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전자책(e-book, 디지털도서)의 개념적 정의와 특성
1. 경비 절감
2. 가용성
3. 휴대 가능성
4. 기능성
5. 다양성
Ⅱ. 전자책(e-book, 디지털도서)의 장점
Ⅲ. 전자책(e-book, 디지털도서)과 독서 환경
1. 컴퓨터 보유율
2. 인터넷 이용률
3. 인터넷을 통한 도서 검색률
4. 인터넷을 통한 독서율
5. 온라인상의 책읽기에 대한 인식
1) 성인
2) 학생
6. e-Book 이용 의향
1) 성인
2) 학생
Ⅳ. 전자책(e-book, 디지털도서)의 현황
Ⅴ. 외국의 전자책(e-book, 디지털도서) 사례
1. e-북 단말기 산업
2. 대기업의 전자출판시장 진입
Ⅵ. 전자책(e-book, 디지털도서) 시장 전망
참고문헌
1. 경비 절감
2. 가용성
3. 휴대 가능성
4. 기능성
5. 다양성
Ⅱ. 전자책(e-book, 디지털도서)의 장점
Ⅲ. 전자책(e-book, 디지털도서)과 독서 환경
1. 컴퓨터 보유율
2. 인터넷 이용률
3. 인터넷을 통한 도서 검색률
4. 인터넷을 통한 독서율
5. 온라인상의 책읽기에 대한 인식
1) 성인
2) 학생
6. e-Book 이용 의향
1) 성인
2) 학생
Ⅳ. 전자책(e-book, 디지털도서)의 현황
Ⅴ. 외국의 전자책(e-book, 디지털도서) 사례
1. e-북 단말기 산업
2. 대기업의 전자출판시장 진입
Ⅵ. 전자책(e-book, 디지털도서) 시장 전망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컴(Fatbrain.com)의 마이티워즈(MightyWords)에 2,000만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 이 투자로 반즈앤노블은 패트브레인컴의 지분 30%를 차지하게 된다. 이번 투자계약으로, 반즈앤노블 사이트는 마이티워즈의 컨텐츠(content)를 유통시킬 수 있게 되고, 마이티워즈는 베스트셀러 작가의 소설뿐만 아니라 에세이, 영화 대본, 연재물 등도 배포하게 된다. 인터넷 백화점인 아마존(http://www.amazon.com)이 최근 듣는 책을 판매하는 오디오 서점 오더블(http://www.audible.com)을 자사 웹사이트에 입주시켰다. C넷에 따르면 아마존은 책과 신문, 연설, 라디오 프로그램 등을 오디오 파일에 담아 판매하는 오더블의 주식 5%를 2000만달러에 매입했고, 오더블은 앞으로 3년간 아마존에 입주해 듣는 책을 판매하는 광고비 등으로 3000만달러를 지불하기로 약속했다. 아마존은 이에 앞서 인터넷에서 가정용 가구를 판매하는 리빙(http://www.Living.com)과 드러그스토어(http://www.Drugstore. com) 웹사이트도 잇달아 끌어들였다. 아마존은 최근 이들 사이트를 잇달아 추가시킴으로써 재고부담 수익성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Ⅵ. 전자책(e-book, 디지털도서) 시장 전망
온라인 전자책 하드웨어(독서전용 단말기, e-Book Reader) 개념의 전자책 독서기는 미국의 누보미디어사에서 로켓e북이 출시된 것이 세계 최초이다. 그런데 오프라인 전자책 휴대단말기로는 일본의 소니사에서 CD-ROM북 플레이어가 개발되어 현재까지 100만대 이상 판매됨으로써, 로켓e북보다도 이미 8년 전부터 디지털책의 원형을 보여 주었다. 말하자면 오프라인 전자책 단말기 기술과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컨텐츠가 결합된 형태로 새로운 전자책 단말기가 선을 보인 것이라 하겠다.
미국은 전자책(e-Book) 시장의 선발국이다. 로켓e북 출시 이래 단말기 제조업체, 솔루션업체, 서비스업체들이 대거 등장한 가운데, 기존 소프트웨어업계의 강자인 마이크로소프트, 어도비, 그리고 출판유통의 맞수 반스앤노블과 아마존닷컴, 랜덤하우스나 맥그로힐을 비롯한 주요 출판사들이 대부분 전자책(e-Book) 시장 선점을 위한 인수합병 및 투자와 실험을 계속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와 아마존닷컴의 제휴, 세계 최대 서점 체인인 반스앤노블과 독일 최대 미디어기업 베르텔스만이 공동 설립하고 40만개의 링크 사이트를 가진 반스앤노블 디지털의 행보는 관심의 촛점이다. 또 이들은 표준화와 정보교류를 위한 OEBF(Open E-Book Forum), EBNA(Electronic Book Newsstand Association)등 다수의 논의체계와 유관기구를 만들고 세계시장 공략을 위한 마케팅 네트워크 정비를 서두르고 있다.
특히 세계적인 작가 스티븐 킹의 총알차 타기(Riding the Bullet), 연재소설 더 플랜트(The Plant)의 폭발적 화제는 전자책(e-Book) 대중화의 가능성과 한계를 동시에 보여주었으며, 최근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보급된 팜사의 개인휴대단말기(PDA) 등이 개인정보관리 기능을 뛰어넘어 인터넷 및 전자책(e-Book) 단말기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을 전망이다. 뉴욕타임스 등 주요 일간지나 잡지의 온라인판 유료화도 전자책(e-Book) 판매환경을 개선하는 데 일조할 것으로 보인다. 스티븐 킹을 비롯한 10여명의 작가들이 개설한 북라커(www.bookloker.com)를 비롯 작가들이 운영하는 다수의 웹사이트가 최근 수개월 사이 크게 늘어났는데, 북라커의 경우 1015달러짜리 전자책(e-Book)이 한 달 평균 20003000권 정도 팔리고 있다. 전자도서관 업체들로는 넷라이브러리(www.netlibrary.com), 퀘스티아(www.questia.com), 이브러리(www.ebrary.com) 등 3사의 활약이 두드러지고 있다.
미국 대학들도 전자책(e-Book) 교재 활용에 열성적이다. 하버드, 오하이오주립대 등 주요 대학들이 작년 가을부터 전자책(e-Book)을 정식 교재로 활용하고 있다. 전자책(e-Book)업체인 와이즈업 디지털 텍스트북스(www.wiseup.com)는 이들 대학에 75종의 디지털 교재를 공급하고 있는데, 올해는 공급 종수를 3배로 늘릴 계획이다. 이외에도 미국에서는 대학교재와 사전류가 전자책(e-Book) 시장의 돌파구를 여는 주요 분야로 지목되고 있다. 일본은 155개 출판사·IT업체가 모여 정부 지원자금 약 90억원으로 전자책컨소시엄(E-Book Japan)을 구성하여 공동 실험을 마치고, 출판사 연합 등의 다양한 형태로 서비스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종이책의 이미지를 그대로 전자책(e-Book)으로 변환한 포맷 형태가 우세하여 검색 등에 한계가 있으며, 값비싼 통신요금으로 인프라가 취약하여 NTT도코모의 i모드를 이용한 만화, 잡지 등 일부 장르가 대중화의 전기를 마련하고 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세계적인 전자책(e-Book) 시장의 상황은 결코 우리나라보다 앞서 있다고 판단되지 않는다. 미·일의 경우 문서포맷의 표준화 정도나 컨텐츠 종수, 구매동향 등 전반적으로 우리보다 앞서있다고 보기 어려운 측면이 많다는 것이다. 전자책(e-Book) 시장의 세계 추이에 대해 그 동안 많은 기관들에서 발표한 자료들을 보면, 조사기관에 따른 편차가 매우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점진적이고도 확실한 성장 가능성을 예견하는 점은 공통적이다.
참고문헌
* 김국희, 디지털도서관의 이용자 서비스에 관한 사례연구, 전자통신동향분석
* 문화관광부, 한국전자책(eBook)산업 발전방안 연구, 2000
* 박근수, 전자책의 현황과 발전방향, 문화관광부/출판연구소
* 이정춘, eBook의 시장전망과 문제점e-book의 시장전망과 문제점
* 윤선영, 디지털 정보제공과 저작권, 디지털도서관, 1998
* 정통부, 전자문서 이용 활성화의 법적 장애요인 분석
* 최석두, 디지털도서관의 영향, 21세기에 있어서 국립중앙도서관의 기능과 책임: 국립중앙도서관 개관50주년 기념논문집,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Ⅵ. 전자책(e-book, 디지털도서) 시장 전망
온라인 전자책 하드웨어(독서전용 단말기, e-Book Reader) 개념의 전자책 독서기는 미국의 누보미디어사에서 로켓e북이 출시된 것이 세계 최초이다. 그런데 오프라인 전자책 휴대단말기로는 일본의 소니사에서 CD-ROM북 플레이어가 개발되어 현재까지 100만대 이상 판매됨으로써, 로켓e북보다도 이미 8년 전부터 디지털책의 원형을 보여 주었다. 말하자면 오프라인 전자책 단말기 기술과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컨텐츠가 결합된 형태로 새로운 전자책 단말기가 선을 보인 것이라 하겠다.
미국은 전자책(e-Book) 시장의 선발국이다. 로켓e북 출시 이래 단말기 제조업체, 솔루션업체, 서비스업체들이 대거 등장한 가운데, 기존 소프트웨어업계의 강자인 마이크로소프트, 어도비, 그리고 출판유통의 맞수 반스앤노블과 아마존닷컴, 랜덤하우스나 맥그로힐을 비롯한 주요 출판사들이 대부분 전자책(e-Book) 시장 선점을 위한 인수합병 및 투자와 실험을 계속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와 아마존닷컴의 제휴, 세계 최대 서점 체인인 반스앤노블과 독일 최대 미디어기업 베르텔스만이 공동 설립하고 40만개의 링크 사이트를 가진 반스앤노블 디지털의 행보는 관심의 촛점이다. 또 이들은 표준화와 정보교류를 위한 OEBF(Open E-Book Forum), EBNA(Electronic Book Newsstand Association)등 다수의 논의체계와 유관기구를 만들고 세계시장 공략을 위한 마케팅 네트워크 정비를 서두르고 있다.
특히 세계적인 작가 스티븐 킹의 총알차 타기(Riding the Bullet), 연재소설 더 플랜트(The Plant)의 폭발적 화제는 전자책(e-Book) 대중화의 가능성과 한계를 동시에 보여주었으며, 최근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보급된 팜사의 개인휴대단말기(PDA) 등이 개인정보관리 기능을 뛰어넘어 인터넷 및 전자책(e-Book) 단말기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을 전망이다. 뉴욕타임스 등 주요 일간지나 잡지의 온라인판 유료화도 전자책(e-Book) 판매환경을 개선하는 데 일조할 것으로 보인다. 스티븐 킹을 비롯한 10여명의 작가들이 개설한 북라커(www.bookloker.com)를 비롯 작가들이 운영하는 다수의 웹사이트가 최근 수개월 사이 크게 늘어났는데, 북라커의 경우 1015달러짜리 전자책(e-Book)이 한 달 평균 20003000권 정도 팔리고 있다. 전자도서관 업체들로는 넷라이브러리(www.netlibrary.com), 퀘스티아(www.questia.com), 이브러리(www.ebrary.com) 등 3사의 활약이 두드러지고 있다.
미국 대학들도 전자책(e-Book) 교재 활용에 열성적이다. 하버드, 오하이오주립대 등 주요 대학들이 작년 가을부터 전자책(e-Book)을 정식 교재로 활용하고 있다. 전자책(e-Book)업체인 와이즈업 디지털 텍스트북스(www.wiseup.com)는 이들 대학에 75종의 디지털 교재를 공급하고 있는데, 올해는 공급 종수를 3배로 늘릴 계획이다. 이외에도 미국에서는 대학교재와 사전류가 전자책(e-Book) 시장의 돌파구를 여는 주요 분야로 지목되고 있다. 일본은 155개 출판사·IT업체가 모여 정부 지원자금 약 90억원으로 전자책컨소시엄(E-Book Japan)을 구성하여 공동 실험을 마치고, 출판사 연합 등의 다양한 형태로 서비스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종이책의 이미지를 그대로 전자책(e-Book)으로 변환한 포맷 형태가 우세하여 검색 등에 한계가 있으며, 값비싼 통신요금으로 인프라가 취약하여 NTT도코모의 i모드를 이용한 만화, 잡지 등 일부 장르가 대중화의 전기를 마련하고 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세계적인 전자책(e-Book) 시장의 상황은 결코 우리나라보다 앞서 있다고 판단되지 않는다. 미·일의 경우 문서포맷의 표준화 정도나 컨텐츠 종수, 구매동향 등 전반적으로 우리보다 앞서있다고 보기 어려운 측면이 많다는 것이다. 전자책(e-Book) 시장의 세계 추이에 대해 그 동안 많은 기관들에서 발표한 자료들을 보면, 조사기관에 따른 편차가 매우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점진적이고도 확실한 성장 가능성을 예견하는 점은 공통적이다.
참고문헌
* 김국희, 디지털도서관의 이용자 서비스에 관한 사례연구, 전자통신동향분석
* 문화관광부, 한국전자책(eBook)산업 발전방안 연구, 2000
* 박근수, 전자책의 현황과 발전방향, 문화관광부/출판연구소
* 이정춘, eBook의 시장전망과 문제점e-book의 시장전망과 문제점
* 윤선영, 디지털 정보제공과 저작권, 디지털도서관, 1998
* 정통부, 전자문서 이용 활성화의 법적 장애요인 분석
* 최석두, 디지털도서관의 영향, 21세기에 있어서 국립중앙도서관의 기능과 책임: 국립중앙도서관 개관50주년 기념논문집,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추천자료
인터넷서점
교보문고와 YES24의 SWOT분석
월든 (숲의 소리들)을 읽고
문화콘텐츠의 정상적 유통과 불법복제
XML를 이용한 구체적인 예
[인터넷검색엔진][검색엔진]인터넷검색엔진의 개념, 인터넷검색엔진의 분류, 인터넷검색엔진...
성적소수자에 대하여
사이버가정학습(가정교육) 필요성, 사이버가정학습(가정교육) 인식, 사이버가정학습(가정교육...
미래사회와 조직 - 50년 후 나의 하루
(경영학과 , 경제학과 ) 스마트폰에 대한 리포트
아이패드와 갤럭시탭 비교 (정의, 기능, 성능, 장단점), 태블릿pc
아이패드와 갤럭시탭 비교 (정의, 기능, 성능, 장단점), 태블릿pc
(A+평가 레포트)스마트폰 정의와 현황과 활성화 방안
액션러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