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1.사고 & 재해
2.사고를 일으키는 위험의 종류
3.사고의 발생과정
4.사고의 발생원인
5.인간의 특성과 사고와의 관계
6. 안전의 주요용어 정리
1.사고 & 재해
2.사고를 일으키는 위험의 종류
3.사고의 발생과정
4.사고의 발생원인
5.인간의 특성과 사고와의 관계
6. 안전의 주요용어 정리
본문내용
황하거나 공포를 느끼거나 하면 즉시 4단계로 진행된다.
사례) A씨는 모여자대학교의 교무과 직원인데 초보 운전자였다. 차를 몰고 학교 내의 경사진 길을 하행하는 도중에 갑자기 한 학생이 길을 건너기 위해 차 앞으로 뛰어 들었다. A씨는 당황하여 브레이크를 밟는다는 것이 엑셀레이터를 강하게 밟아버렸다. 차는 쏜살같이 질주하여 그 여학생을 치어 사망케 하였다.
4) 착각현상
우리는, 우리의 감각이나 지각이 대상물이나 상황을 항상 바르게 보고 정확하게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착시현상과 같이 잘못 본다든가 빠뜨린다든가 하는 경험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착각이 사고를 불러일으킨다.
사례) 기차역 등에서 경험하는 것인데, 자기가 탄 열차가 홈에 정거하고 있을 때 바로 건너편의 열차도 정지하고 있는 경우 건너편의 열차가 서서히 움직이기 시작하면 마치 자기가 타고 있는 열차가 움직이기 시작한 것처럼 느끼게 된다. 이것이 일종의 착각이다.
5) 감각차단현상
(1) 들어오는 정보의 양이 너무 적으면 정보를 받아들이는 감각기관의 기능이 둔해지는 현상이다.
(2) 단순 반복작업이나 단조로운 업무를 행할 때 나타난다.
사례) 우리가 시계를 오래 차고 있으면 시계를 차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한다.
6) 휴먼에러(Human Error)
인간도 기계와 마찬가지로 시스템상의 에러를 일으킨다. 이 에러는 외부감각에 의한 인지과정에서 부터 시작하여 대뇌명령체계에 영향을 미치고 행동시 착오나 착각같은 불완전한 행동을 유발시킨다. 이것은 흡사 컴퓨터의 잘못된 정보가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영향을 미쳐 잘못된 출력의 결과를 발생 시키는 것과 비슷하다.
인간이 에러를 일으키는 요인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기계조립이나 포장과 같은 단순동작을 반복하거나, 피로의 누적 또는 인간의 인체구조적인 요인때문에 발생 되기도 한다.
(1) 휴먼에러란?
인간이 감지 및 인식하고, 처리 및 판단하여 행동한 결과에 따른 에러.
평범한 사람이 한가지 행동을 하기까지 거치는 정보처리과정은 다음과 같이 총 3단계로 구분된다.
감지 및 인식 :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처리 및 판단 : 정보를 처리하여 취할 행동을 결정하는 단계
행 동 : 행동을 취하는 단계
다음은 각 단계에서 Error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조건의 예이다.
정보처리단계
Error 발생 조건의 예
감지 및 인식
작업장의 불합리한 조명시설
지나친 소음
인쇄상태 불량 등
처리 및 판단
피로
훈련 부족
시간 제약 등
행 동
빈약한 공구/장비의 설계
부적합한 절차
연속성 단절 및 작업장의 환경조건 등
(4) 인간의 실수가 사고로 이어지는 배후의 4요인(4M)은 다음과 같다.
인간(Man) : 인간, 특히 인간관계
기계(Machine) : 기계설비
매체(Media) : 인간과 기계설비의 매체(작업환경, 작업방법 등)
관리(Management) : 관리(지휘감독, 교육훈련 등)
6. 안전의 주요용어 정리
1. 안전(Safety)
1) Webster사전에서의 정의
인간의 사상(死傷), 자료의 손실 더 나아가 손상을 주지 않는 상태 또는 위험에 노출되는 것으로부터의 자유. 또한 안전은 그와 같은 자유를 위한 보관,보호 또는 가드(Guards,방호장치)와 시건장치(Locking system), 질병(직업병)의 방지에 필요한 기술 및 지식.
2) 미국(안전교육에 관한 건의안)에서의 정의
인간에게 주어진 환경을 조정함에 있어서 기본적 요건이 됨과 동시에 생존을 위해 필수불가결한 것.
2. 위해(危害,Harm) 또는 해(害)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재물 또는 환경에의 손해나 사람들의 건강 또는 재물에 대한 물리적 외상.
3. 위험원(Hazard)
위해의 원인이 되는 잠재성을 갖는 근원(Potential source of harm).
4. 리스크(위험성,Risk)
결과의 크기
건수
위해(or손실)의 발생확률(Probability) 또는 빈도(Frequency)와 심도(중대도,Severity))의 결합(Combination). 즉 리스크란 상해나 사망의 원인이 되거나 이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는 조건이나 상황을 말하고 이러한 잠재적 위험의 요소가 많을수록 위험성은 커진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잠재적 위험의 요인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인적, 물적 피해정도와 그 발생 가능성을 내포한 빈도를 고려한 위험의 크기. 손실의 가능성(Likelihood).
단위시간
건수
결과의 크기
단위시간
위험성(Risk)==빈도()*크기()
5. 사고(Accident)
“시스템이나 개인에게 손상을 입히거나 시스템의 임무나 개인의 과업의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예상하지 못한 사건”:Meister(1987)
다르게 표현하면 “손실의 원인”이라고도 말한다. 예를 들어 화재로 인해 건물이 손상되었다고 하면 이러한 손실의 원인인 화재가 곧 사고이고 폭풍우에 의해 선박이 침몰되었다면 폭풍우가 손실의 원인, 즉 사고가 된다.
6. 손실(Loss)
일반적으로 손실은 손실, 손상, 훼손, 상실, 멸실, 감소 등 여러가지로 의미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정확히 구분하기는 어렵다. 영어에서는 Loss 와 Damage가 서로 병렬적으로 사용되든지, Loss만으로 손실의 일반적인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해상보험 분야에서는 Average라는 용어가 해손이나 분손을 나타낼 때 사용되고 있다.
메어(Mehr)와 캐맥(Cammack)은 손실을 “우연한 사고로 인하여 발생하는 불의의 가치감소 또는 소실(An unintentional decline in, or disappearance of value arising from a contingency)이라고 정의하였다.
7. 스트레스(Stress)
개인에게 작용하는 어떤 바람직하지 않은 상태, 상황, 과업 등의 인자를 말한다. 스트레스의 원천은 과도한 업무, 부동자세, 더위와 추위, 소음, 수면부족, 위험, 정보의 과부하, 권태, 외로움, 경제적 불안정 등이다.
8. 스트레인(Strain)
개인에 대한 스트레스의 영향을 말한다. 가령 혈액화학 산소소비량, 근육이나 뇌의 전기적인 활동, 심박수, 체온 ,작업율, 오류, 성향 등의 변화를 관찰하여 스트레인을 측정할 수 있다.
사례) A씨는 모여자대학교의 교무과 직원인데 초보 운전자였다. 차를 몰고 학교 내의 경사진 길을 하행하는 도중에 갑자기 한 학생이 길을 건너기 위해 차 앞으로 뛰어 들었다. A씨는 당황하여 브레이크를 밟는다는 것이 엑셀레이터를 강하게 밟아버렸다. 차는 쏜살같이 질주하여 그 여학생을 치어 사망케 하였다.
4) 착각현상
우리는, 우리의 감각이나 지각이 대상물이나 상황을 항상 바르게 보고 정확하게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착시현상과 같이 잘못 본다든가 빠뜨린다든가 하는 경험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착각이 사고를 불러일으킨다.
사례) 기차역 등에서 경험하는 것인데, 자기가 탄 열차가 홈에 정거하고 있을 때 바로 건너편의 열차도 정지하고 있는 경우 건너편의 열차가 서서히 움직이기 시작하면 마치 자기가 타고 있는 열차가 움직이기 시작한 것처럼 느끼게 된다. 이것이 일종의 착각이다.
5) 감각차단현상
(1) 들어오는 정보의 양이 너무 적으면 정보를 받아들이는 감각기관의 기능이 둔해지는 현상이다.
(2) 단순 반복작업이나 단조로운 업무를 행할 때 나타난다.
사례) 우리가 시계를 오래 차고 있으면 시계를 차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한다.
6) 휴먼에러(Human Error)
인간도 기계와 마찬가지로 시스템상의 에러를 일으킨다. 이 에러는 외부감각에 의한 인지과정에서 부터 시작하여 대뇌명령체계에 영향을 미치고 행동시 착오나 착각같은 불완전한 행동을 유발시킨다. 이것은 흡사 컴퓨터의 잘못된 정보가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영향을 미쳐 잘못된 출력의 결과를 발생 시키는 것과 비슷하다.
인간이 에러를 일으키는 요인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기계조립이나 포장과 같은 단순동작을 반복하거나, 피로의 누적 또는 인간의 인체구조적인 요인때문에 발생 되기도 한다.
(1) 휴먼에러란?
인간이 감지 및 인식하고, 처리 및 판단하여 행동한 결과에 따른 에러.
평범한 사람이 한가지 행동을 하기까지 거치는 정보처리과정은 다음과 같이 총 3단계로 구분된다.
감지 및 인식 :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처리 및 판단 : 정보를 처리하여 취할 행동을 결정하는 단계
행 동 : 행동을 취하는 단계
다음은 각 단계에서 Error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조건의 예이다.
정보처리단계
Error 발생 조건의 예
감지 및 인식
작업장의 불합리한 조명시설
지나친 소음
인쇄상태 불량 등
처리 및 판단
피로
훈련 부족
시간 제약 등
행 동
빈약한 공구/장비의 설계
부적합한 절차
연속성 단절 및 작업장의 환경조건 등
(4) 인간의 실수가 사고로 이어지는 배후의 4요인(4M)은 다음과 같다.
인간(Man) : 인간, 특히 인간관계
기계(Machine) : 기계설비
매체(Media) : 인간과 기계설비의 매체(작업환경, 작업방법 등)
관리(Management) : 관리(지휘감독, 교육훈련 등)
6. 안전의 주요용어 정리
1. 안전(Safety)
1) Webster사전에서의 정의
인간의 사상(死傷), 자료의 손실 더 나아가 손상을 주지 않는 상태 또는 위험에 노출되는 것으로부터의 자유. 또한 안전은 그와 같은 자유를 위한 보관,보호 또는 가드(Guards,방호장치)와 시건장치(Locking system), 질병(직업병)의 방지에 필요한 기술 및 지식.
2) 미국(안전교육에 관한 건의안)에서의 정의
인간에게 주어진 환경을 조정함에 있어서 기본적 요건이 됨과 동시에 생존을 위해 필수불가결한 것.
2. 위해(危害,Harm) 또는 해(害)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재물 또는 환경에의 손해나 사람들의 건강 또는 재물에 대한 물리적 외상.
3. 위험원(Hazard)
위해의 원인이 되는 잠재성을 갖는 근원(Potential source of harm).
4. 리스크(위험성,Risk)
결과의 크기
건수
위해(or손실)의 발생확률(Probability) 또는 빈도(Frequency)와 심도(중대도,Severity))의 결합(Combination). 즉 리스크란 상해나 사망의 원인이 되거나 이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는 조건이나 상황을 말하고 이러한 잠재적 위험의 요소가 많을수록 위험성은 커진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잠재적 위험의 요인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인적, 물적 피해정도와 그 발생 가능성을 내포한 빈도를 고려한 위험의 크기. 손실의 가능성(Likelihood).
단위시간
건수
결과의 크기
단위시간
위험성(Risk)==빈도()*크기()
5. 사고(Accident)
“시스템이나 개인에게 손상을 입히거나 시스템의 임무나 개인의 과업의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예상하지 못한 사건”:Meister(1987)
다르게 표현하면 “손실의 원인”이라고도 말한다. 예를 들어 화재로 인해 건물이 손상되었다고 하면 이러한 손실의 원인인 화재가 곧 사고이고 폭풍우에 의해 선박이 침몰되었다면 폭풍우가 손실의 원인, 즉 사고가 된다.
6. 손실(Loss)
일반적으로 손실은 손실, 손상, 훼손, 상실, 멸실, 감소 등 여러가지로 의미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정확히 구분하기는 어렵다. 영어에서는 Loss 와 Damage가 서로 병렬적으로 사용되든지, Loss만으로 손실의 일반적인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해상보험 분야에서는 Average라는 용어가 해손이나 분손을 나타낼 때 사용되고 있다.
메어(Mehr)와 캐맥(Cammack)은 손실을 “우연한 사고로 인하여 발생하는 불의의 가치감소 또는 소실(An unintentional decline in, or disappearance of value arising from a contingency)이라고 정의하였다.
7. 스트레스(Stress)
개인에게 작용하는 어떤 바람직하지 않은 상태, 상황, 과업 등의 인자를 말한다. 스트레스의 원천은 과도한 업무, 부동자세, 더위와 추위, 소음, 수면부족, 위험, 정보의 과부하, 권태, 외로움, 경제적 불안정 등이다.
8. 스트레인(Strain)
개인에 대한 스트레스의 영향을 말한다. 가령 혈액화학 산소소비량, 근육이나 뇌의 전기적인 활동, 심박수, 체온 ,작업율, 오류, 성향 등의 변화를 관찰하여 스트레인을 측정할 수 있다.
추천자료
학교안전사고 (학교내 안전사고에 대한 발표용 PPT)
안전교육과 안전지도요령 안전사고발생시 대처방법과 응급처치방법
유아교육,유아실태,유아시설설비,안전사고,안전관리,안전전점검
[아동안전관리] 실내놀이 안전사고의 원인과 안전수칙에 대해 서술하시오
아동 발달 특성과 아동 안전교육, 안전사고 방지 안전정책
1) 2세아의 신체, 인지, 정서 발달적 특성과 안전사고를 관련지어 설명,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영유아 안전 교육의 필요성과 안전사고의 원인, 안전교육의 방향에 대해 서술
영유아안전교육의 필요성, 안전사고의 원인, 안전교육의 방향, 가정에서의 안전, 유아교육기...
[아동건강교육] <영유아 안전사고> 영유아 안전사고의 원인과 유형 및 영유아 안전교육
3~5세 유아의 신체, 인지, 사회, 정서적 발달과 관련하여 수립할 수 있는 안전교육 목표를 설...
[아동간호학 兒童看護學] 안전사고(安全事故)의 필요성과 예방(운수사고, 낙상, 골절, 중독, ...
[아동안전관리] 영유아 안전사고 사례 및 그 사고가 발생한 원인과 예방법 및 사후 대책에 대...
안전사고 예방과 처치 - 안전사고 예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