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3. 용어의 정의
4. 연구의 제한점
Ⅱ. 이론적 배경
1. 비만
2. 사회성 발달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및 자료의 처리
Ⅳ. 결과 및 해석
1. 비만 유아집단과 표준체중 유아집단
간의 의사 전달하기 비교
2. 비만유아집단과 표준체중 유아집단간의 다른 사람과 어울리기 비교
3. 비만 유아집단과 표준체중 유아집단간의 놀이하기 비교
4. 비만 유아집단과 표준체중 유아집단간의 운동하기 비교
5. 비만 유아집단과 표준체중 유아집단간의 스스로 하기 비교
6. 비만 유아집단과 표준체중 유아집단간의 혼자 음식먹기 비교
7. 비만 유아집단과 표준체중 유아집단간의 혼자 옷입기 비교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3. 용어의 정의
4. 연구의 제한점
Ⅱ. 이론적 배경
1. 비만
2. 사회성 발달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및 자료의 처리
Ⅳ. 결과 및 해석
1. 비만 유아집단과 표준체중 유아집단
간의 의사 전달하기 비교
2. 비만유아집단과 표준체중 유아집단간의 다른 사람과 어울리기 비교
3. 비만 유아집단과 표준체중 유아집단간의 놀이하기 비교
4. 비만 유아집단과 표준체중 유아집단간의 운동하기 비교
5. 비만 유아집단과 표준체중 유아집단간의 스스로 하기 비교
6. 비만 유아집단과 표준체중 유아집단간의 혼자 음식먹기 비교
7. 비만 유아집단과 표준체중 유아집단간의 혼자 옷입기 비교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표 2> 비만 유아집단과 표중체중 유아집단간의 다른 사람과 어울리기 비교
문항번호
비만유아집단
표준체중 유아집단
3점
2점
1점
3점
2점
1점
11
3
4
9
1
12
2
8
2
8
13
3
3
4
7
2
1
14
8
1
1
6
1
3
15
3
6
1
8
2
16
9
1
2
8
17
1
6
3
5
3
2
18
10
9
1
19
9
1
9
1
합 계
42×3=126
38×2=76
10×1=10
54×3=162
27×2=54
9×1=9
총점수
212
225
<표 2>에 의하면 비만 유아집단의 다른 사람과 어울리기가 표준체중 유아집단의 다른 사람과 어울리기보다 낮게 나타났다.
3. 비만 유아집단과 표준체중 유아집단간의 놀이하기 비교
<표 3> 비만 유아집단과 표준체중 유아집단간의 놀이하기 비교
문항번호
비만유아집단
표준체중 유아집단
3점
2점
1점
3점
2점
1점
20
7
2
1
10
21
4
2
4
4
3
3
22
3
6
1
6
3
1
23
1
6
3
4
4
2
합 계
15×3=45
16×2=32
9×1=9
24×3=72
10×2=20
6×1=6
총점수
86
98
<표 3>에 의하면 비만 유아집단의 놀이하기가 표준체중 유아집단의 놀이하기보다 낮게 나타났다.
4. 비만 유아집단과 표준체중 유아집단간의 운동하기 비교
<표 4> 비만 유아집단과 표준체중 유아집단간의 운동하기 비교
문항번호
비만유아집단
표준체중 유아집단
3점
2점
1점
3점
2점
1점
24
2
7
1
6
4
25
5
3
2
8
2
26
9
1
10
합 계
16×3=48
10×2=20
4×1=4
24×3=72
6×2=12
총점수
72
84
<표 4>에 의하면 비만 유아집단의 놀이하기가 표준체중 유아집단의 놀이하기보다 낮게 나타났다.
5. 비만 유아집단과 표준체중 유아집단간의 스스로 하기 비교
<표 5> 비만 유아집단과 표준체중 유아집단간의 스스로 하기 비교
문항번호
비만유아집단
표준체중 유아집단
3점
2점
1점
3점
2점
1점
27
10
10
28
8
2
10
29
3
6
1
5
5
30
6
4
10
31
2
8
5
5
32
8
1
10
33
9
1
8
2
34
8
2
10
35
9
1
10
36
2
6
2
6
3
1
합 계
65×3=195
29×2=58
3×1=3
84×3=252
15×2=30
1×1=1
총점수
256
283
<표 5>에 의하면 비만 유아집단의 스스로 하기가 표준체중 유아집단의 스스로하기 보다 낮게 나타났다.
6. 비만 유아집단과 표준체중 유아집단간의 혼자 음식 먹기 비교
<표 6> 비만 유아집단과 표준체중 유아집단간의 혼자 음식 먹기 비교
문항번호
비만유아집단
표준체중 유아집단
3점
2점
1점
3점
2점
1점
38
4
6
6
4
37
1
8
1
1
9
39
7
3
10
합 계
12×3=36
17×2=34
1×1=1
17×3=51
13×2=26
총점수
71
77
<표 6>에 의하면 비만 유아집단의 혼자 음식 먹기가 표준체중 유아집단의 혼자 음식 먹기 보다 낮게 나타났다.
7. 비만 유아집단과 표준체중 유아집단간의 혼자 옷입기 비교
<표 7> 비만 유아집단과 표준체중 유아집단간의 혼자 옷입기 비교
문항번호
비만유아집단
표준체중 유아집단
3점
2점
1점
3점
2점
1점
40
5
5
7
3
41
9
1
9
1
42
9
1
9
1
43
9
1
9
1
합 계
32×3=96
7×2=14
1×1=1
34×3=102
6×2=12
총점수
111
114
<표 7>에 의하면비만 유아집단의 혼자 옷입기가 표준체중 유아집단의 혼자 옷입기 보다 낮게 나타났다.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표 8>비만 유아집단과 표준체중 유아집단의 사회 성숙도 비교
사회성숙도의
7 개영역
비만 유아집단
표준체중 유아집단
비만 유아집단과 표준체중 유아집단간의 차이
의사 전달하기
222
239
17
다른 사람과 어울리기
212
225
13
놀이하기
86
98
12
운동하기
72
84
12
스스로 하기
256
283
27
혼자 음식 먹기
71
77
6
혼자 옷입기
111
114
3
첫째, 비만 유아의 의사 전달하기 점수는 표준체중 유아의 의사 전달하기 점수보다 낮게 나타났다.
둘째, 비만 유아의 다른 사람과 어울리기 점수는 표준체중 유아의 다른 사람과 어울리기 보다 낮게 나타났다.
셋째, 비만 유아의 놀이하기 점수는 표준체중 유아의 놀이하기 점수보다 낮게 나타났다.
넷째, 비만 유아의 운동하기 점수는 표준체중 유아의 운동하기 점수보다 낮게 나타났다.
다섯째, 비만 유아의 스스로 하기 점수는 표준체중 유아의 스스로 하기 점수보다 낮게 나타났다.
여섯째, 비만 유아의 혼자 음식 먹기 점수는 표준체중 유아의 혼자 음식 먹기 점수보다 낮게 나타났다.
일곱째, 비만 유아의 혼자 옷입기 점수는 표준체중 유아의 혼자 옷입기 점수보다 낮게 나타났다.
비만 유아와 표준체중 유아간에 가장 많은 차이가 난 영역은 스스로 하기 였고 그다음은 의사전달하기, 놀이하기, 운동하기, 혼자 음식 먹기, 혼자 옷입기 순이었다.
이렇게 비만 유아는 표준체중 유아보다 사회 성숙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는 유아기의 비만이 유아의 사회 성숙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아기 비만의 심각도에 대해 알 수 있다.
참 고 문 헌
강영림(1987). 학령기 아동의 비만요인에 관한 분석. 숙명여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미정(1991). 비만과 체중조절. 경원전문대학 논문집 제 13집.
김현숙(1993). 비만에 관한 의식조사 연구. 고대 교욱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희진외 6인(1995). 비만 아동과 표준체중 아동의 자아개념 비교. 연대 생활과학대학 논문.
성낙응(1974). 서울시내 일부국민학교 아동의 비만증에 관한 고찰. 공중보건지,11(2) 68.
신미희(1989). 또래 관계에서의 인기도와 자아개념 및 사회 성숙도간의 관계. 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동환(1991). 비만 임산부와 영유아 비만. 한국영양학회.
이항재, 성열호(1993). 국민학교 아동의 또래집단에서의 인기도와 자아개념 및 사회성숙도의 관계. 순천향대학교 논문집.
홍창의(1980). 임상소아과학. 서울 : 대한교과서주식회사.
문항번호
비만유아집단
표준체중 유아집단
3점
2점
1점
3점
2점
1점
11
3
4
9
1
12
2
8
2
8
13
3
3
4
7
2
1
14
8
1
1
6
1
3
15
3
6
1
8
2
16
9
1
2
8
17
1
6
3
5
3
2
18
10
9
1
19
9
1
9
1
합 계
42×3=126
38×2=76
10×1=10
54×3=162
27×2=54
9×1=9
총점수
212
225
<표 2>에 의하면 비만 유아집단의 다른 사람과 어울리기가 표준체중 유아집단의 다른 사람과 어울리기보다 낮게 나타났다.
3. 비만 유아집단과 표준체중 유아집단간의 놀이하기 비교
<표 3> 비만 유아집단과 표준체중 유아집단간의 놀이하기 비교
문항번호
비만유아집단
표준체중 유아집단
3점
2점
1점
3점
2점
1점
20
7
2
1
10
21
4
2
4
4
3
3
22
3
6
1
6
3
1
23
1
6
3
4
4
2
합 계
15×3=45
16×2=32
9×1=9
24×3=72
10×2=20
6×1=6
총점수
86
98
<표 3>에 의하면 비만 유아집단의 놀이하기가 표준체중 유아집단의 놀이하기보다 낮게 나타났다.
4. 비만 유아집단과 표준체중 유아집단간의 운동하기 비교
<표 4> 비만 유아집단과 표준체중 유아집단간의 운동하기 비교
문항번호
비만유아집단
표준체중 유아집단
3점
2점
1점
3점
2점
1점
24
2
7
1
6
4
25
5
3
2
8
2
26
9
1
10
합 계
16×3=48
10×2=20
4×1=4
24×3=72
6×2=12
총점수
72
84
<표 4>에 의하면 비만 유아집단의 놀이하기가 표준체중 유아집단의 놀이하기보다 낮게 나타났다.
5. 비만 유아집단과 표준체중 유아집단간의 스스로 하기 비교
<표 5> 비만 유아집단과 표준체중 유아집단간의 스스로 하기 비교
문항번호
비만유아집단
표준체중 유아집단
3점
2점
1점
3점
2점
1점
27
10
10
28
8
2
10
29
3
6
1
5
5
30
6
4
10
31
2
8
5
5
32
8
1
10
33
9
1
8
2
34
8
2
10
35
9
1
10
36
2
6
2
6
3
1
합 계
65×3=195
29×2=58
3×1=3
84×3=252
15×2=30
1×1=1
총점수
256
283
<표 5>에 의하면 비만 유아집단의 스스로 하기가 표준체중 유아집단의 스스로하기 보다 낮게 나타났다.
6. 비만 유아집단과 표준체중 유아집단간의 혼자 음식 먹기 비교
<표 6> 비만 유아집단과 표준체중 유아집단간의 혼자 음식 먹기 비교
문항번호
비만유아집단
표준체중 유아집단
3점
2점
1점
3점
2점
1점
38
4
6
6
4
37
1
8
1
1
9
39
7
3
10
합 계
12×3=36
17×2=34
1×1=1
17×3=51
13×2=26
총점수
71
77
<표 6>에 의하면 비만 유아집단의 혼자 음식 먹기가 표준체중 유아집단의 혼자 음식 먹기 보다 낮게 나타났다.
7. 비만 유아집단과 표준체중 유아집단간의 혼자 옷입기 비교
<표 7> 비만 유아집단과 표준체중 유아집단간의 혼자 옷입기 비교
문항번호
비만유아집단
표준체중 유아집단
3점
2점
1점
3점
2점
1점
40
5
5
7
3
41
9
1
9
1
42
9
1
9
1
43
9
1
9
1
합 계
32×3=96
7×2=14
1×1=1
34×3=102
6×2=12
총점수
111
114
<표 7>에 의하면비만 유아집단의 혼자 옷입기가 표준체중 유아집단의 혼자 옷입기 보다 낮게 나타났다.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표 8>비만 유아집단과 표준체중 유아집단의 사회 성숙도 비교
사회성숙도의
7 개영역
비만 유아집단
표준체중 유아집단
비만 유아집단과 표준체중 유아집단간의 차이
의사 전달하기
222
239
17
다른 사람과 어울리기
212
225
13
놀이하기
86
98
12
운동하기
72
84
12
스스로 하기
256
283
27
혼자 음식 먹기
71
77
6
혼자 옷입기
111
114
3
첫째, 비만 유아의 의사 전달하기 점수는 표준체중 유아의 의사 전달하기 점수보다 낮게 나타났다.
둘째, 비만 유아의 다른 사람과 어울리기 점수는 표준체중 유아의 다른 사람과 어울리기 보다 낮게 나타났다.
셋째, 비만 유아의 놀이하기 점수는 표준체중 유아의 놀이하기 점수보다 낮게 나타났다.
넷째, 비만 유아의 운동하기 점수는 표준체중 유아의 운동하기 점수보다 낮게 나타났다.
다섯째, 비만 유아의 스스로 하기 점수는 표준체중 유아의 스스로 하기 점수보다 낮게 나타났다.
여섯째, 비만 유아의 혼자 음식 먹기 점수는 표준체중 유아의 혼자 음식 먹기 점수보다 낮게 나타났다.
일곱째, 비만 유아의 혼자 옷입기 점수는 표준체중 유아의 혼자 옷입기 점수보다 낮게 나타났다.
비만 유아와 표준체중 유아간에 가장 많은 차이가 난 영역은 스스로 하기 였고 그다음은 의사전달하기, 놀이하기, 운동하기, 혼자 음식 먹기, 혼자 옷입기 순이었다.
이렇게 비만 유아는 표준체중 유아보다 사회 성숙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는 유아기의 비만이 유아의 사회 성숙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아기 비만의 심각도에 대해 알 수 있다.
참 고 문 헌
강영림(1987). 학령기 아동의 비만요인에 관한 분석. 숙명여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미정(1991). 비만과 체중조절. 경원전문대학 논문집 제 13집.
김현숙(1993). 비만에 관한 의식조사 연구. 고대 교욱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희진외 6인(1995). 비만 아동과 표준체중 아동의 자아개념 비교. 연대 생활과학대학 논문.
성낙응(1974). 서울시내 일부국민학교 아동의 비만증에 관한 고찰. 공중보건지,11(2) 68.
신미희(1989). 또래 관계에서의 인기도와 자아개념 및 사회 성숙도간의 관계. 이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동환(1991). 비만 임산부와 영유아 비만. 한국영양학회.
이항재, 성열호(1993). 국민학교 아동의 또래집단에서의 인기도와 자아개념 및 사회성숙도의 관계. 순천향대학교 논문집.
홍창의(1980). 임상소아과학. 서울 : 대한교과서주식회사.
추천자료
유아언어교육(유아언어지도)의 기본요소, 유아언어교육(유아언어지도)의 성격과 목표, 유아언...
유아교육사상(교육철학) 에라스무스와 로크, 유아교육사상(교육철학) 페스탈로치와 바제도, ...
유아교육철학자(교육사상) 플라톤과 키케로, 유아교육철학자(교육사상) 에라스무스와 루터, ...
유아교육기관중심 부모교육프로그램의 유형과 방법, 유아교육기관중심 부모교육프로그램의 개...
유아교육기관중심 부모교육의 개념, 유아교육기관중심 부모교육의 목적과 필요성, 유아교육기...
유아교육(유치원교육)의 필요성, 유아교육(유치원교육)의 연구방법, 유아교육(유치원교육)의 ...
유아교육(유치원교육)의 대상과 중요성, 유아교육(유치원교육)과 TV(텔레비전), 유아교육(유...
유아교육(유치원교육) 역사와 필요성, 유아교육(유치원교육) 관련법규, 유아교육(유치원교육)...
유아교육 공교육화(유치원 공교육화)의 개념과 필요성, 유아교육 공교육화(유치원 공교육화)...
유아교육(유치원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유아교육(유치원교육)의 대상과 내용, 유아교육(유치...
유아교육(유치원교육) 역사와 중요성, 유아 사회교육(유치원 사회교육) 목적, 유아 사회교육(...
유아무상교육(유치원무상교육)의 의미, 유아무상교육(유치원무상교육)의 실태, 유아무상교육(...
유아교육(유치원교육)의 특성과 중요성, 유아교육(유치원교육)의 내용, 유아교육(유치원교육)...
유아교육(유치원교육)의 필요성, 유아교육(유치원교육)의 현황, 유아교육(유치원교육)의 대상...