하고 장기금리가 하락하는 추세
연준의 금리인상 cycle이 언제 마무리될 것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리는 상태
연준의 금리인상 cycle이 언제 마무리될 것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리는 상태
본문내용
.0
③ 재정증권에 대한 꾸준한 수요
o 연초 채권딜러들은 금리상승을 예상하여 채권을 적극적으로 매입하지 않았으나 연말을 앞두고 있는 지금은 포트폴리오 조정차원에서 재정증권 매입을 확대
o 일본은행의 시장개입이 줄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외국 중앙은행에 의한 재정증권 매입규모는 지난해에 비해 오히려 커지고 있음
- 연준에 보관(custody)되어 있는 외국중앙은행의 재정증권은 지난해 1,670억달러 늘어났으나 금년에는 7월까지만 1,500억달러가 증가
연준이 보관중인 외국중앙은행 소유 재정증권 증감 규모
2001년
2002년
2003년
2004.1~7월
증감 (억달러)
-14.6
854.8
1,669.7
1,508.4
o 숫자로 확인은 되지 않으나 산유국들이 고유가로 벌어들인 오일달러를 미 재정증권에 再투자(oil dollar recycling)하고 있으며 헤지펀드에 의한 carry-trade도 아직 있는 것으로 전언되고 있음
□ 한편 정책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시장금리가 하락하는 등 통화정책의 금리 파급경로가 작동하고 있지는 않으나 이에 힘입어 모기지 신규신청이 다시 증가하는 등 경제에 좋은 영향을 미치고 있어 연준 내부적으로는 만족하는 분위기
30년 만기 모기지 금리와 신규 모기지 신청규모
연준의 금리인상 cycle이 언제 마무리될 것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리는 상태
□ 대부분의 시장참가자들은 금년 11월 10일 FOMC 회의에서 페더럴펀드 목표금리가 25bps 인상될 것으로 전망
o 다만 12월 회의의 경우에는 연말을 앞두고 연준이 금리를 조정한 예가 많지 않아 그대로 지나갈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예상
□ 그러나 연준이 내년 중 언제까지, 그리고 어느 수준까지 금리를 인상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있음
o Merrill Lynch와 Lehman Brothers는 2%대에서, UBS와 JP Morgan은 4%대에서 금리인상이 끝날 것으로 보고 있는데 3%대를 점치는 의견이 많은 편*
* Bloomberg가 22개 투자은행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4%대가 7개, 3%대가 10개, 2%대가 5개로 나타남
□ 높은(4%대) 금리인상을 예상하는 측은
연준의 금리인상 목적이 현 경제상황에 맞지 않는 정책완화기조(policy stimulus)를 제거하는 데 있는 만큼 페더럴펀드 실질금리가 장기평균치인 2%에 도달할 때까지 금리를 올릴 것이며 이는 명목기준으로 4%대에 해당된다는 견해
o 일부 지역연준 총재들도 페더럴펀드 목표금리의 중립수준(neutral level)을 3~5%, 3.5~5.5%로 언급
o 또한 지난 8월 10일 FOMC 의사록에 나타난 “누적적인 금리인상(cumulative policy tightening)이 필요하다”는 표현도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
□ 한편 낮은(2%대) 금리인상을 예상하는 측은
연준은 금융시장에서 많은 관심을 두고 있는 페더럴펀드 목표금리의 중립수준이라는 개념에 크게 개의하지 않으며 그린스펀 의장도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고 있다는 점을 근거로 하고 있음*
* 그린스펀 의장은 지난 7월 의회 증언시 금리의 중립수준에 대한 질문을 받고 “그곳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그 수준을 알 수 없다”라고 답변
o 또한 80년대말 이후 세 차례의 긴축 사이클 가운데 첫 번째, 세 번째는 금리 고점이 장기평균치(그린스펀 재임기간중 평균 2.1%)를 훨씬 상회하였으며 동 평균치에 수렴한 경우는 1994~95년의 한 차례에 불과
o 경기상황이 아직 불투명하고 2005년에는 성장세가 둔화될 것이므로 연준은 실질금리가 플러스에서 유지되는 데 만족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의견임.
페더럴펀드 실질금리 추이
(%)
* 움영부분은 통화정책 긴축기
③ 재정증권에 대한 꾸준한 수요
o 연초 채권딜러들은 금리상승을 예상하여 채권을 적극적으로 매입하지 않았으나 연말을 앞두고 있는 지금은 포트폴리오 조정차원에서 재정증권 매입을 확대
o 일본은행의 시장개입이 줄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외국 중앙은행에 의한 재정증권 매입규모는 지난해에 비해 오히려 커지고 있음
- 연준에 보관(custody)되어 있는 외국중앙은행의 재정증권은 지난해 1,670억달러 늘어났으나 금년에는 7월까지만 1,500억달러가 증가
연준이 보관중인 외국중앙은행 소유 재정증권 증감 규모
2001년
2002년
2003년
2004.1~7월
증감 (억달러)
-14.6
854.8
1,669.7
1,508.4
o 숫자로 확인은 되지 않으나 산유국들이 고유가로 벌어들인 오일달러를 미 재정증권에 再투자(oil dollar recycling)하고 있으며 헤지펀드에 의한 carry-trade도 아직 있는 것으로 전언되고 있음
□ 한편 정책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시장금리가 하락하는 등 통화정책의 금리 파급경로가 작동하고 있지는 않으나 이에 힘입어 모기지 신규신청이 다시 증가하는 등 경제에 좋은 영향을 미치고 있어 연준 내부적으로는 만족하는 분위기
30년 만기 모기지 금리와 신규 모기지 신청규모
연준의 금리인상 cycle이 언제 마무리될 것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리는 상태
□ 대부분의 시장참가자들은 금년 11월 10일 FOMC 회의에서 페더럴펀드 목표금리가 25bps 인상될 것으로 전망
o 다만 12월 회의의 경우에는 연말을 앞두고 연준이 금리를 조정한 예가 많지 않아 그대로 지나갈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예상
□ 그러나 연준이 내년 중 언제까지, 그리고 어느 수준까지 금리를 인상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있음
o Merrill Lynch와 Lehman Brothers는 2%대에서, UBS와 JP Morgan은 4%대에서 금리인상이 끝날 것으로 보고 있는데 3%대를 점치는 의견이 많은 편*
* Bloomberg가 22개 투자은행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4%대가 7개, 3%대가 10개, 2%대가 5개로 나타남
□ 높은(4%대) 금리인상을 예상하는 측은
연준의 금리인상 목적이 현 경제상황에 맞지 않는 정책완화기조(policy stimulus)를 제거하는 데 있는 만큼 페더럴펀드 실질금리가 장기평균치인 2%에 도달할 때까지 금리를 올릴 것이며 이는 명목기준으로 4%대에 해당된다는 견해
o 일부 지역연준 총재들도 페더럴펀드 목표금리의 중립수준(neutral level)을 3~5%, 3.5~5.5%로 언급
o 또한 지난 8월 10일 FOMC 의사록에 나타난 “누적적인 금리인상(cumulative policy tightening)이 필요하다”는 표현도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
□ 한편 낮은(2%대) 금리인상을 예상하는 측은
연준은 금융시장에서 많은 관심을 두고 있는 페더럴펀드 목표금리의 중립수준이라는 개념에 크게 개의하지 않으며 그린스펀 의장도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고 있다는 점을 근거로 하고 있음*
* 그린스펀 의장은 지난 7월 의회 증언시 금리의 중립수준에 대한 질문을 받고 “그곳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그 수준을 알 수 없다”라고 답변
o 또한 80년대말 이후 세 차례의 긴축 사이클 가운데 첫 번째, 세 번째는 금리 고점이 장기평균치(그린스펀 재임기간중 평균 2.1%)를 훨씬 상회하였으며 동 평균치에 수렴한 경우는 1994~95년의 한 차례에 불과
o 경기상황이 아직 불투명하고 2005년에는 성장세가 둔화될 것이므로 연준은 실질금리가 플러스에서 유지되는 데 만족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의견임.
페더럴펀드 실질금리 추이
(%)
* 움영부분은 통화정책 긴축기
추천자료
미국테러가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미국의 신자유주의와 한국경제의 전망
미국의 금융위기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국제금융론 - 기말고사대비-미국발 금융위기와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
미국의 금융위기와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경제학] 미국발 금융위기,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미국의 금융위기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IMF]한국경제환경의 변화, IMF외환위기(경제위기)의 주요 배경, IMF외환위기(경제위기)의 실...
[미국 정치와 경제] 미국 정치와 경제 사형제도 (United States of America Death Penalty)
미국 금융위기와 한국경제
양적완화 정의분석과 미국의 양적완화전략이 한국경제와 부동산시장에 미치는 영향분석 보고서
세계 경제에서 앞으로도 미국이 상당한 역할을 할 것인가에 대한 찬반 의견을 제시하세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