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쇄성 폐질환 환자 간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으로 차 있는 공동을 형성하고 있다.
- 원주상(cylinderic): 경증의 형태, 비교적 직선형이고 내경도 많이 증가되지 않는다.
(2) 발생
기관지 감염으로 발생되는데 adenovirus와 influenza virus가 주 원인균이다.
비전형 결핵균(mycobacterium avium-intracellulare)은 후천성 면역 결핍환자의 기관지 확장을 일으키는 주 원인 균이다. 기관지 감염으로 기관지 벽이 파괴되고 기관지 점막의 섬모의 방어기전이 손상되며 주머니와 같이 변화된 기관지에 점액과 농이 고이게 된다. 따라서 감염이 더욱 진행되고 기관지는 확장된다.
2) 임상증상
1일 20mℓ이상의 다량의 객담이 동반되어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기침을 한다. 기침의 특성은 발작적이고, 체위변경으로도 기침을 자극할 수 있다. 기타 증상으로는 운동성 호흡곤란, 피로, 체중 감소, 식욕 부진등이 있다. 폐청진 시 악설음과 수포음 및 천명음이 들리고 부비동염이 기관지 확장증과 동반되어 나타난다. 광범위하게 기관지 확장증이 침범되면 폐전체에서 천명음, 곤봉손가락, 폐성심이 나타난다.
3) 진단
① 흉부 X-선 촬영 소견을 보면 약간의 침윤이 있거나 보통 정상 소견을 보여 방사선 소견으로 질병의 중증도를 확인하기 어렵다.
② HRCT(High-Resolution CT)는 기관지 확장증 진단에 유용하다.-기관지혈관보다 기관지가 더 넓으면 확진.
③ 기관지 내시경 검사를 통해 객혈이 발생한 장소나 균이 집합된 장소를 확인하고 조직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④ 객담은 특징적으로 3개 층으로 나누어지고 악취가 난다.
⑤ 폐기능 검사를 시행할 경우 질병이 진행된 단계에서 폐활량 감소, 호기유속 및 최대 환기량의 감소가 나타난다.
⑥ 전혈구 검사에서 정상의 백혈구 또는 백혈구 증가되고 만성상태에서 빈혈이 나타날 수 있다.
A.객혈(기관지 확장증) 57세 남자 기관지내시경.
우상엽에 오래된 폐결핵이 있고, 그에 기인하는 국한성 기관지 확장증에 있으며, 10년
전부터, 때때로 혈담이 보였다.감기기운이 있으며 1주일 정도 혈담이 계속 되었다.
B.객혈(기관지확장증)41세 남자 기관지내시경,
이전부터 화농성 객담이 있고, 때때로 혈담이 있었는데, 며칠전부터 1일 200~300ml의 객혈이 있다.
C.기관, 기관지결핵(43세 남자) 기관지내시경,
전척으로 건강했는데, 반년전부터 마른기침이 나타났다. 3개월전부터 천명을 수반
4) 치료
기관지 확장증은 치료하기가 어렵다.
-체위 배액(분비물 배출에 도움)을 시행하고 객혈이 발생했을 때에는 기침을 억제하며 혈액이 정상 폐로 유입되지 않는 측위(병변쪽으로)를 취한다.
-진동법과 타진법을 이용한 흉부 물리요법을 시행하고 기관지 확장제(bronchodilator) 흡입과 저산소혈증이 있을 경우 산소를 투여한다.
-객담의 양이 증가하거나 화농성이 심해질 때 항생제를 10-14일 정도 투여한다(장기간 투여시 P.aeruginisa같은 그람음성균 감염을 유발시킬 수 있음).
-호전되지 않을 경우나 심한 객혈이 있을 때, 수술(폐엽절제술(rsection), 폐 이식술)을 시행할 수 있다.
5) 간호
기관지 폐쇄의 원인 및 이물질을 가능한 빨리 제거한다. 금연, 공해물질이나 기도 자극물질을 피함으로써 기관지 확장증의 진행을 감소시키고 발생을 저하시킨다. 간호의 목적은 과도한 점액을 배출하는 것이다.
① 심호흡과 효과적인 기침법, 체위 배액과 흉부 물리요법을 적용하는 간호를 수행한다. - 하지를 10-15cm 정도 상승시킨 체위, 베개를 이용한 체위 배액, 흉부 진동기를 매일 2~4회 정도 15분씩 호기에 적용하여 객담을 제거한다.
② 처방된 항생제, 기도 확장제, 거담제를 투여한다.
- 환자에게 약물 부작용을 교육하고 발생 시 의사에게 알린다.
③ 과도한 활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휴식을 취한다. (급성기 휴식은 더욱 중요)
④ 영양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 식욕부진으로 영양유지가 어려우므로 구강간호를 통해 분비물을 제거해 식욕을 증진시키고 기호 식품을 제공하며 적절한 수액 섭취로 객담을 제거한다(심부전, 신부전 없을 시 3ℓ/일까지 가능). 전신 체액 정체를 예방하기 위해 저염 식이를 섭취한다.
⑤ 네블라이저를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기도의 습도를 증진시켜 객담 분비를 증가시킨다.
⑥ 객담 생산의 증가, 호흡곤란 증가, 발열, 오한 및 흉통과 같은 질병 악화의 임상증상을 환자와 가족에게 교육한다.
4. 낭포성 섬유증 (cystic fibrosis) p604
1) 정의
상염색체 열성의 유전적 질환으로 폐, 췌장, 한선의 외분비선을 일차적으로 침범하여 그 기능을 변화시키는 다장기 질환이다. 낭포성 섬유증은 제 7번 염색체에 존재하는 유전인자의 변형으로 발생하며, 나트륨과 염소이온의 조절이 변화된다.
2) 임상증상
가장 흔한 증상으로 객담의 점도가 높고 농성 객담을 배출한다. 기관지 결석증, 호흡기계 감염이 나타나고 질병이 진행됨에 다라 객담증가, 기침증가, 객혈, 체중감소, 곤봉손가락, 폐조직은 파괴되고 폐기능이 완전히 소실되면서 호흡부전이 온다.
3) 진단검사
① pilocarpine iontophoresis검사 - 땀에서 나트륨과 염소 농도를 분석하는 검사로 약40분 정도 소요. 나트륨과 염소 농도가 65mEq/ℓ 이상으로 나타난다.
② 흉부X-선 촬영
③ 폐기능 검사
④ DNA 검사 - 낭포성 섬유증의 다양한 유전인자의 변향 때문에 실시.
4) 치료
목적은(1) 객담 제거 증진 (2) 폐 감염 조절 (3) 영양 유지이다.
-진한 기관 분비물 배액 : 객담을 액화시키거나 기침을 촉진하는 약물을 aerosol과 nebulizer로 투여
-진한 객담은 점액 glycoprotein과 변성 백혈구의 DNA때문이므로 DNA를 분해하는 DNase(Pulmozyme)를 투여. 기관지 확장제, 객담용해제를 사용하며 흉부물리요법을 적용.
※ 참고문헌
성인 내.외과 간호학 호흡기,혈액, 심장, 혈관(III)/2005/형설출판사/최정신외
성인간호학(상)/1996/현문사/전시자외
성인간호학/2004/정담미디어/김분한외
성인간호학I/2008/수문사/이향련외
  • 가격4,000
  • 페이지수36페이지
  • 등록일2008.11.27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66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